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중학생부터 하시나요?

논술준비 조회수 : 1,443
작성일 : 2011-07-21 19:11:35
제목 그대로입니다..
초등생부터 논술을 하는 경우도 이야길 들었어요..
상위권의 중학생들도 논술을 하고 있다는 이야길 최근에 들었습니다.
참고로 저희집 아이가 중학생이네요.
논술준비... 지금부터 해야지만 되는것인지요..
아님 신문사설란 일기와 독서를 게을리 하지않는게 나은지요.

요즘 아이들 너무 빡빡하게 학교에서부터 돌리는데다 집에 오면 학원(영.수. 과. 논술등)다니기
바쁜 아이들 보면 너무 힘들어보여요..
고등학교 자녀를 두신 분 혹은 대입을 치러보신 분들 경험담 들려주세요..

저희집 아인 성적은 상위권이구요.. 이과성향입니다.
IP : 59.31.xxx.152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
    '11.7.21 7:36 PM (59.31.xxx.152)

    중2입니다.. 추천 도서를 부탁해도 될까요? 쉬운것부터 해서 어려운 것순으로 꼭 읽으면 좋을 도서 위주로요... 논술은 주로 그룹으로 묶어서 과외비슷하게 하나보네요?
    논술을 공부를 한다면 학원선택 등을 어떤식으로 하는지요..

  • 2. 굳이
    '11.7.21 7:36 PM (124.56.xxx.163)

    눈에 거슬리네요^^

  • 3. ^^
    '11.7.21 8:19 PM (121.165.xxx.148)

    잘 찾아내시네요.^^

    그것 뿐 아니라 띄어쓰기도 많이 틀렸을 거에요.
    아무래도 편하게 쓰는 글은 공식적으로 쓰는 글과는 다르니까요.

  • 4. 빠르게는
    '11.7.21 8:36 PM (122.32.xxx.30)

    7세 초1부터들 논술 시키든대요.
    참고로 저희 아이는 초3인데 올 3월부터 논술 시작했어요.
    그런데 신문기사 정독 일기 독후감 등만 꾸준히 해도 괜찮을 거 같긴 하더라구요.

  • 5. ^^
    '11.7.21 8:49 PM (121.165.xxx.148)

    아마 제가 논술 강사라는 말에 더 그러시는 것 같아요.^^

  • 6. 논술강사님께 여쭤볼
    '11.7.21 9:13 PM (1.230.xxx.25)

    초6 남학생인데 하루에 3~4시간 책을 읽어요. 장르도 다양하게..
    젤 좋아하는건 해리포터시리즈나 추리물,,,역사에 관한책에 흥미있어하구요.
    집에서도 항상 책이 손에 들려있구요.
    주위에 보면 그룹으로 논술을 2~3년전에 다들 하고 있더라고요.
    책 많이 읽히면 따로 논술과외나 학원 안다녀도 된다는 소리에
    안심하고 살았는데,,,
    요즘 들리는 소리로는 책만 많이 읽혀선 안되고 책 읽은후 독후감이
    더 중요하다는 엄마들 말에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책읽는걸 원체 좋아하는 아이....이대로 놔둬도 될까요?

  • 7. ^^
    '11.7.21 9:30 PM (121.165.xxx.148)

    독후감이라기 보다는 앞서 말씀드렸던 것 처럼 피드백이 조금 더 중요한 것 같아요.
    정보를 받아들이고 그 정보를 사고체계를 통해서 재구성하고 재구성 한 것을 표현하는 것.
    특히 어린 친구들에게는 이런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그 피드백은 독후감 형식일 수도 있고 내용이나 감상에 대해서 말로 주고 받을 수도 있겠구요.
    만약 글을 쓴다고 하더라도 어떤 형식을 요구하는 글쓰기 말고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도록
    유도하시는 게 좋을 겁니다.

    맞춤법에 얽메이지 말고 짧으면 짧은대로 길면 긴 대로
    진지하면 진지한대로 장난스러우면 장난스러운대로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끔 하는 훈련이 가장 중요해요.

    그것 말고도 책을 읽었을 때 그 내용에 대해서 스스로 정리할 수 있게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머니께서도 같이 읽으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도움 될 것 같아서 참고될만한 기사 하나 링크시킵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485701.html

  • 8. 대체적으로
    '11.7.21 9:45 PM (119.70.xxx.86)

    논술보다는 기본 공부에 더 힘써야 한다가 요즘 대세입니다.
    기본적 공부만으로도 시간이 모자라는게 요즘 애들이니까요.
    논술을 왜 하시려는지? 논술로 어떤 길을 가려고 하는지에 대한 뚜렷한 목표없이
    그저 필요할거 같아서라면 굳이 하실필요 없다는게 제 생각이예요.
    메가스터디 강연에서도 논술보다는 국영수에 힘을 쏟아라 이야기 했다고 하네요.

  • 9. 글 잘 쓰는 게~~
    '11.7.21 10:46 PM (116.38.xxx.68)

    글 잘 쓰는 게 공부 잘 하는 데도 중요하니까요~~ 저는 국어교사인데 글짓기 수업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여건이 된다면 시키라고 하고 싶어요. 글로 자기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할 줄 아는 아이들이 자기 감정이나 상황도 잘 소화하는 거 같아요. 사춘기도 좀 더 수월하게 지나갈 수 있는 거 같고요. 요즘 애들은 글은 읽는데 뭔 소린지 모르고 서술형 문제는 손도 못 대는 아이들이 많아서 더더욱 필요한 거 같아요.

  • 10. 이어서
    '11.7.21 10:52 PM (116.38.xxx.68)

    정말 대학 보내기 위해 투자를 한다면 별로 얻는 거 없겠지만 큰 그림을 본다면 어릴 때부터 하는 게 좋은 거 같아요. 책도 특별히 고전을 읽어서 배경지식을 쌓는 것보다 살아있는 글들을 읽는 게 좋은 거 같고요.

    근데 선생님은 꼭 함께 글을 쓰는 선생님을 추천해요. 같은 주제로 함께 써보면 아이들은 정말 금방 늘어요. 생각도 더 깊어지고요. 함께 글 쓰는 거 귀찮고 힘든 일이라 그런 선생님 찾기 어렵겠지만요. 그런 분 구하시면 아이랑 오래 가자고 하세요~~^^

  • 11. 흠..
    '11.7.22 12:27 AM (124.195.xxx.137)

    일단 책을 제대로 읽히는 게 중요한 거 같아요..
    솔직히 논술학원 강사들도 같은 학원이라도 괜찮은 사람 있고, 어?-_- 싶은 사람도 있어요.
    그리고 집에서 시키는 경우라면 엄마가 피드백할 때 제대로 해야겠죠.
    논술.. 솔직히 그냥 글쓰기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엄청난 양의 학문적 배경지식과 시사, 논리 철학적 배경지식 갖추면
    그 만큼 더 많은 게 보이고, 글도 그런게 반영되는 거 거든요..
    좋은 책들 많이 찾아보시고,, 참고하시고.. 학원에 보내시면
    잘 알아보시고 보내세요.. 참.. 논술이란게.. 애매한 면이 있는 거 같아요.

  • 12. .
    '11.7.22 9:39 AM (116.37.xxx.204)

    이과 논술은 수학, 과학 문제풀기하는 것은 아시죠?
    그리고 논술 못 써서 대학 못가기보다는
    수능 못 쳐서 대학 못가는 아이들이 훨씬 많아요.

    수능 못쳤는데 논술 대박 나는 아이는 정말 드물어요.
    이과는 더구나 수학, 과학 문제니까 수능준비가 백번 우선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67885 아래 보니... '선지원 후시험' 완전 도박일 듯. 25 @.@ 2011/07/12 1,672
667884 저 레벨업 가능한건가요? 2 .. 2011/07/12 140
667883 친구가 자꾸 꼬집는대요. 초3 2011/07/12 140
667882 겨드랑이살(?) 어떻게 빼나요? 5 나잇살 2011/07/12 1,890
667881 일기예보보니 일욜이나 되야 서울에 해가 나네요.. 2 // 2011/07/12 403
667880 댁의 자녀가 이렇게 말한다면요? 53 gg 2011/07/12 11,694
667879 희망차) cnn보도 1 ... 2011/07/12 254
667878 참..집을 산경우요..그 전 주인이 어찌하고 갔는지..상관있나요? 5 이사하는날 2011/07/11 1,043
667877 혹시, 15분 안에 간단하게 빨리 화장하는 비법 같은거 공유해주실 분 계신가요? 57 요건또 2011/07/11 2,760
667876 대구간유의 효능은 뭔가요? 1 관절?시력?.. 2011/07/11 597
667875 부동산 거래중 이런경우 관례가 어떻게 되나요? 6 궁금 2011/07/11 492
667874 요 밑에 드라마 얘기가 나와서... 3 ^^ 2011/07/11 384
667873 강아지 눈 건강관련해서 경험담 7 강아지 2011/07/11 735
667872 마음의 평정심을 유지하는 방법이요.. 1 평정 2011/07/11 572
667871 운전 하시는 분들께 여쭤보고 싶어요 8 운전 2011/07/11 944
667870 32살에 대학 교수 가능한가요 ? 8 어린교수님 2011/07/11 2,223
667869 논술 특강 문의 드려요. 1 고3 2011/07/11 259
667868 350만 달러에 핵무기라...싸네... 1 학수고대 2011/07/11 125
667867 혹시 보고 또 보고란 드라마 기억하는 분들 있으세요? 13 ㅇㅇㅇ 2011/07/11 1,274
667866 아래 싱글 여성 분 글을 읽고... 2 담이 2011/07/11 622
667865 도움을 청합니다.. 초등 6학년 남자아이가..학교에서 급식시간에.. 25 못난애미 2011/07/11 2,799
667864 쏘나타 한 대 값이 얼마쯤 하나요? 11 차 살라고 2011/07/11 1,430
667863 리플리 최명길씨 머리색은 어떤 색인가요? 염색하고플때 리플리 2011/07/11 153
667862 집을 샀어요.이사하는날 오전에 나가고 바로 들어오고..하는데요.조언을좀 6 이사하는날 2011/07/11 892
667861 원전. 일본사는 친척 왈 지금 일본은 폭발 직전이라네요. 6 처음 2011/07/11 3,286
667860 GM다이어트 말이지요 4 .. 2011/07/11 769
667859 제가 아이등을 때렸는데요.. 4 ........ 2011/07/11 763
667858 아...치마 입을때 속바지 입으니까, 바람불때 좋던데요 1 게으름뱅이 2011/07/11 810
667857 썬팩트 라는 제품이 있던데..혹시 쓰고 계신분 정보좀 나누어 주세요. 1 궁금 2011/07/11 212
667856 암웨이사업 10 윈윈 2011/07/11 1,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