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생협에 가입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검색해보니 종류가 많나봐요;
몇 가지 신경쓰이는 것들은 올가에서 사서 먹곤 했었는데요
아무래도 이제 식자재 전부를 조금이라도 더 안전한 곳에서 사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검색해보니 한국생협, 두레생협, 한살림 다양한 거 같은데
지금 제가 보통 장보는 게 생필품도 포함해서 한 달에 15만원 정도에요.
아마 이제 집에서 먹는 횟수가 늘어나면 식품류는 더 많이 사게 될 텐데..
만약 가입한다면 출자금 내야 하는 건 약간 부담되긴 하지만
한 두 달 지나고 나면 꼬박 돈 나가는 거 잊어버릴 수 있을 거 같아요.
제가 궁금한 건
1. 어느 곳이 더 다양한 물품이 있는가 - 여러 군데 돌면서 사야 하는 건 더 힘들 것 같아서요
2. 소량 포장이 잘 되는 곳은 어딜까 - 식구가 적어서 한 번 사서 먹을 수 있는 양이 많지가 않아요
3. 일반유기농매장에 비해서 출자금을 내고 가입할 가치가 있는가 - 가격이나 제품질 측면에서요
아래에도 조합원분이 글 올려주셨는데 (사실 덕분에 제대로 검색해볼 생각을 했어요. 감사합니다)
다른 조합원분들 계시면 도움말씀 좀 주세요..
고맙습니다 :)
1. 한살림
'08.5.4 3:17 PM (58.140.xxx.198)싸서요. 일반매장과 비교해서 그리 비싸지않은 가격이기에 여기서 먹습니다. 주고 곡류중심 이었는데,,,,고기까지 손을 뻗어야 겠습니다.
생선과 채소는 시장서 사다가 먹고요. 중국산만있는 시장이라서 곡물류나 건어물류를 여기서 사 먹어요.2. .
'08.5.4 3:20 PM (121.88.xxx.106)한국생협에 가입해있구요, 조합원으로 출자금 2만원내고 한달 15만원 이상 쓰시면
비조합원보다 이득이죠. 물론 가격이나 품질면에서 너무 좋아요. 전 생협가입하고
일반 마트나 백화점에서 드는 비용보다 더 합리적이고 아껴쓰는거 같아서 좋아요.
야채도 싱싱하고 조미료도 합성첨가물없이 유기농으로 만들어서 하니 안심하고 씁니다.
지금 거기서 만든 유기농 간장, 된장, 면으로 된 생리대, 천연수세미(정말 좋아요),잣(넘
맛있어요), 우리밀로 된 빵, 케잌, 떡(단호박인절미 넘 맛있어요), 설탕대신 유기농배엑스
쓰구요, 매실장아찌...등등 많이 써봤는데 다 넘 좋아요. 아기가 있는 집이라면
꼭 이용해보세요3. .
'08.5.4 3:21 PM (121.88.xxx.106)아, 그리고 생협 소포장 잘되서 나와요. 월,수,금 배달이구요.
4. 저희는
'08.5.4 3:23 PM (222.232.xxx.139)두레생협. 잡곡, 과일, 야채, 두부, 요구르트, 과일즙, 생선은 여기서 사요. 쌀하고 고기류는 가격부담때문에 ㅠㅠ
5. 두곳이용
'08.5.4 3:33 PM (220.83.xxx.119)전 생협 한살림 두곳을 보완적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한살림은 전국조직이고 지부형식으로 각 시도에 있구요(없는곳도 있구요)
가입비나 물품값이 전국 동일합니다. 배송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생협은 각지역별로 형성되어 있고(운영이 개별적=가입비나 운영방식이 서로 다름)
물품은 각 생협들이 두레생협이란 이름으로 공동으로 취급합니다.(해당 지역생협 물품을 우선 공급하고 )
때문에 아무 생협이나 전화하면 님의 지역에 형성된 생협 연락처를 알려줄겁니다. 한곳일 수도 있고 여러곳일수도 있구요 그중에 님이 결정하세요
저도 올가나 초록마을 이용해봤는데.. 그곳보다 믿음이 갑니다.6. ...
'08.5.4 3:33 PM (203.229.xxx.127)저는 한살림 조합원이지만
주변에서 물어오면
1. 집 가까이 매장이 있는 곳
2. 가까운 이웃이 가입하지 않은곳
을 먼저 고려하라고 말합니다.
워낙 주문,배달 할수 있긴 하지만, 공급일이 정해져 있으니 매장갈일이 꼭 생기구요.
생협에서는 설탕을 취급하지만, 한살림은 공급하지 않는 것처럼 서로 조금씩 품목이 달라
저는 이웃하고 서로 부탁해가며 주문해먹거든요.
나머지는 생산지도 비슷하고, 가격도 큰차이가 없어요.7. 원글이
'08.5.4 3:38 PM (59.10.xxx.34)아, 오프라인매장도 생각을 해 봐야 하는 거네요.
답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장보기 예산이랑 이래저래 한 번 맞춰보고 가입해야겠어요.
정말 고맙습니다 :)8. 저는
'08.5.4 4:01 PM (122.44.xxx.134)한살림 이용하는데..
제가 전업주부였으면 생협도 가입했을것 같아요.
물품 비교해보시면 월15만원 이상 쓰실꺼면 생협이 월납금 1.5만-2만 있어도 싸요.9. 이루자
'08.5.10 1:14 PM (211.59.xxx.120)지난번에 어떤분이 올리신 글에 제가 달았던 댓글입니다.
도움이 되시라고 다시 옮겨봅니다.
------------------------------------------------------------------------------
보통 한살림과 생협을 비교를 많이 하시는데,
생협의 기본운영원칙은 같으나, 단체에 따라 농업, 건강, 환경, 여성, 종교, 노동, 의료 및 복지, 평화문제 등 보다 중요하게 강조하는 가치는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한살림은 생명이 살아있는 유기농산물 직거래 운동을 통해 식량자급, 농업과 생태계보전, 생산, 생활양식의 변화, 공동체적인 연대 등을 강조해왔습니다.
특히 생산자, 소비자, 실무자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조직이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생산자 조직은 단순히 물품을 생산하는 것만이 아니라 유기농을 통해 마을 공동체를 복원하고 생태적인 농촌문화를 살리는 농업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한살림의 운영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점이 다른 조직과 다른 특색이라고 알고있습니다.
다른 생협과 달리 가입이 까다로운(?) 이유는 새로 가입하는 조합원들도 한살림 물품을 소비하는 일이 농업을 살리고 세상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일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살림의 새로운 주인이 될 수 있다는 생각때문이라고 합니다. ^ ^
간혹 월 15만원 이상 유기농산물을 이용하는 분이라면 월회비를 납부하더라도 생협이용이 더 저렴하다는 비교의 글을 보는데,
한살림은 <생산자는 소비자의 건강을, 소비자는 생산자의 생활을 책임진다.> 는 슬로건과 같이 생산자의 생산비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가격 결정을 합니다.
유기농업은 생산비(퇴비, 제초작업 등)가 많이 들고 병충해등으로 수확량이 감소하므로 일반농산물보다는 다소 가격이 비싼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자연재해와 같은 특별한 변동이 없으면 연중 거의 비슷한 가격으로 공급하므로 겨울이나 시장가격이 불안정한 때에는 오히려 한살림 채소가 시중가보다 싸기도하고, 조합원수가 많
기때문에 유통비용등을 줄일 수 있어 다른 유기농 단체보다는 가격이 저렴합니다.
가격 중 유통마진 20%는 한살림 직거래 운동에 필요한 유통비용과 다양한 조합원활동을 지원하는데 사용되고, 잉여금은 출자금 배당 또는 잉여금 배당으로 조합원에게 다시 환원됩니다.
유기농산물 직거래 운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식량자급,안전한 먹을거리 생산, 생태계보호, 생활양식의 변화 등을 실현하는 데 있으므로 현재 책정된 물품가격에는 이러한 사회적 비용까지 함께 포함되어 있다고 보시면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전 평범한 주부이지만, 저도 궁금하던 점이어서 그동안 공부 좀 했기에 정보 공유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