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코팅팬이 왜 안 좋은가요?

| 조회수 : 1,814 | 추천수 : 0
작성일 : 2005-12-02 00:34:46
눌지도 않고,벗겨지면 버리면 되잖아요.
새 제품에서도 유해 물질이 나오나요?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J
    '05.12.2 1:35 AM

    이 질문도 정말 자주 올라오는 질문이군요... ^^;;

    새제품에서 유해물질이 나오는지 안나오는지는 아직도 듀폰과 소비자측의 소송이 끝나지 않고 있는 미국 상황을 볼 때에......
    그 누구도 속시원하게 대답드릴 수 있는 상황은 아닌 것 같고요.
    (비슷한 답을 불과 며칠 전에 썼거든요...한번 보세요. --->>>http://www.82cook.com/zb41/zboard.php?id=salqna&page=6&sn1=&divpage=3&sn=off&...

    유해논란(발암물질 논란)에 대해서 논조가 어떤지 정말로 정확하게 알고 싶으시다면
    미국쪽 기사 원문들을 직접 찾아 읽어보셔야 할 거고요.
    우리나라로서는 아직 그 유해성에 대해 전문적으로 검증할만한 수준의 기관이나 전문가가 없다고 하니까요.
    그래서 한글로 된 자료들은 찾아보아도 거의 원론적인 이야기밖에는 찾아지지가 않아요.
    그나마 있는 전문기관(?)의 답도 앵무새처럼 똑같고요.
    (밝혀지기 전까지는 유해하다고 할 수 없지만 신경쓰이면 쓰지 마시라, 권장하지는 않는다......이런 대답이랍니다)
    보도도 거의 외신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거든요. 아예 뉴스를 통째로 따오죠.

    저같은 경우는 코팅재가 결국은 플라스틱(특수 플라스틱이라고 해야겠죠)일 뿐이니...
    플라스틱에는 뜨거운 음식조차 담아먹기 찝찝한데...
    불에 직접 올려 음식을 끓이는 것은 당연히 위험하다고 보는 쪽인거지요.
    화학물질이라는 것이 상온에서와는 또 다르게 열을 받게 되면 어떤 변화가 오고 어떤 물질을 만들어낼지....모르는 거잖아요.

    그걸 떠나서......
    안 벗겨진다손 치더라도 확실히 안 좋은 이유가 몇 가지 더 있지요.

    1. 코팅팬의 코팅재 바로 아래 재질은 대부분 알루미늄입니다.
    코팅재가 얇아지면서 음식에 이 알루미늄이 녹아나올 수 있기 때문에 좋지 않다고 하지요.
    (그래서 벗겨지지 않더라도 3-6개월정도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죠)

    2. 코팅재 자체의 성질 때문에 비위생적인 면이 있어요.
    냄새가 기름기가 설거지 후에도 잘 가시지 않아 다음 음식에 배어나오고 음식의 색도 탁해지는 등.....
    하지만 이건 코팅을 쓰지 않게되기 전까지는 사실상 거의 느낄 수가 없어요.

    3. 설거지에 있어서도 역시 코팅재 때문에 조심스럽고 아주 깨끗이는 세척할 수가 없어서 불편하지요.

    그냥,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무의식중에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코팅 팬을 사용하지 않기 시작하면 알 수 있는 많은 안 좋은 점들을 사실상 느낄 기회가 없는 것 같아요.
    저도 코팅팬만을 사용할 때에는 그게 정말 그렇게 찝찝한건지 불편한 건지....
    지금만큼은 잘 못 느끼고 있었으니까요. ^^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난 당장 편한 코팅이 좋다...라는 결론이면 쓰는 것이고.....
    안 쓰는 것이 더 마음이 편하고 그게 나에게 더 중요하다면....다른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냄비 만큼은 제발 코팅 안 쓰셨으면 좋겠어요.
    이것도 어차피 저의 개인적인 견해긴 하지만요.....
    그까짓 김치찌개, 미역국 볶아서 끓일 때에 붙는 게 귀찮다고(미역국, 김치찌개만 매일 매끼니 드시는 것도 아니고 요령만 조금 있으면 붙지도 않는데)
    코팅이 된 냄비에 국을 팍팍 끓여드시는 것은.... 오~ 정말 말리고 싶어요. ^^;;
    그건 정말 '코팅제와 코팅제에 배인 지난 음식 찌꺼기를 함께 끓인 국'이라고 밖에는 생각되지 않거든요.. ㅠㅠ

  • 2. boxbox
    '05.12.2 8:57 AM

    그럼...미국에서도 국내에서도 유해판정이 확실히 난것은 아닌거군요....

  • 3. J
    '05.12.2 9:13 AM

    좀더 정확히는 이런 상황이에요.

    1. 코팅재에 들어있는 PFOA 자체는 EPA(미국 환경청)에 의해 발암성이 확인되었음
    (오래 전 이미 발암성의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2005년 6월 29일 결국 발암성이 있다고 공식 발표함)
    2. 소비자단체는 듀폰이 고의적으로 발암성을 20년간 은폐하기 위해 로비를 벌였다고 소송을 걺
    3. 테프론의 생산자인 듀폰은 자기네 테프론에서만PFOA가 검출 안된다고 주장함

    이렇습니다.
    미국이 소송의 나라인 것은 아시죠? ^^;;
    이 소송 뒤에 어떤 세력들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누가 알 수 있겠어요.
    소비자만 답답할 뿐인거죠.

    다만, 코팅팬 쓰실 때에 중요한 주의사항은 하나 있습니다.
    음식을 올려놓지 않은 채로...오래 가열하시면 가스가 발생됩니다.
    성분은 모르겠지만, 사람이 직접 맡기에 독하다고 하니 좋은 성분일리 없겠죠.
    빈 프라이팬을 과열하면 안된다는 거죠.

    그리고 듀폰에서는 테프론을 먹더라도 인체에 남지 않고 몸 밖으로 배출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아직 출생하지 않은 자궁 속의 태아에게서 테프론이 다른 중금속과 함께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물론, 미국 CNN에서 보고한 미국의 이야기기는 합니다.
    다만, 국내에서도 보도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 사람들이 선진국보다도 PFOA 검출이 높게 나온다고 하니까 조심해야겠지요.

    PFOA가 들어간 것은 비단 프라이팬 뿐만이 아니에요.
    테프론은 아주 여러 곳에 사용되거든요.
    햄버거 등을 싼 종이 아시죠? 거기에도 테프론 코팅이 되어있대요.
    등산복인 고어텍스에도 들어있고요.
    물론, 프라이팬처럼 가열을 하거나 또 먹는 것은 아니므로(고어텍스의 경우)
    같은 테프론이라도 조금은 덜 걱정되지만....
    알고는 있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 4. 늘첨처럼
    '05.12.2 12:03 PM

    그럼 알루미늄도 않좋은 거네요? 일부러 빵팬을 코팅팬 않살려고 알루미늄으로 구입했는데 어쩌죠? 파이팬이라 유산지를 사용할수도 없고요.ㅜㅜ

  • 5. 개똥이
    '05.12.4 8:57 PM

    울 신랑이 특수 테입이나 필름을 취급하는 업종에 있는데요, 언젠가 그러더라구요.
    어떤 테입인지 필름이 테프론으로 만든 것인데, 열에 강하지만 혹시라도 탈경우 그 냄새를 맡으면
    불임이 된다고요... 그 뒤로 테프론을 보면 찜찜해요. ㅡ_ㅡ;;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2359 홍어님, 질문있어요. 지현맘 2005.12.02 911 46
12358 저.. 세탁기요.. 두가지 질문~^^ 2 에리카 2005.12.02 754 0
12357 디카 추천해주세요.. 6 새벽공기 2005.12.02 1,001 0
12356 극세사행주 2 바쁜그녀 2005.12.02 1,480 8
12355 베이킹의 기본이 되는 것들(전자저울 등등..) 5 행복한밥상 2005.12.02 1,137 3
12354 코팅팬이 왜 안 좋은가요? 5 이상옥 2005.12.02 1,814 0
12353 19인치 모니터는 값을 안쳐준다네요..ㅡ.ㅡ 송현주 2005.12.01 1,104 7
12352 어떤것이 좋은도마나요? 4 코스모스 2005.12.01 2,349 4
12351 원목마루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2 코코 2005.12.01 2,338 7
12350 일룸 올리시리즈 가지고계신분요 2 quesera 2005.12.01 2,347 0
12349 사이트를 찾고 있어요. 앨범도 팔고, 이쁜 자석, 특이한 소품을 팔아요. 2 이영주 2005.12.01 1,158 25
12348 식탁의자 좀 골라주세요~ 1 차한잔 2005.12.01 906 0
12347 곰팡이 제거방법 문의 드립니다... 2 가을비 2005.12.01 994 0
12346 크랩스푼(?)어디서 사나요? 1 순수 2005.12.01 802 34
12345 광주요 그릇 좋은가요? 6 loveis 2005.12.01 2,170 0
12344 세신 퀸센스 보온병 어떤가요 1 이해리 2005.12.01 1,511 0
12343 wmf압력솥 질문요. 2 둥이모친 2005.12.01 1,178 9
12342 수퍼 킹 사이즈 침구 파는 곳이요~ 1 Cello 2005.12.01 1,499 5
12341 천으로 된 냅킨은? 언제나처음처럼 2005.12.01 733 17
12340 잡지 사고 받은 브리타 정수기 요거 모델이 뭔가요? 3 혜인엄마 2005.12.01 1,272 1
12339 어떤 쌀통을 써야 할까요? 10 봄아줌마 2005.12.01 1,223 0
12338 클라쎄 김치냉장고 쓰고 계시는 분께.. 4 블루베리 2005.12.01 1,571 0
12337 디오스 김치냉장고를 샀는데요... 1 아만다 2005.12.01 971 0
12336 세탁기 blueink 2005.12.01 801 22
12335 청국장을 환으로 만드는 방법? 1 봄이다 2005.12.01 1,258 10
12334 생선망이요 4 한다면 한다 2005.12.01 927 0
12333 압력밥솥 살려구요..추천부탁해요! 7 김유미 2005.12.01 1,272 0
12332 스텐냄비 WMF와 Silit 중 어느 것 선택할지 조언부탁드려요. 1 이선민 2005.12.01 3,684 0
12331 대우 김치냉장고 쓰시는 분께 여쭤볼게요. 6 sydney 2005.12.01 1,816 2
12330 Q) 일반세탁기 구입시.... 7 preety 2005.11.30 1,23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