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부산에 요즘 과외 많이들 하시나요?

부산 조회수 : 1,443
작성일 : 2010-06-04 17:08:15
안녕하세요 ^^
저는 요리좋아해서 82cook 거의 사는 ^^; 대학생입니다.
제가 원래 고향이 부산인데 대학을 서울로왔었고 지내다가
이번에 졸업하는데 부산에 내려가려고 하거든요

대학원준비를 할거라서 딱히 서울에 있을필요도 없을것 같아서
집에 내려가서 내년초까지 지내면서 과외를 해볼까하는데요..
이제껏 과외는 해본적이없지만
초등학생 중학생 2년정도 가르쳤었구요- 학원도 아니고 돈 안받고 하는 일.

재작년쯤에 부산대 다니던 친구한테 물어보니
부산에 요즘 과외구하기가 너무힘들다고 하더라구요
경기가 안좋아서 과외비를 많이 내렸는데도 잘 안구해진다고 그러던데.

요즘은 어떤가요?


부산에선 부산대생 sky아니면 과외구하기 힘들다던데
부산대랑 비슷한 수준의 서울에있는 대학나왔구요
전공은 학교 과목중엔 없는거지만만 영어복수전공했구요.

과외 구할수 있을까요?
서울에 지내면서 과외를 하는게 더 좋을지 - 주위에 보면 서울에선 과외구하기가 쉬운편인것 같아요.
몇달간이지만 몇년만에 집에서 지내보고 싶기도하고해서 부산가고싶은데,,

어떨까요?

그리고 혹시 과외하시는 학부모님계시면
요즘 부산에 과외비는 어느정도인가요?
IP : 113.30.xxx.175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6.4 5:12 PM (116.125.xxx.162)

    지역이 어디신지? 과외비 생각하시는 금액은 있나요?
    시간하고 금액이 궁금하네요.

  • 2.
    '10.6.4 5:12 PM (125.186.xxx.137)

    부산대생이다 SKY다 할 거 없이 아무래도 좀 힘들지요..
    경기가 안좋으니까요..

    그런데 무엇보다..음..아파트 단지에는 공부방들이 너무 많아요. 전문과외 선생님도 너무 많구요..
    한 아파트에 아예 전문으로 들어오시는 무슨 과목 어떤 선생님 이런 리스트가 있을 정도거든요..
    전문과외 하시는 방식으로 운영하는지라 어줍잖은 대학생 과외 정도는
    엄마들이 잘 인정을 안해준달까요..

    예전에야 서울에서 대학생 내려왔다하면 우우..그랬지만
    이젠 별 의미 없다는 것도 알고 반짝 하다 가버린다는 의식이 있으니 꾸준히 할 수 있는 선생님을 많이 찾아요..

    그래서 대학생은 어떤 식으로돈 인맥 없으면 과외 쉽지는 않을 겁니다..

  • 3. 부산
    '10.6.4 5:16 PM (113.30.xxx.175)

    답변고맙습니다. 지역은 동래구이구요.
    제가 돈받고 아이들을 가르쳐본적이 한번도 없어서 금액을 몰라서 글써봤어요 ^^;

    안그래도 요즘 아파트단지에서 전단지 붙여서 구하던 시대는 끝났다고 하더라구요.
    저 고등학교때 과외할때는 전단지 붙은거 보고 전화해서 구했었거든요..
    전문 과외선생님도 많고..
    부산 떠나지낸지도 너무 오래되서 소개받을곳도 없고..
    내려갈지 있을지 결정해야하는데 고민이 많네요 ㅠ

  • 4. jk
    '10.6.4 5:19 PM (115.138.xxx.245)

    제가 대학다닐때 집에서 구박받은 얘기 해드릴께용.. ㅎㅎ

    저랑 제 사촌이 같은학교이거든요. 게다가 학번도 같음..
    제 사촌은 경남이고 그때당시 비평준화지역이었고 전 부산. 평준화 지역이죠.

    제 사촌의 경우 길거리에 전단지 붙여서 과외를 10개 넘게 구했구요
    전 똑같은 방법으로 하나도 못구했어요.
    물론 제 사촌이 공대라는 장점이 있긴 했지만.. (둘다 성별은 같음. 아무래도 여자가 과외에서는 더 인기가 많죠)

    부산은 경기와는 상관없이 과외수요가 그렇게 많지 않았어용~~~
    경남의 비평준화지역은 중학교도 재수해서 갔기 때문에 과외수요가 많았구요.
    울산출신 선배(울산은 나중에 광역시가 되면서 평준화됨)의 말에 따르면

    "방학동안에는 집에 필수적으로 내려가는데 방학두달동안 밥먹을 시간도 아껴서 과외를 뛴다" 라고 말하더군요.
    그렇게 벌면 두달동안 그때당시 기준으로 약 400이상.. 지금 돈으로 치면 약 1천만원 정도(등록금기준. 그때당시 문과대 1년 등록금이 그정도였음) 번다고 하더군요.

  • 5. 부산
    '10.6.4 5:29 PM (113.30.xxx.175)

    안그래도 전라도쪽 소도시 사는 동생은 주말마다 내려가서 과외하던걸요...
    방학때 두달 과외한돈으로 등록금내고 유럽여행가고....

  • 6. 부산 삽니다
    '10.6.4 6:10 PM (220.92.xxx.100)

    어차피 과외 할거면 조금 더 주고 전문 샘 찾지요
    아주 싸게 할거 아니면 요즘 대학생 인기 없어요

  • 7. 부산
    '10.6.4 6:12 PM (113.30.xxx.175)

    원글인데요, 아주 싸게 라는 기준이 얼마인가요?
    전 많이 받을 생각은 없거든요.
    제가 전단지 돌리고 혹시 연락이 온다면
    도대체 가격대를 어느정도에 맞춰야할지를 모르겠어요.

  • 8. 음..
    '10.6.4 7:01 PM (58.225.xxx.231)

    부산대랑 비슷한 수준의 대학이라면 무슨 대학이신지요?
    부산에서는 부산대 거의 sky나 바로 밑 정도로 생각합니다. 서울에서야 그저 지방대 취급하지만요.

  • 9. ㄷㄷㄷ
    '10.6.4 7:53 PM (58.239.xxx.235)

    부산대와 스카이대 과외값이 부산에서는 별 차이가 없어요 부산대가 지방대라 서울에서는 취급안해도 성적 나쁘면 높은과는 못들어가요. 반에서 일등해도 부산대 높은과 못들어가는데. 그리고 과외비는 부산대랑 연고대랑 별차이 안나요. 그리고 가르치는 수준도 그닥 차이 안나고. 단지 요즘 부산경기가 바닥이라 과외비 엄청 받고 힘들어요 자리도 잘 없고.싼 학원 보내는 경우가 더 많죠

  • 10. 원글
    '10.6.4 10:04 PM (113.30.xxx.175)

    저도 부산출신이라서 부산대가 어느정도인지는 알고있구요.
    부산대 안쓰고 일부로 서울로 갔거든요 그래서 부산대 비슷한 수준이라고 했어요.
    부산에 과외비가진짜 예전보다 많이 내렸네요..
    서울에서 친구들이 보통 일주일에 두번 40받아서
    부산은 요즘 경기가 안좋으니 더 적게 받아야생각하긴 했는데 - 한30정도로 아님 조금더 적게
    15만원 부터라니.. 초등학생이라 적은것 같기도하네요
    답변 다들 고맙습니다.
    아무쪼록 제가 쓸돈 제가 벌 수있게 되면 좋겠습니다 ㅠ

  • 11. 처음에는
    '10.6.5 3:08 AM (99.226.xxx.16)

    과외보다도 작은 학원이라도 학원 강사로 들어가세요.
    그래야 과외도 나중에 경력보고 할 수 있습니다.
    과외로 경력을 쌓아나가는게 쉽지 않으니, 발품을 팔아서라도 작은 학원에 취직을 시도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7321 요즘 날씨에 텐트치고 1박 어떤가요? 5 ... 2010/06/04 505
547320 대전사시는 분들 대전역에서 고속버스터미날까지 먼가요? 2 *** 2010/06/04 417
547319 어른들이랑 살면 창문여는것도 신경쓰이는거 같아요. 7 ... 2010/06/04 950
547318 청계천에 나타난 쥐박이2세, 일대 대소동! ㅋㅋㅋ~ 2 참맛 2010/06/04 1,198
547317 추억의 김구라 인터넷 방송 시절 ㅎㅎ 4 김구라 2010/06/04 917
547316 '노무현 묘역 참배' 당선자들 "균형발전 지켜내겠다" 8 이것 보셨어.. 2010/06/04 966
547315 진보가 뭐냐 하면.... 14 세우실 2010/06/04 1,231
547314 이번엔 연세대서 미화원 폭행 `패륜男' 4 참맛 2010/06/04 914
547313 부산에 요즘 과외 많이들 하시나요? 11 부산 2010/06/04 1,443
547312 궁금한 분들이 있는데 아시는분 알려주세요 그분들 2010/06/04 170
547311 우리강아지는 병원도 "시민****" 이랍니다,,,,ㅋㅋㅋ 2 ㅋㅋㅋ 2010/06/04 629
547310 한명숙이 꿈꾼 세상은 이런 세상 아니었을까요?^^ 7 2010/06/04 667
547309 성장판에 대해 문의 드려요 7 성장판 2010/06/04 813
547308 논산 마음수련원에 대해 6월3일 질문하신 분 보셔요^^ 1 마음수련원 2010/06/04 581
547307 [한겨레펌] 김상곤과 한명숙 13 왼쪽가슴 2010/06/04 1,465
547306 코스트코 다음주 할인 쿠폰있으신분~~~좀 올려주세요. 1 담주에 가요.. 2010/06/04 641
547305 국민참여당 당원되기 물어봤어요 8 2010/06/04 702
547304 10년만에 3천만원 모았는데요...... 5 후순위 채권.. 2010/06/04 1,781
547303 [급질]생리중 여행시 숙소에서 생리대 처리 어찌하시나요?( 남자분들도 함께 가요 ㅠㅠ ) 15 괴로워요 2010/06/04 2,459
547302 시댁스트레스 ㅠ.ㅠ 16 ^___^ 2010/06/04 2,130
547301 유시민은 길을 찾을 것인가 48 사랑과 증오.. 2010/06/04 1,676
547300 서울시장 선거는 결국 여론조사에 낚인것!! 12 jk 2010/06/04 1,471
547299 오늘 문수스님 다비식 있었다고 해요.... 8 부처님마음 2010/06/04 533
547298 부산사시는 분들께 여쭐께요. 지하철로 해운대 가야하는데 14 주말 2010/06/04 743
547297 유명업체의 물만두에서 손톱이~~~ 물만두 2010/06/04 309
547296 해외주식 하시는분들 혹시세금이? 3 세금 2010/06/04 309
547295 "천안함 흡착물 분석 결과는 어뢰 폭발이 없었음을 입증" 8 세우실 2010/06/04 790
547294 키자니아에 처음 가는 초등생?? 10 키자니아??.. 2010/06/04 1,090
547293 전기에 꽂는 쥐, 바퀴, 개미, 모기, 파리 해충퇴치기 써보신 분들 있나요? 6 ㅇㅇ 2010/06/04 497
547292 투표확인증과 선거 홍보 부족 1 선관위의 직.. 2010/06/04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