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이혼제도 개선점…전업주부 기여도 50% 인정돼야

폭풍속으로 조회수 : 275
작성일 : 2009-03-04 11:12:36
전문가 진단
  
◆이혼 경제학◆

  
어쩔 수 없이 이혼을 하게 될 경우 가장 큰 문제는 자녀문제와 경제문제다. 특히 여성, 자녀와 같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법적 보호는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가족법은 1990년도에 재산분할청구제도를 신설했다. 지난해에는 자녀를 둔 부부가 협의이혼을 하려면 3개월의 숙려기간을 반드시 거쳐야 하는 이혼숙려기간제 및 이혼 전 상담제도가 도입됐다.

현재도 재산의 균등분할, 친권자동부활과 관련된 친권자 변경 조항 등의 민법개정안과 양육비 지급 이행 확보를 위한 가사소송법 개정안 등이 입법 계류 중에 있다.

이혼제도와 관련해 여성단체, 학계와 법조계는 특히 사회적 약자인 여성과 자녀들의 법적 보호를 위해 노력해왔다. 이에 힘입어 가족법이 개정되는 등 여성과 자녀의 인권과 복리가 크게 향상됐다.

그럼에도 이혼에 있어 아직도 입법화되지 못한 문제들이 많다. 또 입법화됐더라도 외국의 입법례에 비춰 다소 미흡한 점 등이 있다.

우선 협의이혼 시 거쳐야 하는 이혼숙려제도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우리 가족법은 이 기간 전문상담인과의 상담을 권고한다. 독일은 미성년 자녀가 있는 경우 반드시 상담을 받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더 나아가 협의이혼이 아닌 이혼소송의 경우에도 실무상 당사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일방만이 원하는 경우 상담을 강제할 수 있는 규정이 없어 실제 심리상담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

둘째 양육비 지급 이행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다. 다행히도 현재 가사소송법 개정안이 입법 계류 중에 있다. 주요 내용은 급여에서 양육비를 사전 공제하는 급여공제제도(미국 입법례), 양육비를 정기적으로 지급할 경우 담보 제공을 명하고 이에 불응할 경우 양육비 전부나 또는 일부를 일시금으로 지급하는 것 등이다. 보다 확실한 이행 확보를 위해 국가가 우선 양육비를 지급하고 나중에 양육비지급의무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는 양육비선급제도(독일, 프랑스, 스위스 채택) 도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독일의 경우와 같이 양육비 지급의무가 있는 아버지가 양육비를 지급할 능력이 없는 경우 조부모에게 양육비를 청구하기도 한다.

양육비와 위자료 액수 문제도 짚고 넘어갈 사안이다. 최근 서울가정법원은 자녀 양육비와 위자료 산정 기준을 마련했다.

이는 양육비 액수가 현실에 비해 다소 적고 위자료 산정기준이 기존판례가 인정해온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향후 자녀복리와 여성보호 차원에서 좀더 탄력적으로 운용되길 바란다.

재산분할 시 전업주부의 기여도에 대한 재고도 필요하다. 그동안 전업주부의 기여도를 50%로 인정하는 문제가 꾸준히 논의돼 현재 입법 계류 중이다. 조속한 입법을 통해 가사노동이 소득노동과 균등하게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

독일은 1957년부터 전업주부의 기여도를 50%로 인정해오고 있으며, 미국도 대부분 주에서 전업주부의 기여도를 50%로 인정한다.


최근에 고 최진실 씨 사태로 논의가 빈번했던 친권자동부활도 검토 대상이다. 외국 판례에서는 친권자동부활론을 취하고 있는 경우는 찾아볼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도 고 최진실 씨 사태를 계기로 친권의 자동부활 대신 생존한 다른 일방이 친권자 변경을 청구하고 법원이 ‘친권자 변경이 자녀 복리에 반한다’고 판단할 경우 청구를 기각한 후 후견인을 선임하도록 하는 내용의 민법개정안이 제출돼 있는 상태다.

그 밖에 부동산 등 중요재산 처분 시 반드시 배우자의 동의를 필요로 하는 문제, 이혼 전이라도 외도, 장기간 가출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이혼 전 재산분할 청구를 허용하는 내용의 입법화 역시 해결돼야 할 문제다.

[고순례 변호사]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1495호(09.03.04일자) 기사입니다]




IP : 58.224.xxx.4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1865 초등아이 한자 학습지 계속 시켜야할까요? 2 한자 2009/03/04 516
    441864 7080 시절의 추억 4 .... 2009/03/04 419
    441863 아이에게 이기적이 되라고 얘기할 수도 없고.. 1 갈등 2009/03/04 290
    441862 "진실"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받고 있습니다. 9 첫번째알림 2009/03/04 470
    441861 [뉴스추적]"형돈아 생일축하한다!" 팬클럽 신문에 광고 8 verite.. 2009/03/04 1,071
    441860 회사 능력남은 오늘도 주식 산답니다. 29 벨리 2009/03/04 1,522
    441859 토지담보대출 받을때 어디를... 대출 2009/03/04 90
    441858 설사 없고 배 안 아프면서 계속 토만 한다는 시누이... 4 신경쓰여 2009/03/04 558
    441857 급)미역줄기볶음이 넘 비린데 우짜죠? 5 비려욤 2009/03/04 387
    441856 뭘 원하는거니.. 냐앙 2009/03/04 150
    441855 나*원 씨 이쁘다는 사람이랑 맨날 싸우네요 29 갈등 2009/03/04 1,249
    441854 아이 장래 희망 적는 란이 있더군요. 부모 생각, 아이 생각 두 칸으로요 16 가정환경조사.. 2009/03/04 763
    441853 김대중 전 대통령 혜안이 대단했던거 같아요,.... 13 김대중 전 .. 2009/03/04 1,456
    441852 사교육..남이 하는 건 한심하게 보인다?(지겹겠지만) 16 애엄마 2009/03/04 1,328
    441851 싱겁게 먹는게 몸에 헤롭나요?? 15 궁금이 2009/03/04 1,064
    441850 편하게 먹고 싶어요 --+ 8 소고기 2009/03/04 390
    441849 학급 임원 선거에 나가서 센스있는 말이 무엇 있을까요?..;;, 5 도와주세요... 2009/03/04 674
    441848 콩이엄마님 참가자미 12 식혜만들려고.. 2009/03/04 823
    441847 나경원 의원 미니홈피 보다가... 9 .... 2009/03/04 1,052
    441846 두달째 생활비가 없네요 49 2009/03/04 8,062
    441845 다들 그렇게 재미있으셨어요? 36 2009/03/04 5,686
    441844 "아침에 출근했더니 회사가 없어졌어요" 5 세우실 2009/03/04 1,174
    441843 홍준표 "3월 `방탄국회' 열지 않겠다" 2 세우실 2009/03/04 138
    441842 안철수연구소, 메신저 통해 전파되는 악성코드 경고 1 세우실 2009/03/04 228
    441841 라면의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언제까지인가요? 5 솜사탕 2009/03/04 229
    441840 노트필기 잘안하나요? 2 초등학생 2009/03/04 233
    441839 3월 4일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선정한 <말과 말> 세우실 2009/03/04 192
    441838 이혼제도 개선점…전업주부 기여도 50% 인정돼야 폭풍속으로 2009/03/04 275
    441837 양도세는 ``` 8 과이맘 2009/03/04 414
    441836 거짓말하는 남편... 1 거짓말 2009/03/04 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