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현역으로 가는게 아니라 공군으로 가는것은~
공군장교가 아니..대학교 2,3학년 휴학하고 가는거요~
무슨 사찰에 들어간다고 하던뎅...전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공군 들어가기는 어려운지요?~
카츄사는 힘들던데..공군은 어찌되는지~
1. 공군도
'07.9.3 11:14 PM (221.147.xxx.24)현역이지만 근무 환경이 조금 편하고 도시에 있다는 잇점이 있고 시험을 보는 것 같아요...
제 동생이 공군제대했는데 대학생이면 거의 시험에 떨어지는 일은 없어요...2. 아마
'07.9.3 11:15 PM (210.4.xxx.212)지원하는 걸로 알고 있어요..
공군, 해군 다 육군보다 복무기간도 한 두달씩 긴 걸로 알고 있구요..
주변에 평범한 사람들도 공군, 해군으로 나온 거 보니까 특별한 사항은 없는 거 같은데요..3. ..
'07.9.3 11:54 PM (211.179.xxx.21)위에서 말씀 하신것 처럼 공군과 해군은 지원을 해야하고요.
면접을 통해 선발해서 가입교 기간에 다시 정밀 신체검사와 체력검사를 합니다.
모병인 관계로 징병인 육군보다 규정이 약간 더 엄격합니다.
복무기간도 육군보다 공군은 3개월, 해군은 2개월 더 긴걸로 압니다.
자세한 사항은 공군 사이트의 모병란에서 확인하세요.4. --
'07.9.4 3:17 AM (211.104.xxx.137)공군은 시험을 봅니다. 고등학교 성적 , 대학성적 다 봅니다
제 아들 친구는 연대 1학기 수시가 되는 바람에 고3, 2학기 성적이 거의 꼴찌여서 공군 시험에 덜어져서 그냥 육군으로 갔습니다.
그런데 시험이 몇번 볼수 있는 기회가 있는것 같아요.
시험에 떨어져 다시 시험봐서 갔다는 아이들도 있더군요5. 제동생
'07.9.4 6:03 AM (66.51.xxx.41)공군지원해서 정보쪽으로 배치되서 복무했었습니다.
시험보구요, 복무기간 3달인가 더 길구요.
처음엔 광주공군부대에 있다가 얼마 안 되어서 해미로 옮기더군요.
서해교전 즈음이었는데 본인말론 해미가 공군내에선 최전방이라나 뭐라나..
편하게 다녀왔지?하면 땡볕에 활주로에서... 어쩌구저쩌구...
하긴 카투사에서 미군신문기자했던 제 남편도 군대다녀왔다고 빡빡 우겨대긴합니다.^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