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겨울옷 정리해서 넣을건데요...홈드라이

민이맘 조회수 : 916
작성일 : 2011-05-08 14:20:59
봄이되도 싸늘한 날씨 때문에 정리해논 니트들 한두번씩 입었다가 접어논것들..
다 정리해서 넣으려구 합니다
겨울 외투나 양복은 다 세탁소 보낼거구요...
니트나.. 제 원피스.. 아이 코트..정도는 홈드라이 해보려구요..
제 남편 울 니트도 제법되고... 제 니트... 아이옷도 겨울껀 드라이 해야하는게 많은데...
남편 휴고보스 니트나.. 펜디 머플러 이런것들 홈드라이해도 될까요...  ^^;
자질구레한게 하도 많이 세탁소로 다 보내자니... 십만원도 훨씬 훌쩍 넘을거 같은데...
요새 주머니 사정이 안좋을뿐더러 5월 가정의 달에 쓴 카드비도 만만찮아...
지금 홈드라이 할 옷들 분류해서...
어제 코슷코에서 산 홈드라이 세제 갖다 놓구 있습니다...
떨리네요...  ^^;
지난 글에서 홈드라이 했다는 글을 봤는데도.. 반신반의 맘이 들까요...
휴...
IP : 121.142.xxx.15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444
    '11.5.8 2:29 PM (211.61.xxx.218)

    저는 신히 홈드라이 썻는데 남편 양복 상의 말고는 다 그걸로 울표시 붙어 있거나
    드라이 하라는 건 그걸로 세탁 했어요.
    아무 이상 없더군요. 아마 옷에 붙어 있는대로 드라이 줬다간 가정경제가 남아나질 못했을텐데
    그거 쓰면서 편하고 경제적이어서 좋네요.
    어떤 분은 실크가 안 되더라 하시던데 전 옷은 안 해 봤고 실크 100프로 스카프는 겨울 지나면서
    그걸로 세탁했는데 문제 없던데요.
    한 가지 약간 잘 못한 건 울이라도 좋은 울로 된 바지를 거기에 뭐가 묻어 있어서 북북 문질렀더니 나중에 그 부분만 약간 피었다고 해야되나 좀 표가 났어요. 그러니 저같이 성질 세우지 마시고
    그냥 두던지 아님 아주 살살 비비는 정도 하세요.

  • 2. ..
    '11.5.8 2:29 PM (112.151.xxx.37)

    된다 안된다는 말을 못드리겠구요.
    제 경우는 10년간 겨울쉐타,니트,바지..등등 외투를 제외한 모든 것은
    항상 홈드라이를 해요. 남편 것은 거의 명품이에요.
    죠르지오알마니,프라다,까스텔바작,아이스버그,까날리,페레가모..등등..
    10년동안 겨울에 2회 이상 홈드라이하면서 입고 정리해서 넣는데
    10년된 옷도 아직 말짱합니다. 줄어든 것은 딱 하나!!...페레가모 춘추 상의인데
    이건 약간 스판이 섞인 것이었어요.
    나머지 모100% 이런 것들은 아무 탈없이 잘 입고 있어요.

  • 3. .
    '11.5.8 3:00 PM (211.224.xxx.199)

    니트류는 드라이 맞길 필요없던데요. 홈드라이 세제 아니고도 울샴퓨로 빨아 널어도 다림질 안해도 잘 널으면 원상대 고대로 되더라구요. 여태 세탁소에 갖다 준 돈이 아깝더라구요

  • 4. 저희는
    '11.5.8 3:21 PM (116.37.xxx.217)

    홈드라이가 한두번 드라이했떤 제품은 해도 잘 안주는데 울엄마가 모르고 새로산 울 코트를 세탁비 아깝다고 홈드라이넣고 빨았다가 확 줄어서 제가 입고 다녔었어요.

  • 5. 좋은
    '11.5.8 3:33 PM (220.88.xxx.119)

    옷이면 세탁소 보내는 게 안전하지요.

    홈드라이가 별로 믿음이 안 가는게...드라이는 세제의 문제가 아니라 물로 빠느냐 기름으로 빠느냐 문제거든요. 울이나 실크는 기본적으로 물에 들어가면 문제가 생겨요. 그리고 재킷이나 코트는 심지나 안감 등 부속품이 있는데, 이런 부속품과 옷감의 수축률이 다릅니다. 물에 들어갔을 때 줄어드는 정도가 다르니 우글거리게 되는 거죠.

    니트는 좀 덜 위험한 편이고, 실크는 시폰 같은 실크면 괜찮은데 광택 나는 실크면 위험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6425 내일 초등 등교하는 토요일이죠? 6 질문 2011/03/04 724
626424 고속도로 운전시 7 3년차초보 2011/03/04 666
626423 종로구 한정식(석파랑, 담?(광화문), 장원) 어디가 좋을까요? 1 미리 감사 2011/03/04 381
626422 어제 새벽에 있었던 일... 13 도둑????.. 2011/03/04 3,192
626421 좀 색다른 케잌을 어디서 살수 있을까요? 10 초등 아이 .. 2011/03/04 803
626420 축구 처음보러가는데 좀 알려주세요 12 축구 2011/03/04 273
626419 월세 2달씩 밀리면 어떻게해야하나요?? 8 ,, 2011/03/04 1,297
626418 반려동물(특히 개) 키우시는 분들께 여쭙고 싶습니다. 7 아이디어 2011/03/04 760
626417 아파트 소음 글 읽고- 오래된 아파트라도 조용한 곳은 있어요. 12 // 2011/03/04 1,333
626416 저 지금 뭐하게요? 3 ^^ 2011/03/04 426
626415 길자연 목사 "국부(國父)가 무릎 꿇은 건 대단한 용기" ... 24 국민앞에 꿇.. 2011/03/04 1,073
626414 정관장 홍삼제품 3 수험생엄마 2011/03/04 477
626413 카까~ 의 가훈이 정직이라는데.... 3 가훈 2011/03/04 209
626412 지갑좀 추천해주세요 1 10~20만.. 2011/03/04 233
626411 딸아이 때문에 걱정이 많습니다. 3 2학년 엄마.. 2011/03/04 788
626410 3살남아의 보험..좋은거 있나요?? 3 도움절실 2011/03/04 161
626409 왜 꼭 아파트전세만 찾으세요? 32 빌라는 어떠.. 2011/03/04 7,452
626408 <물푸레님> 5분빵 굽는 과정에서요 2 굼벵이 2011/03/04 375
626407 치질수술 병원에 대한 질문입니다.. 9 치.. 2011/03/04 758
626406 로열 패밀리 4 2011/03/04 1,415
626405 "서기관" 이라는 위치는 대기업 으로 치면 어느정도 인가요? 16 정말 몰라서.. 2011/03/04 9,848
626404 니트수선 한다고 하고 4 니트 2011/03/04 505
626403 병설유치원....원비가 감동입니다. ㅠㅠ 49 자랑비면제부.. 2011/03/04 9,515
626402 수제 햄버거가 대세인가요? 6 수제 2011/03/04 1,117
626401 일산에 쌍커플 수술 잘하는 성형외과 추천해주세요 2 이젠나를위해.. 2011/03/04 512
626400 정말 편한 단화구두 1 어디 없나요.. 2011/03/04 522
626399 7세 영어유치원 원복 안사면 그럴까요? 6 ........ 2011/03/04 721
626398 전세값은 누가 올리고 있는 걸까요? 11 아줌마 2011/03/04 1,311
626397 일본어 한 단어만 알려주세요 7 일본어 궁금.. 2011/03/04 1,237
626396 손아래 처남에게 말할때 말놓으면 안되나요 15 매형 2011/03/04 2,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