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한글쓰기는 언제 되나요?

쓰기 조회수 : 344
작성일 : 2011-03-22 07:33:49
아이가 6세 남아에요
한글은 완전히 읽고 쓰기는 거의 잘 못해요
ㅂ은 사다리를 그리는 수준..
손잡고 뭐 쓰는 것도 싫어합니다
책은 자기 혼자 앉아서 잘 읽길래 읽으면 쓰기도 되는 줄알았더니만 그게 아니네요
글씨 모양이 안이쁜게 아니라 병원 이라는 단어를 써보라면 어떻게 시작해야할지를 모르더라구요
근데 읽기는 어떻게 되는지..
한글 뗀건 제가 달리 시키지 않았고요 책보는걸 좋아해서 열심히 읽어줬더니 어느순간 떼더라구요..
쓰기가 안되면 뗐다고 할 수 없겠죠?
쓰기 연습은 어떻게 시켜야하나요?
활용할 만한 교재가 있을까요??
곧 외국나가는데 한글이 완벽한 상태에 나가면 더 좋을것같아서요




IP : 112.152.xxx.119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시지각
    '11.3.22 8:23 AM (121.165.xxx.21)

    시지각에 어려움이 있을수있어요
    그게 아니라면..점선 따라쓰기 같은걸하면 자연스레 터득이 되지요
    읽기와 쓰기는 전혀 다른 움직임이고 특히 쓰기는 눈과 손의 협응이 잘 이루어져야해서 힘들어요
    일간 공책에 글씨를 작게 쓰기보다 아주 크게 전지에 그림그리듯이 따라 그려보게하고 사물이나 간단한 도형을 따라그려보는 훈련을 하시면 도음이 된답니다

  • 2. 억지로
    '11.3.22 9:34 AM (121.168.xxx.251)

    억지로 시키지 마세요.
    정서적인 거부감이라는 거 생각보다 무섭습니다.
    6살인데 쓰기도 못한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만6세 이전의 글자 공부는 절대 무리하면 안됩니다.

    쓰기라는 게 사실 얼마나 많은 능력을 필요로하냐하면
    손과 손가락에 근력이 꽤 많이 요구됩니다.
    특히 소근육이 발달해야 하는데 아직 완전히 발달할 나이가 아니에요.
    눈과 손과 뇌가 함께 협응을 해야하는 일도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어른들이 쉽게 한다고 애들한테도 쉬운 일일거라는 생각을 완전히 버리셔야 합니다.
    혹시 곧 외국에 나간다는 사실 때문에 원글님이 조급한 생각을 갖고 계신건 아닌가 싶어
    노파심에서 드리는 말이에요.

    그리고 남자 아이들이 조작 능력이 또래 여자 아이보다 좀 늦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근육 발달에선 앞서고 소근육 발달에선 좀 늦는 거 같아요.
    그런 성차도 생각해 보시고...

    어쨌거나 한글은 수단이지 목적일 수 없어요.
    엄마의 급한 마음에 조급해하지 마시고
    우리 나이로 여섯 살, 겨우 만 네다섯 되는 아이가 쓰기를 못한다고 걱정하실 일이 아닙니다.
    주변 아이들이 어쩌고 저쩌고에 휘둘리지 마세요.
    아이들은 각 발달단계마다 제각각 돌아가는 시계가 따로 있어요.
    그걸 조기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강제하는 게 얼마나 어리석은 일이지,
    요즘 엄마들 보면 한숨이 나옵니다.
    그러니 남드리 아이가 몇 살 쯤 쓰기를 하는지 신경쓰지 마시고
    아이의 발달단계에 맞는 언어능력을 키워주세요.
    아직은 엄마가 책 많이 읽어주고 이야기 많이 해주면서
    자기가 맘껏 상상하고 지껄이는 게 더 중요한 시기에요.
    특히 책보다 말이 중요합니다.
    책 많이 읽히는 것보다 이런저런 이야기-옛이야기 같은 것-를 많이 들려주세요.
    그런 게 풍부히 쌓여야 쓰기가 가능한 발달단계에 접어들면
    쉽고도 간단하게 쓰기가 될 거에요.

    외국 가신다니까 좋은 책, 특히 옛이야기 책 많이 준비하세요.
    그걸 한꺼번에 책장에 다 꺼내놓고 읽게하지 마시고
    조금씩 조금씩 노출시키세요.
    한 권을 수 십 번, 수 백 번씩 읽어도 괜찮습니다.
    특히 옛이야기책은 어른용 구입하셔서 (우리가 알아야할 옛이야기 100 같은 거)
    엄마가 읽어주셔도 좋고, 말로 눈 맞추며 직접 이야기해주시면 더 좋습니다.

  • 3. ...
    '11.3.22 9:41 AM (121.167.xxx.101)

    가만 냅두세요. 그정도면 늦은거 아니예요.
    7살때 읽기하는애들도 많아요. 7세되면 손아귀힘이 늘어나서 쓰기 실력기 급속히 올라갑니다.
    지금 책읽는거만 해도 기특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8705 오래전에 절판된 동화책 사고 싶은데 어디로 가보면 될까요?? 3 국민학생 2010/11/27 567
598704 남자 아이덜 몇살까지 내복 입나여? 8 남아... 2010/11/27 870
598703 ADHD에 대해 도움부탁드려요. 4 아들맘 2010/11/27 939
598702 pc방이에요.. 3 깜장이 집사.. 2010/11/27 641
598701 대통령께서 이거 하나는 잘하셨다 하는것좀 알려주세요. 42 제발.. 2010/11/27 2,250
598700 트위터에서 following 수가 줄어든건 2 ㅋㅋ 2010/11/27 693
598699 적은 금액이지만 기부하고 싶은데요.. 6 a 2010/11/27 428
598698 김장 하신 분들~ 배추 얼마 주고 사셨어요?? 15 .. 2010/11/27 1,636
598697 아이폰에 어플 다운받을때 결제수단이 신용카드밖에 없나요? 3 무카드 2010/11/27 1,075
598696 저도 패딩좀 봐 주세여 9 어때요 2010/11/27 1,007
598695 아울렛이나 할인점에 다닐땐 몰랐어요. 9 ㅠ.ㅠ 2010/11/27 4,231
598694 고무장갑 없을 때는.. 4 김장김장 2010/11/27 800
598693 오지랖 때문에 분노까지 나요. 4 오지랖 2010/11/27 1,117
598692 광희시장 무스탕 사러 가면 괜찮을까여? 2 광희시장.... 2010/11/27 2,256
598691 너무 다르네요 3 정말 2010/11/27 733
598690 가죽 코트나 바바리 입음 촌스러운가여? 5 코느 2010/11/27 930
598689 2010년 대학가요제를 보며.. 8 대학가요제... 2010/11/27 1,374
598688 글 다시 올려요...질문~~!! 1 결혼기념일 .. 2010/11/27 220
598687 바둑얘기가 없어서..우리 바둑 남녀모두 금메달! 1 바둑 2010/11/27 366
598686 배고파서 죽겠네요 4 경호맘 2010/11/27 581
598685 수납식탁 쓰시는분 계시나요...? 2 식탁 2010/11/27 603
598684 저도 영화 '이층의 악당' 보고 왔어요 8 애기엄마 2010/11/27 2,113
598683 (현빈^^)아일랜드 내용좀 대강이라도 알려주실 수 있으세요? 21 저기 2010/11/27 1,727
598682 독일에서 사온 약인데요 4 독일에서 2010/11/27 682
598681 돌 전 아이에게 생우유 먹이지 말라고 하는데 왜 그렇나요? 5 궁금이 2010/11/27 739
598680 명박님은 이제 보여줄 카드가 없습니다. 19 ㅇㅇ 2010/11/27 1,787
598679 옆집에서 떡받으면 답례해야할까요? 8 . 2010/11/27 977
598678 책상밑에 붙여놓고 쓴다는 에쓰워머 써보신분 계세요? 2 답변 절실 2010/11/27 826
598677 군 기저귀 팬티형도 있나요? 7 궁금이 2010/11/27 499
598676 손을 세워서 보면 저는 손톱이 하예요.. 빈혈? 2010/11/27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