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부부관계 오래 가려면 침대 따로 써야 한다는..

따로자자 조회수 : 2,595
작성일 : 2009-12-03 12:00:46
“오래 오래 행복하게 결혼생활 하고 싶은가요(want a long and happy marriage)?
그럼 각각 다른 침대에서 자도록(sleep in separate beds) 하세요.”

영국 서레이대학교의 수면연구소를 설립한(set up the sleep laboratory at Surrey University)
닐 스탠리 박사는 “잠을 설치는 것(poor sleep)은 신체적, 정신적, 감정적 건강에 극히 나쁘다
(be very bad for your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health)”며 “수면 부족에는 좋을 것이
없으니(there is no good thing about poor sleep) 침대를 따로 써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have a proper night’s rest) 것이 부부생활에도 좋다”고 말한다.

잠을 설치면 (뇌졸중 등의) 발작, 심장병, 이혼 등의 위험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침대를 따로
쓰는 것이 건강이나 부부 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have a huge impact on both
their health and relationship) 얘기다. 만약에 한 침대에서도 아무 문제없이 함께 잘 잘 수
(sleep perfectly well together) 있다면 굳이 다른 침대를 쓸 필요는 없다.

그러나 만약 남편이나 부인 중 한 사람이 코를 심하게 곤다면 트윈 침대를 쓰는
(have twin beds) 것 역시 좋은 선택이 될 수 없을 것(might not be an option either)이다.
아예 다른 침실을 사용하는(sleep in separate bedrooms) 것이 낫다.

이 같은 주장을 하는 스탠리 박사 역시 부인과 각 방을 쓰고(sleep in a different room to his wife)
있다고 한다. 그는 “더블 침대라고 해서 숙면에 도움이 되는(be conducive to a good night’s sleep)
것은 아니다”고 말한다.

부부 침대의 전통(the tradition of the marital bed)은 산업혁명과 함께 시작됐다
(begin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면서(move into cities)
삶의 공간이 부족하게(find themselves short of living space) 된 데 따른 것이다.
빅토리아 시대 이전에는 결혼한 부부가 따로 따로 자는 것이 보기 드문 일이 아니었다
(be not uncommon for married couples to sleep apart).

영국의 경우 더블 침대의 폭은 4피트 6인치(약 1미터 37센티) 정도다. 이에 비해
싱글 베드의 폭은 2피트 6인치(약 76센티) 또는 3피트(약 91.44센티)다. 다시 말해
부부의 더블 침대에서 차지할 수 있는 수면 공간이 혼자 살 때의 싱글 베드 폭보다
9인치나 적다는(have nine inches less sleeping space) 얘기다.

게다가 코를 고는 사람 옆에서 자거나 한 밤 중에 화장실에 가기 위해 일어나고
(get up to go to the loo in the middle of the night) 하다 보면 숙면을 취할 수 없기 마련이다.
무의식 중에 이불을 독차지하려고(argue over duvet-hogging) 하다가 서로 짜증을 낼
(get peevish) 수도 있다.

이렇게 잠을 설치게 되면 우울증, 심장병, (뇌졸중 등의) 발작, 호흡기 장애의 위험이 커질
(increase the risk of hypochondria, heart disease, stroke and respiratory failure)뿐
아니라 이혼과 자살 행위의 위험성까지 높인다(increase the risk of divorce and
suicidal behavior)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최근 일본에서 실시된 광범위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result of a large scale
Japanese study) 7시간 30분의 수면이 건강에 가장 좋은(seven and a half hours of sleep
a night is optimal for good health)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잠자는 도중에 배우자 중 한 명이 움직이면(if one partner moves in his or her sleep)
다른 배우자 역시 자세를 바꾸는 경우가 50% 정도 되는(there is a 50 per cent chance
the other will also change position)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침대 옆 배우자가 숙면에 방해가
된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despite this) 일반적인 부부들은 따로 자는 것을 꺼림직해 하고
(be reluctant to sleep apart) 있다. 영국 40대~50대들은 단지 8%만(just 8 per cent of
their 40s and 50s)이 각 방을 쓰는(bed down in different rooms) 것으로 조사됐다고
일간지 데일리 메일은 전한다.

각 방(separate bedrooms) 쓰기는 나이든 커플들에 훨씬 더 일반적인(be much more
common in old age)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70세 넘는 연령층에선 40% 이상이 따로
자는(more than 40 per cent of those aged 70=plus sleep apart)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는 오래 함께 살아온 부부들(long-established couples)은 자신들의 관계에 보다
더 큰 확신을 느끼고(feel more secure in their relationship)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 나이쯤 되면 부부 침대에서 한 쪽이 빠져나가는 민감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보다
쉽고(find it easier to bring up the touchy topic of one moving out of the marital bed),
젊은 부부들보다 여분의 방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더 크기(be more likely to have
a spare room than a younger couple) 때문이다.

스탠리 박사는 잠자는 것은 가장 이기적인 일(the most selfish thing)이라고 말한다.
누구나 배우자가 옆에 누워있는 느낌은 좋아한다(like the feeling of having his or her
partner next to him or her)고 한다. 껴안고 포옹하는(have a cuddle) 것도 그렇다.

하지만 어느 순간이 되면(but at one point) “나 이제 잘께(I’m going to go to sleep now)”라고
말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해 스탠리 박사는 “물론 친밀한 관계는 부부의 감정 건강에 중요하다
(Of course intimacy is important for emotional health)”면서 “하지만 쾌적한 숙면
(comfortable and good sleep)은 신체적, 감정적, 정신적 건강 모두에 중요하기
(be important for physical, emotional and mental health as well)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 침대를 따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역설한다.
IP : 119.70.xxx.169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완전공감
    '09.12.3 12:06 PM (61.82.xxx.227)

    절대 완전공감입니다요.
    어릴 때부터 혼자 방을 써서그런지..아님 예민해서 그런지...
    지금 결혼 5년차지만 아직도 혼자 자는게 편합니다.
    특히 많이 피곤한 날은 뒤척거리다 남편 다리라도 걸리믄
    잠도 확깨고 솔직히 좀 짜증도납니다.ㅋㅋ

  • 2. 우리나라도
    '09.12.3 12:32 PM (122.36.xxx.11)

    부부 한 이불 동숙의 전통(?)이 생긴게..
    아마도 근대 산업사회 들어와서겠지요?
    예전에는 사랑 이라는 별도의 공간에서 기거하는 일이 많았고
    안방은 안주인의 공간이었잖아요.
    저도 개인적으로... 침대라도 두 개 놓고 사는 게 좋다는 생각입니다.
    더불이나 킹 사이즈나 이런거 말고 싱글로 좀 떨어뜨려서 두 개 놓고...
    방이 좁은 게 한이지요.
    아무리 사랑스러운 남편일지라도(^^:)
    잠은 좀 편하게 자고 싶어요.
    부부 한이불 속에 있지 않으면 큰일 날 듯이 생각하는 거
    다시 한번 생각해 봤으면 싶어요.
    저처럼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니(그것도 전문가라니)
    반갑습니다.

  • 3. 사랑방은
    '09.12.3 9:26 PM (124.49.xxx.81)

    침실이 아니라 남편의 응접실아닌가요? 또는 개인 집무실...
    잠은 안방에서 잔거로 알고 있는데요.
    어릴때 시골에 가면 할아버지는 꼭 안방에서 주무시고 일어나시면 사랑채로 건너가셨다
    조반잡수시러 안채로 건너오시던데...
    친가의 오래된 옛집이 여러채로 되어 있어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6035 호비 배변훈련 DVD있으신분~ 아이챌린지 2009/12/03 1,164
506034 내솥이 올스텐으로 된 전기밥솥은 쿠쿠 10인용밖에 없나요? 6 스텐 전기밥.. 2009/12/03 1,780
506033 아이베이비 택배 어떻게 신청해야하나요? 2 바뀌었네요ㅠ.. 2009/12/03 2,525
506032 동토.. 동티라는거.. 1 신비해 2009/12/03 402
506031 수원 영통8단지 근처로..어디서 운동하세요? 4 파워워킹 2009/12/03 441
506030 국악기로 팝송이나 가요를 연주한 앨범 좀 추천해주세요. 4 추천해주세요.. 2009/12/03 749
506029 맛사지샵에서 숨막혀 죽을거 같은 경험. 17 맛사지 2009/12/03 3,879
506028 경매 넘어가는 친정집 직업없는 대학생 제 딸 이름으로 사놓아도 될까요? 7 아..궁금 2009/12/03 1,323
506027 너무 짜증이나는데, 이럴땐 어떻해 할까요? 9 조언절실 2009/12/03 1,561
506026 부부로 산다는것 3 저도... 2009/12/03 1,215
506025 목동이나 신정동 근처에 헬륨 풍선 구입할 수 있는 곳.. 2 혹시... 2009/12/03 909
506024 [인터뷰] 촛불 진압 거부했던 의경 이길준 씨 8 멋진청년이군.. 2009/12/03 700
506023 미국거주하시는 미쿡맘님들 도와주세요 - 컴앞대기 5 컴퓨터대기 2009/12/03 582
506022 음식 먹으면 가슴이 답답해요 2 궁금해요 2009/12/03 595
506021 컴퓨터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복사하면 줄이 안나와요 2 컴퓨터 2009/12/03 341
506020 아침드라마 보시는분.. 2 다줄거야 2009/12/03 870
506019 정말 진지하게 말하는거예요. 8 농담이 아니.. 2009/12/03 2,159
506018 일산에 조갑경이하는 음식점.... 4 궁금 2009/12/03 2,402
506017 겨울에 발목 레깅스 밑에는 뭘 신나요? 7 궁금 2009/12/03 1,906
506016 여주 아웃렛에 신발 많은가요? 3 볼 넓은 이.. 2009/12/03 569
506015 우리 아들 사진 과학쟁이에 나왔어요^^ 4 엄마 2009/12/03 671
506014 배추유감 14 김장고민 2009/12/03 1,404
506013 중1아들 국토순례 20여일 보낼까 말까 24 꼭 도움요 2009/12/03 1,211
506012 다시는 드라마 안 보려구요... 18 미침 2009/12/03 2,449
506011 피아노 개인레슨 선생님이요. 4 문의 2009/12/03 845
506010 부부관계 오래 가려면 침대 따로 써야 한다는.. 3 따로자자 2009/12/03 2,595
506009 나름 천재(?)소년인데 어찌 이런 아이를 만들죠? 14 2009/12/03 2,116
506008 kme 상장 어디로 오나요? 1 .. 2009/12/03 672
506007 친정 아버지가 용돈 주셨는데요 10 친정아버지 2009/12/03 1,714
506006 경기도 모 고교 학부모님들! 제대로 정신이 박혀 있는지요? 9 사랑이여 2009/12/03 1,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