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황사가 아주 심했던 봄날
무심코 렌지 주변 싱크대를 손바닥으로
닦았었는데 모래먼지가 버석대는걸 보고 기겁해서
그 뒤론 렌지 후드를 거의 켜지 않고 요리하거든요
대부분 요리 냄새가 심할때는 조리중에도 렌지 후드를 켜는데
전 후드 안에 있던 먼지가 다 요리냄비 안으로 들어가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심때문에요
저희 아파트 지은지 1년 반 정도밖에 안됬고
렌지 후드 망은 정기적으로 청소해줘서 깨끗한 편이거든요
그래도 밖에 있는 먼지며 심지어 다른집 렌지후드의 먼지까지
요리냄비로 다 떨어지는건 아닌가 걱정되서요
아파트 렌지 후드 집집마다 다 연결되어 밖으로 환기되도록
설계되어 있는지 어떤지 궁금합니다
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아파트 렌지 후드는 어떤 시스템인가요?
그린 |
조회수 : 2,457 |
추천수 : 83
작성일 : 2008-11-03 12:28:27
- [요리물음표] 호주산 꼬리에 갈비찜 .. 2011-01-10
- [요리물음표] 무청 꼭 말려야 하나요.. 9 2010-12-03
- [요리물음표] 매실액 담글때 씻은 매.. 6 2010-06-09
- [요리물음표] 백설기 만들 쌀가루 사.. 2 2010-05-20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yuni
'08.11.3 5:22 PM신혼때 살던 복도식 아파트는
렌지 후드가 맨 아랫집에서 부터 맨 윗집까지 수직으로(101호, 201호, 301호 식으로)
집집마다 다 연결되어 맨 윗층에서 밖으로 환기되도록 구성이 되었고요.
(이런 후드는 우리집에 후드를 안켜면 다른집 냄새가 역류해서 들어오지 않게 후드 배관의 뚜껑이
자동으로 닫혀져요. 후드를 끄면 덜컥 하고 뚜껑이 닫히는 소리가 확인 됩니다.)지금 사는 계단식은
렌지후드 냄새가 직접 각각의 집에서 밖으로 빠지게 되어 있어요.
즉 후드를 뜯고 보면 구멍으로 밖이 내다 보이지요.
요리할때 렌지후드 켜는 습관을 들이세요.
후드를 안켜면 음식중의 기름기나 여러가지 냄새 분자가 집안에 떠돌아 벽지가 쉽게 찌들어요.
처음 몇년은 못 느끼지만 4년, 5년 지나면 찌드는게 속도가 눈에 보일정도로 급속히 빨라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