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자녀의 기저귀 몇개월 때 떼어주셨나요?

고민녀 조회수 : 632
작성일 : 2009-03-29 22:25:26
전에도 고민글을 올린 적이 있는데
저희 딸이 두돌 무렵(24개월) 즈음에 낮 기저귀를 완전히 떼었어요.
시작은 20개월쯤부터 했구요. 밤기저귀는 26개월에 완전히 떼었어요.

기저귀 떼는 과정에서 한번도 혼낸 적 없었고
잘하면 오버해서 칭찬해주는 방법을 썼습니다.

그런데 요즘 (42개월)에 엄청나게 쉬 실수를 해요.
약 38개월부터 시작되었구요. 밤에 2~3일에 한번 정도 실수를 하더니
요즘엔 낮에도 매일 3회 정도 실수를 합니다.

안할 땐 일주일 정도 안하다가
심할 땐 4일 연속으로 매일 2~3회 정도를 해요.

팬티에 지리는 횟수는 하루 1~2회 정도 꼭 있구요.

저도 인간이다보니..-_- 기저귀 뗀지가 1년도 넘었는데
다시 이불 빨래를 해대려니 너무 힘들더라구요.
그래서 화를 내보기도 했습니다.

처음 한달은 안그랬는데 지난번에 여기 고민글 올렸을 때
어떤 분 말씀이.. 얼마나 참을 수 있는지 시도해보는 거 아닐까..
하며 자기 아들은 크게 혼냈더니 그 뒤로 고쳤다고 그러시기에
한번 제대로 혼냈거든요. 그런데 그 뒤로 더 심해지는 것 같아요.

오늘은 기어이 내쫓아버렸어요 ㅠㅠ
얘가 날 놀리나 싶은 생각이 들더라구요.

소아과에 가봤지만 정신적 문제 같다며 기다려주라는 대답만 받았구요.
야뇨증이 아니라서 소아비뇨기과에 가봐도 소용 없을거라고 하더군요.

참고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지 않고
저랑 동네 엄마들이랑 공동육아 하고 있고
미술이랑 체육 센터 두군데 다니고 있어요.
생활면으로 많이 피곤하거나 특별히 스트레스 받는 건 없는 것 같아요.

아이에게 물어보니.. 엄마에게 혼나는 게 너무 무섭다며
그냥 기저귀를 입고 싶다고 그러네요.

42개월에 기저귀라니...ㅠㅠ 다시 기저귀 해줘야 할까요?
아니면.. 대학병원 소아비뇨기과 찾아가서 검사라도 해볼까요..?

너무너무 심난하고 속상하네요.

베이비 위스퍼 골드라는 책을 읽어보니
배변훈련을 너무 늦게하면 나중에 도리어 문제가 된다고 써있었어요.
배변훈련을 늦게 하라는 것이 통설이 된건
종이 기저귀 회사들의 마케팅 때문이라고요.

제가 너무 늦게 기저귀를 떼어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요?
용변을 못가리니 공동육아 가서도 정말 창피해요.
매일 갈아입을 옷 싸들고 다니고요.
제가 보고 있으니 아이들이 울 딸을 놀리면 제가 못하게 하지만..
저러다 유치원이나 다닐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도움을 부탁드려요..ㅜㅜ
IP : 221.150.xxx.20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9.3.29 10:56 PM (222.98.xxx.252)

    에구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저희 큰애도 그맘쯤 아니 그보다 더 늦게 기저귀를 뗐어요
    님아이처럼 낮기저귀랑 밤기저귀를 거의 동시에 뗐지요
    근데...요녀석이 한 48개월무렵...밤에 실례를 매번 하는거에요
    낮에는 괜찮은데 말이에요
    저도 얼마나 화가나는지...자는 애 엉덩이를 때려주기까지 했어요

    애가 어린이집다니면서 좀 피곤했었나보더라구요
    근데 너무 웃긴건 자는 애를 깨워서 중간에 소변보게 했어도
    흥건히.....실례를 하는거에요
    그렇다고 기저귀 채워놓으면.......답답한지 중간에 자기가 벗고 또..실례하고...

    우선아이가 어떤일에 스트레스 받아하는지 잘 이야기해보세요
    그리고 야단치기전에 먼저 아이도 챙피해한다는걸 알고 좀 다독여주세요
    소변을 놀다보면 참다가...실수 할수 있으니
    볼쯤 되면...엄마 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같이 데리고 가주세요
    아무래도 남이 소변보면 저도 가고 싶잖아요

    저라면...아이가 당분간 스트레스 안받아할때까지 기저귀 채워줄것 같아요
    자꾸 실례하면서 아이가 수치심느끼는것보다는 그게 나을것 같으니까요

    지금 둘째 18개월인데.....
    가끔 기저귀 안채워놓고 자기가 실수해놓고서는
    엄마 아파...하고 웁니다..ㅋㅋㅋ
    아직 때가 아닌것 같아서 기다리고 있어요
    가끔 소변통주고 쉬~~ 해도 들은척만척
    물론 일찍 기저귀떼서 좋은 점도 있겠지만
    사실 굉장히 큰 스트레스 잖아요 기저귀브랜드의 상술일지도 모르지만
    그냥 좀 느긋하게 가려구요
    큰애도 좀 늦게 떼서....(어린이집가면서 뗐거든요 두돌무렵)

  • 2. 우리애
    '09.3.29 11:07 PM (211.177.xxx.213)

    나이는 6살이지만 개월수는 이제 50개월인데요..
    기저귀를 늦게 뗀 편이죠..30개월 넘어서 훈련 시작했고 3개월쯤 후에 완전히 떼었어요.
    첨엔 잠자다가 실수 몇번 했지만 지난 1년 넘는 기간동안은 한번도 실수 한 적 없구요..

    근데..30개월쯤 기저귀 뗐던 우리 조카는..동생 태어날 무렵 그렇게 잠자면서 실수를 하더라구요..아마 40개월 무렵이었는데..한동안 제 동생을 아주 괴롭히는 문제였어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니까 좋아지긴 했는데..엄마가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주는 것 밖에는 방법이 없더라구요..제 동생은 너무 스트레스를 받아..애가 잠들면 기저귀를 살짝 채워주곤 했어요. 갓난쟁이 돌보면서 큰아이 이불빨래까지는 도저히 못 하겠다고..
    아이가 다시 기저귀 한다는 것에 대해 큰 거부감은 없어하던데..아이가 편해한다면 당분간 잘 때만이라도 그렇게 해주시는게 낫지 않을까요?

  • 3. 고민녀
    '09.3.29 11:18 PM (221.150.xxx.200)

    네에.. 일단은 심리적인 문제가 크겠죠?
    제가 뭔가 억압감을 주고 있는 게 아닌가. 고민이 되네요.
    제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려해도 잘 안되니 말예요.
    도움 말씀 주신 두분 너무나 감사해요.
    내일 기저귀를 사러 가야겠네요.

  • 4. 걱정되어서
    '09.3.30 12:01 AM (58.140.xxx.162)

    멀.....그런애 많아요. 그런데 절대로 화내지 마세요. 그런가보다...그냥 모른듯이 스리슬쩍 지나가 주세요.
    33개월때 두아이 그렇게 떼었구요. 36개월까지 머릿속의 배설통솔력 뇌가 형성 된다고 합니다.

    저는 화내지 않고,,그러려니...지나갔어요. 님이 화난것 땜에 아이가 더 힘들어 진거 같네요.
    화내지 마삼. 아이의 쉬실수는 정말로 엄마의 불화원인이 많습니다......
    내가 큰애 한테 불만이 있으면 큰애는 .....실수를 가장한 실수로 저를 벌주었어요.
    기저귀 끊은날 바로 밤 부터 쉬한번 안싼 녀석이 말입니다.

  • 5. 저도살짝..
    '09.3.30 12:45 AM (125.178.xxx.12)

    혼내신게 컸던거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저희아이는 남아고 지금 생각해보니 31개월쯤 뗀거같아요.
    제가 배변훈련 거의 안해줬구요.
    (스트레스 될까봐 늦더라도 자연스레 떼도록 잘했을때 칭찬만했어요)
    어린이집 선생님이 다 해주셨고,여름이어서 어찌저찌 뗐는데요.
    제가 다른건 좀 엄하고 무섭게 하는편인데
    그런실수는 한번도 야단안치고 다독이고 넘어가거든요.
    기저귀떼고 두세번쯤 과일많이 먹고 잔날 실수한적있어도
    괜챦아~과일많이 먹고자서 그런거야, 어른들도 어렸을때 다그랬어~
    이렇게 넘어가고나선 단한번도 실수한적 없어요. (지금49개월)
    아이가 절 아주 무서운 엄마라고 생각하지만
    아이다운(신체적능력이 덜 발달한 상태에서 얼마든지 일어날수있는)그야말로 실수에
    대해서는 많이 너그럽고 시간을 많이 줘야하는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6396 다들 중학수학 1년 이상씩 선행하나요? 9 늦은 후회 2005/12/01 971
296395 사향고양이 커피---세계에서 제일 비싼 커피 [펌] 4 비위 2005/12/01 481
296394 한약재 넣은 흑염소 어떻게 보관해야하나요. 2 임신 2005/12/01 197
296393 여기 옷 어떄요?? 4 초보맘 2005/12/01 1,060
296392 <예고-부산송년회>죄송합니다...글 내립니다... 11 프림커피 2005/11/30 1,887
296391 개롱역 근처 사시면서 茶 많이 많이 아주 많이 마시는 분 계신가요?? 5 ... 2005/12/01 429
296390 사과에 들어있는 꿀.... 2 꿀사과? 2005/12/01 962
296389 돌 된 아기에게 현미 괜찮나요? 7 . 2005/12/01 361
296388 아이한약 한달 넘게 베란다에 있었는데 .. 4 한약 2005/12/01 250
296387 어제 급여 미지금 글 올렸었는데요. 2 우울 2005/12/01 359
296386 디스크랍니다. 7 목디스크 2005/12/01 452
296385 소나무 원목테이블 쓰고계신분?? 테이블질문 2005/12/01 145
296384 체했을때 직접할수있는 민간요법을 소개합니다, 촌부 2005/12/01 581
296383 짐보리 7 직장맘 2005/12/01 639
296382 12월중순 20개월 아기랑 제주도 가는데 소소한 질문 도와주세요.. 7 아기엄마 2005/12/01 332
296381 마트에서 우연히 만난 사람이 17 소심녀 2005/12/01 2,330
296380 설화수 중에 제일 좋은게 뭘까요? 5 ^^ 2005/12/01 869
296379 가만히 있어야 할까요? 18 제3자 2005/12/01 1,646
296378 40대 화장 6 40대 2005/12/01 1,025
296377 부천에 사시는 1 어떡해요. 2005/12/01 211
296376 가죽쇼파에서 색깔이 묻어 나와요 1 질문 2005/12/01 167
296375 조심스럽지만 한의원에 대해서 여쭤볼께요 6 불임 2005/12/01 672
296374 뉴코아한의원 4 아토피싫어 2005/12/01 323
296373 인테리어 업자 선정 안하고 할 수 있나요? 비용문의.. 3 집수리 2005/12/01 358
296372 오뎅녀.......라고 불리는 여자 9 어묵 2005/12/01 2,142
296371 옷차림... 4 맞선 2005/12/01 533
296370 폴로 남자 스웨터 살려하는데.82님중 구매대행하시는분있어요? 5 쇼핑 2005/12/01 504
296369 비즈니스 캐주얼에 대해서 아시는 분~^^ 4 2005/12/01 415
296368 김치냉장고가 전기요금 많이 나오나요? 6 전기요금 2005/12/01 1,326
296367 언제 전학을 시킬지 고민되네요. 6 초등맘 2005/12/01 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