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하루밤 따뜻하게 보내는 비용??^^

난방비 조회수 : 1,652
작성일 : 2008-11-21 12:47:49
다들 난방비 걱정 많으시죠?^^
이제 본격적인 겨울이라 도시가스비가 얼마나 나올지 걱정도 되고...
밤에 잘 때는 보일러 돌리지만..
낮에 거실에 돌리려니 갈등되서^^;
두 가지를 비교해 보려고 우선 밤에 잘 때 도시가스가 얼마나 돌아가는지 체크했는데
22평 울 집의 큰 방 하나만 보일러를 미지근할 정도로 돌리고 자니까 2m^3(미터위에 작게 삼자가 적혀 있는데 정확한 단위 이름은 모르겠어요)
암튼 하루밤 9시부터 담날 9시까지 돌아가니까 2 정도가 나오네요..
고지서에 보니 단위당 요금이 646원 정도니까
하루밤에 천삼백원 정도 됩니다^^;
거실에도 돌려보고 확인을 해야되는데...
거실은 자꾸 끄게 되요....

나중에 거실도 확인하면 다시 글 올려볼까요?^^ 궁금하시려나...
나만 할 일 없어서 이러는건지....ㅠ.ㅠ 부끄부끄..


IP : 124.54.xxx.68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08.11.21 12:51 PM (119.71.xxx.19)

    저도 작년 겨울에 날마다 체크했어요.
    봄엔 좀 뜸하다가 여름엔 전기요금 때문에 열심히 체크했구요.
    대충 이정도 돌리면 얼마 나온다는 어림짐작이 된 이후로는 그냥 지냅니다.^^

  • 2.
    '08.11.21 12:51 PM (218.147.xxx.115)

    원글님 2밖에 안올라가요?
    전요. 낮엔 집에 사람 없어서 안돌리고요.
    밤에 어제 처음으로 시간 계산을 해봤어요.
    9시 반부터 틀었고요. 처음엔 중온에 놓고 타이머로 한 삼십분 해놨는데
    미지근도 될까말까 하기에 연속으로 돌렸어요.
    한시간정도. 그래도 바닥은 겨우 미지근...
    그랬다가 30분정도는 다시 타이머로 했고요.

    그렇게 했는데 아침에 보니 2정도 썼더라고요.
    도대체 따뜻하기는 커녕 미지근도 겨우 될까 말까 하다 그랬는데...
    따뜻하게 지내려면...휴...

  • 3.
    '08.11.21 12:52 PM (218.147.xxx.115)

    참. 그러다가 11시 반에 아예 꺼버렸고요.
    도대체 어찌 지내야 할지..

  • 4. 그런데
    '08.11.21 1:13 PM (125.252.xxx.138)

    집 전체를 다 안 돌리면 동파의 위험도 있고 해서 그냥 집 전체를 다 돌리게 됩니다.
    실지로 동파돼 수리비 엄청 든 경우도 봐서요.

    오늘은 안 춥네요.
    계속 오늘 정도만 됐으면 좋겠어요. 하지만, 겨울 내내 이렇다면 그건 또 이상 기온이겠죠? ㅠ.ㅠ

  • 5. 깜장이 집사
    '08.11.21 1:24 PM (211.244.xxx.20)

    방금 이 글 보고 확인했는데 갑자기 몸이 더워지네요.. 특히 뇌쪽이.. ㅡㅡ^
    아직 한달도 안됐는데 지난 달에 쓰던거의 몇배는 썼네요..
    어제 저녁먹으면서 모시는 분이 저녁에 인형눈깔이나 붙일까 하던데 그래야할까봐요.. 어부어부..

    날씨는 추워도 마음만은 따뜻했으면 하는데 얼어붙은 경제에 마음까지 꽁꽁이네요.. ^^;

  • 6. 어~
    '08.11.21 2:39 PM (125.242.xxx.10)

    저도 어제 궁금해서 한번 확인해보니...
    잘때 안방만 30분씩 3시간 간격으로 돌렸으니...

    총 2시간 돌리니까 2 올라갔어요~

  • 7. 도시가스
    '08.11.21 3:19 PM (211.57.xxx.106)

    단위는 보통 루베라고 해요. 저도 요즘 너무 춥네요. 가스비 아낄려고 가디건 하나 더 입는데도 마음이 추운건지 작년보다 더 추워요. 저희는 새벽에만 잠깐 돌려요 하루에 한시간정도요. 확장한 아파트라서 더 썰렁하답니다.

  • 8. 아직
    '08.11.22 1:21 AM (116.33.xxx.149)

    보일러 가동 한번도 안했습니다..
    저는 티에 봄점퍼 걸치고 애들은 내복에 조끼나 츄리닝입으며 버텨요^^
    그나마 애들이 초등학생이니 가능하네요..더 어리면 아무래도..
    어쨌거나..올 겨울 한번 버티어 보려구요..
    지난 며칠 엄청 추웠잖아요..그때도 버티었으니 가능 하겠지요? ^^;

  • 9. 참,
    '08.11.22 1:23 AM (116.33.xxx.149)

    두꺼운 커텐치고(있던거)
    애들은 이번에 비염도 있고 해서 극세사 침구 마련하는데
    벌써 50만원 넘게 썼군요..ㅠ.ㅠ
    그래도 애들이 난방 안해도 따뜻하게 잤다하니 다행이랄까?
    거실은 11년전 결혼 할때 마련한 면매트 깔고
    인터넷서 2500씩 주고 산 슬리퍼 신고 다닙니다..

    이불값 생각하면 난방하면 안되겠죠? 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51695 반포자이 35평 7억5천짜리가 나왔네요. 20 2008/11/21 7,840
251694 유자차가 과연 차 맞나요? 7 허거걱! 2008/11/21 1,135
251693 어제 100분토론 8 은행잎 2008/11/21 852
251692 평생할만한 악기 16 ... 2008/11/21 1,840
251691 성인 6사람이 먹을 수육양? 20 김장후 수육.. 2008/11/21 7,899
251690 적립식 펀드 오늘 해약했네요. 2 펀드해약 2008/11/21 1,139
251689 기침약 코데인 처방 어디서 받나요? 8 환자 2008/11/21 2,172
251688 옥션에서 주문해도 괜찮죠? 1 ... 2008/11/21 281
251687 서울대에서 금융위기에 대해 토론회를 합니다 16 구름이 2008/11/21 1,181
251686 인터넷으로 살까합니다.. 7 생필품을 2008/11/21 888
251685 뭐든지 그림으로 표현하는 아이? 12 초등저학년 2008/11/21 733
251684 하루밤 따뜻하게 보내는 비용??^^ 9 난방비 2008/11/21 1,652
251683 스토어s 에서 히터 그림나오는데 오늘 히터판매 아니지요? 1 긍정의 힘1.. 2008/11/21 239
251682 재테크 게시판도 만들면 어떨까요? 2 건의 2008/11/21 267
251681 분당에 첼로 3 첼로 2008/11/21 507
251680 해남배추 3 김장 2008/11/21 547
251679 유치원과 초등학교 입학관련문의 1 엄마노릇힘드.. 2008/11/21 274
251678 수영두달째..어찌해야할까요 8 수영장물내가.. 2008/11/21 913
251677 아는 사람이 다이너스티인터내셔널에 다닌대요 9 다단계 2008/11/21 886
251676 아기 돌봐주는 비용 적절한지 좀 봐주세요~ 7 다미맘 2008/11/21 858
251675 경제관련서적 1 완전초짜 2008/11/21 315
251674 이렇게 김장해도 될까요? (강순의 명인 김치 따라잡기) 5 요리꽝 2008/11/21 1,548
251673 간소한 식단? 5 그냥 2008/11/21 924
251672 포대기로 애 잘업는 방법 있나요? 9 아기엄마 2008/11/21 612
251671 수천억 부채 남기고 잠적 1 (펌)경매 .. 2008/11/21 1,149
251670 공립교사와 사립교사의 차이점은? 11 뭔가요 2008/11/21 8,843
251669 알고 싶어요 4 절임배추 2008/11/21 366
251668 문근영 외조부 류낙진 묘소 백색테러는 2005년도의 일입니다. 11 윤복이 2008/11/21 874
251667 류산슬에 건해삼 말고 그냥 해삼 써도 되나요? 2 요리질문 2008/11/21 219
251666 혹시 엠비시 라디오 8시 .. 7 배칠수 2008/11/21 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