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결혼식에 부조금 얼마해야 하나요?
신랑이 지방중소기업다녀요.
직원이 결혼하는데 얼마부조해야하나요?
도통 몰라서요,
많이 주면 좋지만 너무 적어도 그럴꺼 같아서요.
얼마가 가장 성의 있는 부조금액수인지 알려주세요.
1. 요즘
'08.2.15 5:47 PM (220.126.xxx.186)요즘 친구끼리는 50~백만원정도 하는거같아요..
세탁기나 냉장고 앙드레같은건 아니고 튤립 뭐 이런거 해주는거같고
직장동료라면 20만원이 기본인듯한데 직급에 따라 틀리겠지요~2. 헉..
'08.2.15 5:50 PM (61.79.xxx.236)친구라고 하더라도 혼자 저 정도 내지 않는 걸로 알아요.
보통 친구들 모임이나 친구들끼리 모아서 같이 축의금 하면 몰라도...
평균적인 보통 기준에서 말이죠..^^;
그리고 직장동료는 더욱더 개인적으로 잘 안하지 않나요?
보통 회사에서 직원들 얼마씩 각출해서 축의금 모아서 건네주던데..
원글님 남편 회사에서는 따로 하는 분위기 인가요?
그렇다 하더라도 보통 5만원 정도 하지 않나요?3. ..
'08.2.15 5:51 PM (125.7.xxx.234)서울 중소기업 입니다..보통 동료간 결혼 부조금은 친분 따라 5만~10만원 정도 합니다..
4. 허거덩
'08.2.15 5:55 PM (203.248.xxx.81)웬 친구 50~백만원, 직장 동료 20만원???
저와는 다른 세상 이야기 같네요.
직장 동료면...아무래도 친구보다는 좀 소원한..그런 관계 아닌가요?
개인적으로 한다면 5만원,
아니고 갹출하여 부서 단위로 전달한다면 인당 금액은 그보다 더 낮아지는 걸로 알고 있어요.5. 보통
'08.2.15 5:55 PM (59.10.xxx.37)인사만 해야 하는 사이면 5만원, 그 외에 좀 안다 싶으면 10만원 정도.
6. 헥~
'08.2.15 5:59 PM (211.51.xxx.227)아주 친한 동료가 아니면 3~5만원 하지 않나요?
데리고 있는 부하직원이라든가 절친하다 하면 10만원 정도...7. 허걱~~
'08.2.15 5:59 PM (121.140.xxx.44)처음 리플 달으신분...읽다가 기절할뻔 했네요.
직장동료가 20만원이 기본...
연봉이 3억쯤 된다면 몰라도...
보통 개인적으로 한다면 5만원이면 될것 같고,
직장에서는 보통 갹출하므로 더 낮아질것 같네요.8. 누가
'08.2.15 6:01 PM (222.112.xxx.203)직장 동료에게 20만원을 하나요?
저도 부조금이나 제수비용은 넉넉히 하는 편인데, 작은 사무실에서 오너가 부하직원에게 20만원 하면 몰라도 동료끼리 20만원 한다는 얘기는 처음 듣습니다.
큰 친분 없이 그냥 알고만 지내는 사이라면 안 하거나 3만원, 약간 친하다면 5만원, 많이 친해서 직장 동료를 넘어서 친구 사이라면 10만원 정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9. ..
'08.2.15 6:03 PM (222.118.xxx.220)3만원이나 오만원이요..
10. ....
'08.2.15 6:05 PM (58.233.xxx.85)맨위분은 울나라사람아닌갑다 .남편분이 오너입장이시면 액수가 좀 달라질테고 ...그냥동료수준이면 갹출.인사 안할순없고 받을날있을라나 없을라나 그런사이면 3만원도 있던데요
11. 댓글
'08.2.15 6:06 PM (220.126.xxx.186)헉..그런가요??
저만해도 제 친구들 다 그정도했고 저도 직장동료 결혼식에 처음엔10만원부터 했었거든요.
밥값이 10만원선이라서--;;
친구라면 그 이상 훨씬 다 하지만 별로 친하지 않음 10만원 그래도 일과 관련있는 사람이라면 20만원은 기본이라고 생각하고지금도 그렇게 하고있는데 사람마다 틀리나봐요..3만원 내는 사람은 전 본적이 없네요=12. 밥값이
'08.2.15 6:13 PM (222.112.xxx.203)10만원 이상인 곳이라면 호텔도 급이 가장 좋은 곳에서만 하시나보네요.
직장 동료들이 그런 곳에서 할 정도면 직장도 좋은 곳인 것 같고, 일과 관련되어 만나는 사람들도 그 정도일 거구요. 그런 상황에서는 직장동료에게 10만원 이상 해야 하겠지만, 일반적으로 한국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서는 직장 동료에게 축의금 그 액수로는 하지 않죠.
그리고 막상 결혼해보면 밥값 얼마건 간에 3만원 들고 오는 사람 의외로 많답니다. 저는 다섯 명 이름 쓰여진 봉투에 10만원 든 것도 받아봤는걸요.13. ??
'08.2.15 6:15 PM (221.145.xxx.26)밥값이 10만원하는 곳은 좋은 호텔이죠..
저 지난 10월에 결혼했는데.. 3만원 하는 사람은 1-2명이었구요..
회사에서는 단체로 걷던데.. 그러는 경우는 2만원~3만원한대요..
따로 하는 사람들은 5만원 들어왔어요..
친하지 않고 결혼식에 가지 않으면 3만원..결혼식에 갈거면 5만원이 좋겠네요..14. 1
'08.2.15 6:20 PM (221.146.xxx.35)혼자 하면 5만원이 무난
15. 그쵸
'08.2.15 6:53 PM (121.136.xxx.187)보통은 5만원 정도고, 좀 친하다 싶으면 10만원이죠.
무슨 직장 동료에 20씩이나요?
농담이 심하시네요.ㅎㅎ16. 5만원
'08.2.15 6:53 PM (59.11.xxx.246)보통 5만원이지 않나요?? 요즘은 3만원은 별로 없는거 같던데..
17. 참석하면
'08.2.15 7:24 PM (125.177.xxx.136)5만원, 돈만 내면 3만원이요...
18. ...
'08.2.15 8:10 PM (222.239.xxx.57)헉... 첫리플이 너무 놀랬어요
보통 5만원이나10만원하고 친구들은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대단히들 부자인가보다...19. 123
'08.2.15 8:21 PM (82.32.xxx.163)와~ 친한 친구도 아니고 직장 동료에게 20만원 부조를 하다니... 억대 연봉을 받으시나 봅니다.
아니면 사업을 크게 하시는 분이시든지...
원글님 같은 상황이면 5만원이면 충분하다는 생각입니다.20. ..
'08.2.15 8:25 PM (211.229.xxx.67)울신랑같은경우 친하지 않은 동료일경우 결혼식에 참석 안하고 봉투만 보낼때는 3만원 갈때는 밥을먹으니 5만원..
21. 직장동료
'08.2.16 12:01 PM (125.184.xxx.38)놀랬어요. 답글이 20개나 달려서요.
여러분 답글 감사합니다.
친하면 10만원
얼굴만 알면 5만원으로 하라고 남편에게 조언할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