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치과 과잉진료 ....어딜 믿어야 할지...

힘빠져라 조회수 : 1,212
작성일 : 2006-03-22 18:19:23
앞에 치과관련 문의를 드렸는데....아말감으로 떼운곳을 굳이 금으로 바꿀필요는 없는거 였군요...

의사가 요즘은 이런거(아말감) 안쓴다며 다 금으로 바꾸자고 했었거든요....20여년 만에 치과방문이라 어리버리 그러려니 했었는데...

갑자기 힘이빠지네요...장삿속이 없진 않았던것 같아요 그 치과가..

일단 이를 갈아내고 본을 떴었는데....그부분까지 지불해야겠죠? 그리고 딴곳으로 가봐야 하겠는데...

어떤치과가 좋을지 모르겠네요...

아는 의사도 없고...

양심적이면서 좋은 치과 추천좀 해주심 감사하겠어요....

부천에 머물고 있긴 하지만...서울이라도 괜찮거든요....
IP : 59.16.xxx.137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6.3.22 6:24 PM (210.92.xxx.77)

    이를 갈아내고 본을 떴으면
    그 본에 맞춰 금 성형이 들어갔을텐데요.. 그럼 그 본뜬 치아는 님한테 밖에 맞지 않기 때문에
    아마 비용은 다 물어내야 할 거에요..

    금이 비싸긴 하지만 아말감보다 장점이 많은건 확실하거든요.
    아니 아말감이 금보다 나은건 저렴하다는거 밖에 없지요.. ^^;;
    형편이 되시면 금으로 하시구요..
    어려우시면.. (표현이 좀 이상하지만) 일단 얼른 치과에 전화하세요.
    본 뜨기 전이면 본 뜨지 말라고.. 그리고 금 말고 아말감으로 떠 달라고 하세요..
    아말감은 보험적용이기 때문에 어느 치과 가나 똑같아요..
    그냥 그 치과에서 아말감으로 마무리 치료 받으시는게 제일 저렴할거에요..

  • 2. 두동이맘
    '06.3.22 6:26 PM (221.147.xxx.109)

    아말감 몸에는 안좋지 않을까요??? 어디서 들었던 것 같은데..

  • 3. ..
    '06.3.22 6:29 PM (211.217.xxx.230)

    늘 궁금하던건데요, 같은동네끼리 치료비가 너무 똑같은게 이상하지 않나요?
    담합 아닌가요?

  • 4. 치과의사
    '06.3.22 6:34 PM (211.201.xxx.141)

    본까지 뜨셨으면 그 치아는 그냥 금으로 치료 받으시고요.
    사실 아말감이 몸에 좋은지 아닌지는 아직도 논란이 많습니다.
    유럽에서는 금지한 나라도 많이 있고 임산부에서는 유산을 초래한다는
    논문도 있습니다.하지만 결정적인 증거는 없고 치협의 공식적인 입장은
    인체에 무해하다입니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몸에 유해한 수은이 방출되느냐의 문제보다는 재료의 안정성이 낮기때문에
    파절이나, 이차충치로의 이환율이 높은 것이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옆치아와의 인접면이 썪었거나, 부위가 깊고 넓을 경우는 아말감의 부적응증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왕 본뜨신거는 벌써 제작이 되었을테니 치료를 끝내시고요. 나머지 부분은 급하게 하여야 할것이
    몇개인지, 안할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조목조목 물어보시고 그래도 석연치않으면 일단
    치료를 보류하시고 천천히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참고로 성인에서 웬만큼 깊지않은 충치는 그 진행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즉 몇달 더 방치한다고 해서 큰 일이 나지는 않는다는 거죠. 물론, 깊지않은 충치의 경우입니다.

  • 5. -.-
    '06.3.22 6:34 PM (218.239.xxx.10)

    전 아말감 부분의 경계로 2차 충치가 깊게 들어가서 이번에 이빨색 나는(레진이 아니라 금보다 비싼걸루요) 걸로 때우고, 씌우고 했습니다.
    아말감은요..쪼가리가 잘 나서요, 2차 충치를 부른다고하네요.
    저도 일찍 교체할것을..ㅡ.ㅡ 충치만 더 커졌답니다.
    그냥 금으로 하세요~

  • 6. 힘빠져라
    '06.3.22 6:36 PM (59.16.xxx.137)

    노량진이라는 문앞 주소를 본적이 있어요,지나가는 화면 중에요.
    그쪽으로 단독주택, 오래된 것들이 많이 있거든요.

  • 7. 근데
    '06.3.22 7:40 PM (61.106.xxx.5)

    20년이나 된 아말감이면 왠만한 병원에선 다 금으로 바꾸라고 제안하지않나요?
    아말감과 이빨사이가 벌어져서 충치가 속으로 번지는 경우도 많고,,
    저도 임신전에 치과가서 다 금으로 바꿨거든요.
    실제로 제 이빨중에 아말감으로 때운 20년된 애들은 상태가 안좋았다고하던데..(의사왈)
    저는 아주 믿을만한 치과에 갔거든요. (친정아빠한테 도움많이 받은 후배아저씨네)

  • 8. 지니
    '06.3.22 9:01 PM (210.221.xxx.217)

    직접 보진 못했지만 20년 이상 된 것이라면 다시 하시는게 좋으실 듯 합니다. 아마 부분부분 깨졌을 것 같네요.

  • 9. 현석마미
    '06.3.23 12:56 AM (69.142.xxx.213)

    저는 한국 잠시 들어갔을 때 이를 다 손봤거든요..
    20년전에 아말감으로 떼운 이빨은 다 멀쩡!!! 했답니다.
    그리고 5년전에 레진으로 떼운건 속이 다 썩어들어갈려고 해서 몽창~ 뜯어내고 다시 레진으로 때웠답니다..지금 생각해보니..금으로 할 껄~~하고 후회가 되네요...
    그리고 임신해서 조금씩 부서진 치아는 결국 뽑아내고 임플란트했네요..
    그것도 이빨 색이랑 같은것보다 금이 더 좋다고 해서 그걸로 했는데..만족하는 편이구요..
    저희 아들도 충치때문에 여기서 4~5개 때웠거든요..
    미국에선 아직도 아말감 씁니다.
    애들에게 레진은 별로 안 좋다고 하면서요...

  • 10. 저도 치과의사
    '06.3.23 9:09 AM (220.79.xxx.104)

    애들에게 레진이 안좋다는 이야기는 좀 이해가 안되네요.
    레진을 하기 어렵다는 말은 몰라도..
    레진은 아말감 보다 제대로 해 주기 어렵습니다.
    치면처리에서 훨씬 까다롭고 섬세한 과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제대로 해 주기가 어렵긴 합니다.
    미국에서 아말감 많이 쓰는 것이
    보험회사의 로비때문에라는 말이 있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아말감을 많이 쓰면
    보험회사로서는 보험금 지급을 위해 나가는 것이
    훨씬 적어질 거거든요.
    반면에 가까운 일본은 아말감 절대 안씁니다.
    이렇게 까다롭게 할 바에야 아말감이 더 편할텐데 싶은 경우도
    하지 않습니다.
    원글님 같은 경우에 그 치과에서 과잉으로 진료계획을 말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20년된 아말감의 경우 관리가 잘 되었다면 재치료가 필요없을 수도 있죠.
    반면에 20년이나 되었으니 새로 썩거나 기존 아말감이 깨어지게 되면
    재치료가 필요할 수 있기도 할 것입니다.
    재치료가 필요할 경우에 아말감으로 새로 하거나 금으로 하거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금으로 하는 것이 당연히 더 좋습니다만, 아말감으로 해도 되는 (아말감으로 하는 것이
    더 좋다가 아니라) 경우도 있습니다. 판단은 치과의사가 하는 것이고, 최종 결정은
    환자가 하는 것이죠.
    원글님의 경우 일단 치료 시작한 곳은 계속 마무리 짓도록 하고
    첨 진료받으신 치과에서 첨부터 끝까지 신뢰를 잃지않았으면 가장 좋았겠지만
    이미 그 치과에서 신뢰를 잃었으니 아직 치료받지 않은 곳의 경우
    다른 치과에서 다시 검사를 받아 보신후
    신뢰가 가는 치과로 가시는 것이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건 원글님께 드리는 말씀은 아니고요.
    외국(선진국 뿐만 아니라)에 사시는 분이 치과를 방문하시면
    한국치과 진료비는 거의 공짜여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수십만원 진료비가 드는 경우가 아니더라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833 에스티 로더 화장품 미국이 싼가요?면세가 싼가요?(리플 꼭이요~) 5 룰루랄라 2006/03/22 910
56832 . 10 . 2006/03/22 1,314
56831 이사할때 에어컨 이전 어디에다 맡기셨나요? 1 에어컨 2006/03/22 253
56830 시댁에 첨 인사갈 때...? 3 알리사 2006/03/22 401
56829 전업주부면 집에서 노는 건가 -_-; 9 이런.. 2006/03/22 1,770
56828 어린이집을 안갈려고해요 1 답답한맘 2006/03/22 179
56827 먹고 살기 힘들다는 말... 4 오늘도 무사.. 2006/03/22 1,139
56826 해석 좀 부탁드려요. 1 영어 2006/03/22 202
56825 에어컨 앵글 어떻게 해야 좋을런지.. 1 뽀샤시 2006/03/22 199
56824 김 민의 Rose 라는 앨범을 아세요? 1 음악사랑 2006/03/22 290
56823 나만빼고 전부 물찬 제비들........몸매로 절망중 8 ㅜ_ㅜ 2006/03/22 1,676
56822 치킨 어디께 맛있나요? 7 f 2006/03/22 1,178
56821 서울대 미대 가려면 수학 내신은 몇 등급이상 이어야 하나요? 5 수학등급 2006/03/22 1,061
56820 아이들 교실에 어떤 화분을 사다 주면 좋을까요? 7 화분 2006/03/22 757
56819 비데를 가장 싸게 살수있는 방법? 2 문의 2006/03/22 394
56818 아웃벡이요~ 결혼기념일이라서요. 알려주세요~ 4 첨이라서요... 2006/03/22 467
56817 7세 문제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책순이 2006/03/22 234
56816 중고차 질문드립니다.. 4 해피걸 2006/03/22 416
56815 딸은 시댁줄려고 키우나? 18 허참 2006/03/22 2,059
56814 교사와 학부모.. 아이들... 7 힘들지만 2006/03/22 1,132
56813 L*텔레콤 넘 심하네요 2 고객은 봉 2006/03/22 717
56812 꾸미바이트 좋은가요..? 4 꾸미바이트 2006/03/22 684
56811 시어머니 정말 이래도 되는겁니까?? 6 미피 2006/03/22 1,621
56810 집구했네요. 2 이사 2006/03/22 561
56809 자궁외 임신.이제 어떻게 해야합니까.... 6 상심. 2006/03/22 794
56808 치과 과잉진료 ....어딜 믿어야 할지... 10 힘빠져라 2006/03/22 1,212
56807 카드납부가 되나요? 1 등록세 2006/03/22 208
56806 한샘인테리어로 구경하는 집 하는 건 어때요? 7 궁금해요 2006/03/22 993
56805 영어학원비 지로로 내면 나중 연말정산시 ? 4 학원 2006/03/22 472
56804 시아버님이 간경화신데... 2 걱정 2006/03/22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