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열대어를 키우면서 궁금한 점이 있어요

주연채연맘 조회수 : 898
작성일 : 2008-01-15 19:45:15
안녕하세요.
아이들이 몇 달전부터 졸라서 결국은 열대어 6마리를 사가지고
왔어요. 아직 수족관이 없어서 일단 도자기 그릇에 두었다고
오늘 주문한 작은 수족관이 도착해서 하루 전 날 받아논 수돗물을
담아 옮겼네요.

그런데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요.
열대어는 추우면 안된다는데 요즘같은 날씨에 난방을 하긴 하지만 보통
저희집이 24도정도를 유지하거든요. 그런데 열대어는 더 높은 온도에서
자라야되는거 같은데 그럼 수족관에 히터를 설치해야되나요?
히터는 없고 흰등만 있어서 on 해둔 상태거든요.

또 열대어 밥은 이삼일에 한 번 주는거로 알고 있는데 열대어,금붕어
밥이라는게 수족관 주문할 때 따라왔는데 하루에 2~5회를 주라고 하네요.
원래 물고기는 밥 많이 주면 죽지 않나요?
조금씩 자주 주라는건지...하루에 2~5회는 넘 자주 주는듯 싶어서요.

그리고 사온 6마리중 1마리가 오늘 죽었어요.
사온지 2틀정도 되었는데 머리가 위로 올라오고 꼬리가 아래로 내려간채로
헤엄(?)쳐 다니더니 죽었네요. 왜 죽었는지 이유를 모르겠어요.

열대어를 키우면서 오래 잘 키우려면 주의할 점 좀 미리 키워보신 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 마리 죽어서 상처받은 큰 딸때문에 기본적인 정보라도 알고 키워야
될꺼 같아요.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IP : 122.32.xxx.22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새댁
    '08.1.15 7:58 PM (124.49.xxx.137)

    헉. 히터는 필수에요.
    물고기 종류가 어떤건가요.. 종류에 따라 온도가 조금씩 다릅니다.
    지금 겨울인데, 그러면 물고기 다 죽어요..
    그리고 밥은 저희 집 같은 경우는 (디스커스) 3~5회 줍니다.
    원래 처음에 물잡이하느라고 몇명 죽기는 하지만,
    ㅡㅡ. 히터 설치 안해주면 곧 안있어서 다 죽을것 같네요
    히터랑 온도기는 아주 기본중에 기본이구요.
    그 물고기에 맞는 온도를 설정해주셔셔 히터로 그 온도를 유지해주셔야 해요
    온도기로 물 온도 확인하시고요.

  • 2. 새댁
    '08.1.15 8:00 PM (124.49.xxx.137)

    히터 오기 전까지는 따뜻한 물을 조금씩 섞어서 온도를 유지 해야 되요
    손을 넣어 봤을때 최소한 살짝 미즈근한데서 좀 더 따스하다 정도는 되야 하는데요
    저희 집 같은 경우엔 그래요
    물고기 종을 먼저 알아보세요.

  • 3. ^^
    '08.1.15 8:29 PM (219.248.xxx.251)

    너무 더운 물에서 키우면 저항력이 떨어진다고 들었어요.
    열대어도 종류에 따라 다를 거에요.
    저희집에는 구피와 네온테트라, 엔젤, 야마토 새우 등이 있는데, 히터 없이도 잘만 살아요.
    벌써 2년째 키우는데, 구피가 새끼를 너무 많이 낳아서, 치어통에 받아서 남들 나눠주다가
    이제는 지쳐서 본어항에서 새끼 낳아도 그냥 놔둡니다. 아마 잡혀 먹히는 것도 있겠죠. --;;

    암튼 측면 여과기 돌리고, 등 켜주고 그것만 해도 실내온도가 너무 춥지만 않으면 잘 살아요.
    겨울엔 아무래도 물이 많이 줄어들기 때문에 3~4일에 한 번씩 물이 줄어든 만큼 수돗물 그냥 보
    충해 줍니다. 어항 전체 물갈이가 아니라면 그런 식으로 보충해주는 건 그냥 수돗물 줘도 까딱 없어요. 아마 구피가 좀 튼튼한가 봐요.

  • 4. 쐬주반병
    '08.1.15 8:35 PM (221.144.xxx.146)

    에? 히터가 뭔가요?
    열대어를 키울 때는 히터도 있어야 하나요? 사람들이 추울 때 사용하는 그거?
    저희 집은 히터가 없어도 잘 크는데요.
    처음에 키울 때는 조바심 내면서, 물도 온수와 적당하게 섞어서 갈아주고, 소금도 넣어주고,
    열대어 병 없애는 약도 사용하고 그랬는데요.
    지금은,
    수족관에 물이 줄었다 싶으면, 씽크대에서 물 받아서 채워주고, 약도 전혀 넣어주지 않구요.
    강가에서 잡아온 다슬기랑 같이 키웁니다.
    다슬기가 있으니, 어항 청소 필요 없네요. 이끼도 없구요. 깨끗합니다.
    물고기들 밥도 2-3일에 한번씩 줍니다.
    새끼도 엄청 많이 낳습니다. 낳구선 지들끼리 잡아 먹기도 하구요.
    물론, 새끼들 어항 3개나 있습니다. 치어들끼리도 잡아 먹고 먹히더군요.
    저희 집에서 키우는 종은 구피입니다.
    이끼 먹는 고기, 청소 고기도 키워 봤는데, 다 죽더군요.
    다슬기랑은 맞나 봅니다.

  • 5. .
    '08.1.15 9:11 PM (58.143.xxx.64)

    24 도 를 유지하신다면 충분하신거에요, 히터 필요없으실거같으신데요
    근데, 보통 열대어, 난태생과는 보통 구피같은거는 정말 잘 죽어요,
    아무리 물이 안정이되고, 오래 길렀던 사람도 구피는 생명이 짧은지,
    새끼낳기는 하는데, 오래 살지를 못하더라구요,
    시크리트 과가 아주 잘 자라고, 알도 낳아서 치어 돌보고 재미가 쏠쏠해요,
    니그로 처음에 길러봤더니, 5 마리중 바로 그날 저녁에 쌍이잡혀서 3 마리 수족관에 가져다주고 보니 몇일만에 알을 낳더라구요,
    치어보구하면 아이들이 참 재미있어할거에요, 열대어는 그 재미에 기르는건데,
    시크리드과 치어는 난태생처럼 잘 죽지도 않고 잘자라요,
    함 알아보세요, 니그로는 워낙에 번식력이 뛰어나서 , 저렴하면서도 기르기쉽고 튼튼해요
    조금은 사나워서 단독으로 키워야하구요,
    먹이는 2 -3 회정도면 충분할거같아요,

    그리고 관리편하게 , 치어도 죽이지않게 잘 기르시려면,
    어항에 , 모래깔지않고, 꼭 스폰지 여과기를 하나 돌리시면, 물이 안정되면서
    물고기 죽는일은 드물어요,

  • 6. 열대어
    '08.1.15 9:56 PM (125.143.xxx.200)

    저 오랫동안 많은 종류 키워 봤습니다
    지금도 2지 짜리 어항 2개 여러종 같이들 있습니다
    키우기 쉬운 수초도 있으면 열대어 훨씬 좋구요

    (싼 수초 몇 포기만 있어도 엄청 번집니다 조명 없어도 아파트 밝아서
    가능하구요 새끼 숨을곳도 되고. 무엇보다 수질이 좋습니다
    비교해 보니 차이가 납니다

    여과기 좀 좋은걸로 하면 수질 좋아서 물갈이 거의 안해도
    좋구요 저는 가습기 대역으로 뚜껑 열어 놓으면
    물 보충만 해 줍니다

    히터는 한적도 안한적도 있는데 둘다 별 영향이 없었어요
    다 적응해서 사는것이지요

    먹이는 아침 저녁 조금씩 줍니다
    많은 먹이 투여는 수질오몀으로 인한 잦은 물갈이가 열대어에
    안 좋은 환경이 되지요

    특히 추운날씨 물갈이시 물을 미지근하게 물갈이 하세요
    받아 놓은 찬물 그냥 하시면 죽는 원인도 됩니다

  • 7. 주연채연맘
    '08.1.16 10:33 AM (122.32.xxx.226)

    답변 감사드립니다. 사실 사가지고 온 열대어 이름도 모르네요. ^^;;
    일단 5마리는 잘 놀고 잘 먹고 있는데 추가로 더 사오려고 하는데 님들 조언
    해주신 열대어중에서 골라 사와야겠어요. 아무튼 수족관이 생각보다 넉넉해서
    잘 자라주는 녀석으로 입양해와야겠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오다 가다 녀석들 노는 모습 보는 재미 솔솔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109 남편왜그럴까요? 3 지친다.. 2008/01/15 698
167108 집을 팔려고 하는데.. 빈집도 팔릴까요? 3 이사 2008/01/15 866
167107 치과치료 2 고민 2008/01/15 346
167106 외환카드미워 1 피터팬 2008/01/15 322
167105 특별한 천만원... 어찌 굴릴까요? 2 천만원 2008/01/15 758
167104 가베선생님 아무나 하나봐요. 20 가베 2008/01/15 2,011
167103 서울 고등학교 학군 여쭤볼게요 3 아날로그 2008/01/15 411
167102 혹시 김치냉장고에 둔 김치 물러진 경우있으신가요 5 wood 2008/01/15 583
167101 제가 이상한건가요? 남자보는 눈이 낮아요? 21 새댁 2008/01/15 3,921
167100 열대어를 키우면서 궁금한 점이 있어요 7 주연채연맘 2008/01/15 898
167099 독일사는 친구에게 아기 옷을 보내고 싶은데요.. 5 친구아기 돌.. 2008/01/15 206
167098 저는 형님입니다. 3 형님인데요 2008/01/15 1,132
167097 27평 아파트 신혼집에 스탠드 에어콘 놓으면 좁을까요? 9 질문 2008/01/15 669
167096 집에서 구운김 만드는거 알려주세요.. 13 기름바르는거.. 2008/01/15 829
167095 예비신부 또는 직장다니는 기혼녀에게.. (야근 질문) 5 힘내 2008/01/15 449
167094 부동산매매시 인감도장은 맡기나요 그자리서찍고 가져오나요? 3 인감도장 2008/01/15 469
167093 정말 하나도 아는게 없습니다..ㅠㅠ 1 대학 입시 .. 2008/01/15 420
167092 무청시래기 말린 것을 삶고 있는데, 얼마나 삶아야 하는 걸까요? 5 급해서요ㅠ... 2008/01/15 726
167091 초등1학년이면 영어공부를 어떻게 시키나요..? 3 zxc 2008/01/15 538
167090 씻은 쌀 보관방법이요~ 8 쌀보관 2008/01/15 1,231
167089 스피드북 알고싶어요 1 겨울여행 2008/01/15 120
167088 컨벡스오븐도 롯데닷컴 이메일 특가로 싸게 파네요. 사용자 2008/01/15 413
167087 송전탑과 고압선이 아파트값에 많이 영향을 주나요? 11 아파트선택 2008/01/15 1,213
167086 떡 뽑고 속상해요 2 15 2008/01/15 2,719
167085 지난달에 적금을 못냈다면 이번달에 두번내도 되나요?? 2 적금 2008/01/15 656
167084 무주리조트 근처 괜찮은 샵 소개좀.. 귀염둥이 2008/01/15 82
167083 처음 스키장에 가보려 합니다. 4 스키타보자!.. 2008/01/15 294
167082 전세금을 못받는데... 3 부탁드립니다.. 2008/01/15 351
167081 언니 결혼식때 입을 옷을 사려는데(여주 프리미엄 아울렛) 7 토다기 2008/01/15 1,278
167080 이 일을 어찌 받아들여야 할까요? 5 우스운며느리.. 2008/01/15 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