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춘천 삼악산

| 조회수 : 801 | 추천수 : 0
작성일 : 2025-06-23 20:40:44

 

의암댐(1967년)

 

춘천 출신 의병장 의암 유인석 선생 호.

아래 의암 매표소에서 출발.

정상 거처 등선폭포로 하산.6키로 3시간.




시작 부터 감동.

노송으로 풍경은 더욱 멋스럽고

정원수 으뜸은 누가뭐래도 사방팔방 가지친 노송




강 건너,춘천 초입 의암댐 변 옛 경춘가도 



20분 지나 상원사






남산제비꽃

 

1910년 즈음 서울 남산에서 처음 발견.

한반도 제비꽃만 70여종이라네요.변이가 심하게 일어나고 있답니다.남산제비꽃도 다양한 변이종이 발견 되었고.향기가 좋다는데 엎드려 코를 대본적이 없으니 알수가 없고.

 




 


생강나무가 지천

 

순간 퍼특 뇌를 때리는 데,

"아,이래서 김유정이 소설 <동백꽃>의 핵심 소재를 생강나무로 삼았구나!!"

실제로 그의 단편소설 대부분이 실레마을 자연환경,실생활상을 소재로.

 

이 한여름,

철지난 봄날의 삼악산 산행에 집착한 이유이기도.

 




우측 멀리 큰 봉우리 보이시나요?

소설가 김유정이 노닐었던 금병산입니다.

 

금병산 앞으로 길다랗게 늘어선 주택들이 보이고.

춘천시 신동면 증리.

예전부터 실레마을로 불리었고.경춘선 김유정역이 있는 그 곳입니다.증(甑)은 시루.시루가 실레로 변이.금병산이 시루를 엎은 형상에서 유래한 것으로 실레마을은 금병산 들머리.

 

실레마을이요?

네! 김유정이 태어나고,30세 요절하고,요절 직전 지독한 빈곤에 밥벌이로 써냈던 <봄봄> <동백꽃>의 배경이 된 곳.둘은 작가의 역량과 환경적 조건이 절묘하게 응축된 소설.

 

 

".....

'닭 죽은 건 염려 마라. 내 안 이를 테니.'

그리고 뭣에 떠다 밀렸는지 나의 어깨를 짚은 채 그대로 퍽 쓰러진다. 그 바람에 나의 몸뚱이도 겹쳐서 쓰러지며 한창 피어 퍼드러진 노란 동백꽃 속으로 폭 파묻혀 버렸다. 알싸한, 그리고 향긋한 그 냄새에 나는 땅이 꺼지는 듯이 온 정신이 고만 아찔하였다..."

 

김유정 <동백꽃>

 

1.레드가 아닌 '노란' 동백꽃이라니?

2.러브 수풀에서 두 청춘이 겹쳤는데 알싸한 내음이라고?

 

우리가 아는 붉은 동백꽃의 식생 한계선은 고창 선운사(초봄에 피기에 춘백이라 함).그 시절엔 정원수로 키우지 않는 한 강원도에선  보기 쉽지 않았던 꽃.당연 여인네 머리 기름으로 쓰이던 동백기름도 구하기 힘들었을 터.

그러나 생강나무에서 열린 검은 열매가 동백기름 대용으로 쓸만했으니...서서히 강원도 일대 에서는 생강나무를 동박나무,동백나무라 불리게 되었다는.

 

점순이와 내(소설 속 화자)가 수풀 아래서 겹쳤는데 알싸한 내음이라..? 알싸함은 파 내음 같은 거.

네,김유정은 생강나무 특성을 다 경험하고 썼겠죠.꽃에선 향기,줄기를 벗기면 알싸한 생강 내음.

김유정은 뒷산 금병산은 말할 것도 없고,춘천의 명산 삼악산도 당연 올랐겠구나 상상도 해보고.당시 삼악산 등선폭포는 전국구.

 

김유정(1908~1937)은 실레마을서 천석꾼 아들로 태어나 서울 휘문고 거쳐 연희전문 중퇴.조실부모로 형 아래서 컸으나 형의 방탕으로 빈곤의 청년기를 보냈고.결국 가난으로 춘천 실레마을로 귀향.금병의숙(금병산에서 유래) 교사.이후 5년 간 집필로 봄봄,동백꽃 등 30편 단편을 남겼고.30세에 폐렴으로 사망.

 

경복궁 옆 서촌 출신 이상(1910~1937)과 더불어 천재 중 천재.둘은 절친.둘다 병에 시달리자 이상은 동반 자살을 권유하기도.둘다 폐렴으로 요절.이상은 26세로 일본서 불령선인 취급 받다가 김유정 죽고 2개월 후 사망.

 

동백기름 대용 생강나무 열매...12선녀탕계곡에서

 

생강나무는 정말이지 매력 덩어리.

이른 봄,나무 중 가장 앞서 향기로운 봄꽃을 피우고, 줄기를 벗기면 알싸한 생강 내음이.여름이면 하트 모양의 잎들로 풍성.가을이면 가장 늦게 까지 가을산을 노오랗게 물들이고.겨울이요? 검정 열매는 안방 여인네들의 머리를 이롭게 합니다. 여전엔 약재로 요즘은 조경수로 더 인기.

 


우측 끝 봉우리가 금병산

 





 

삼악산(三岳山)...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돌산

겨울에는 특히 조심해야.

 





가운데 섬은 붕어섬

정중앙으로 삼악산 케이블 카가 지나고



붕어섬 위쪽 중도(中島) 보이시죠?

90년대 mbc 강변가요제가 저기서 열렸죠.남이섬은 그 이전.중도는 7~90년대 남이섬과 더불어  2대 섬 유원지.의암댐이 생기기 전에도 섬이었다는.

 

내가 춘천이란 도시를 처음 알게 된건 중2 영어 책.

춘천은 호반(湖畔)의 도시다!

Chuncheon, the Lake City

아니, 첩첩산중 강원도에 왠 호수가 있다는 거지?...했다는.

 



왼쪽 멀리 매봉(1436).

능선으로 경기도의 제1산 가평의 화악산(1468m)과 연결되고.




붕어처럼 생겼나요?

붕어섬 위쪽 테마파크 레고랜드 보이시죠?

 

남한 땅 최고 청동기 유적지 중도(中島).

유적지 규모가 워낙 커서 '고조선 판 경주'로 불림.

사실상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석기-청동기-철기-삼국시대의 변천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환상의 유적지라는 평가.심지여 발굴 안한 곳도 있었고.당시 발굴 보고서만 2만쪽이 넘었을 정도로 넘사벽.그걸 갈아 엎고 레고랜드란다.

정말 개미친.진짜루 중도에 레고랜드가 들어서면 전국 팔도 어린이들이 춘천까지 달려올 거라 생각했을까? 아니다에 10원 건다.당연 중도 개발을 숙주로 봤겠지.그래서 지금은? 완전 썰렁 개폭망.







춘천 아웃 라인을 그려 보죠

 

바로 앞 왼쪽 물길이 석파령(삼악산 북사면) 가는 길.

경춘가도(1915년),경춘선(1943) 이전 사람들은 석파령 너머 가평 거쳐 한양 행.

가고 오고 수령들 이취임도 석파령 정상서 했다나.

 

역시나 산에 오면 삶,역사가 보여요.말라고 해도 보여주는 게 산입니다.

옛날.설악산 갈 때면 가는 길은 양평~홍천~인제 인제 코스를,올 때는 인제~양구~소양강 북쪽 추곡약수길~춘천 길을 타곤했죠.그러니까 갈때는 소양강 남쪽,올 때는 북쪽.

올 때입니다.양구에서 용화산~오봉산 사이 배후령(지금은 터널)을 넘으면 드넓은 춘천분지가 한 눈에 들어왔어요.바로 고대 맥국이 있었던 그 평원.아날로그 시절이라 지역 정보는 시청이나 도청에서 나눠주는 관광 팜프릿이 전부.팜프릿엔 '춘천의 역사' 하며 중도 유적지와 맥국의 얘기가 있었고.휴게소에 비치된 팜플릿을 찾아 나름 열심히 읽었던 기억들...그러나  '맥국? 맥국이라고?'...하며 공감은 1도 없었고.왜일까? 한마디로 정보 부족으로 인식이 못미친 것.

 

신기합니다.산을 다니니 산 아래 것들이 더 잘 보이고 더 많이 보이니 이해와 공감이 커지더라는.지금 발아래로 춘천을 바라보면서 무릅을 탁 쳐요.중도의 청동기인들이 저 삼각 충적토에 터를 정한 이유가 단방에 이해되고...설악산 물과 금강산 물이 합수해 만들어낸 위대한 춘천이 쉽게 보입니다

 


시내 한복판 작은 봉우리는 강원도청의 봉의산.

봉의산 옆 우측 멀리 구봉산...카페촌 전망대 그 곳.

중앙 멀리는 용화산~오봉산 능선.

 

왼쪽 멀리 두 물줄기가 Y자로 만나는 것 보이시죠?

좌는 화천댐~금강산 물줄기.우는 소양강~설악산 물줄기.이렇게 설악산 물줄기와 금강산 물줄기가 만나 북한강을 만들어 낸 그런 춘천입니다.이런 풍요로운 곳에 고대인들이라고 그냥 놔두었을 리가요.그들 삶의 타임캡슐이 중도 유적지.

 

시간은 흘러...삼국 시대 이전인 원삼국시대엔 맥국(예맥족 할때 그 貊)이 들어섰고.놀랍게도 중도에선 가야 토기도 발견되었답니다.북한강 물줄기를 타고 서해~남해 거쳐 교역이 이루어졌다는 반증.맥국은 한 때는 한성 백제를 수차례 공격하기도.결국 백제,고구려 거처 신라로 병합.

 


동쪽

설악산 가리봉도 보이는데 사진으로는 흐릿


 


정상 용화봉(654)

서남쪽으로 삼악산성이 있고.



정상 바로 아래까지 케이블 카가 올라온다는



삼악산 8부능선 케이블 카.

 

그러나 알수 없는게 정상서 2백여미터 거리인데 연결 등산로가 없다는 것.공사도 마음만 먹으면 금방인데 왜?왜??

 

아래 3장은 케이블 카에서 의암호










 




마을이 들어선 바로 아래길이 가평~한양 가던 석파령 옛길

 

아래 3장은 케이블 카에서


건너가 삼악산...아래는 붕어섬.



 


케이블카 전망대





전망대 가는 길.




 


정상 서남쪽으로 삼악산성.

 

한양~춘천을 최단으로 연결하는 길목(석파령)이었으니 삼악산성을 쌓았겠죠.성은 삼국시대 이전인 맥국(貊國) 때부터 시작.궁예의 본진 철원과 가까워 궁예 근거지이기도.

 


등선폭포로 하산

 





등선폭포를 벗어나면 추억의 경춘가도(강 이쪽)가 나오고.북한강 따라 차로 5분 내려가면 강촌.그 강촌서 삼악산을 타면 능선길 종주가 되고.

 

강 건너로 옛경춘선로가 보이네요

열차는 한참을 북한강 따라 달리기에 옛 경춘선에서 가장 낭만적이던 구간(가평~강촌~의암댐).

몇년간 강촌~김유정역까지 레일 바이크로 부활해 꽤 인기를 끌었으나(중국,일본 관광객들 주요 코스) 코로나 이후 휴업했다가 지금은 완전 올 스탑!

 


등선 폭포 초입 하산 끝

7,80년대에는 유원지로 큰 인기를 끌었고.


산행 루트 정리하면 a~b~c

의암매표소 시작해~정상 용화봉~등선폭포 하산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깡촌
    '25.6.27 7:54 AM

    사방팔방 가지친 노송이 눈길을 확 끄네요
    금강산 물줄기와 설악산 물줄기가 만나는곳도
    흥미롭고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 wrtour
    '25.6.29 12:36 PM

    진부령,오대산,방태산,항로봉,점봉산,계방산,택산,공작산,화악산 물도 만나요.
    설악산에 금강산이라 지금 생각해도 복받은 춘천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3157 이유가 있다 도도/道導 2025.07.27 206 0
23156 에어컨 배관좀 봐주실래요? 1 스폰지밥 2025.07.26 403 0
23155 2주 정도된 냥이 입양하실분 계실까요? 3 유리병 2025.07.21 1,792 0
23154 발네일 사진 올려봐요 2 바닐라향기 2025.07.18 1,340 0
23153 [급질문]욕실타일 크랙 셀프 가능할까요? 3 happymoon 2025.07.16 869 0
23152 고양이를 찾습니다..사례금 500만원 9 그리움 2025.07.15 2,198 0
23151 마천에서 올라 남한산성 한바퀴 3 wrtour 2025.07.14 939 0
23150 무늬벤자민 좀 봐주세요ㅜㅜ 7 na1222 2025.07.13 1,004 0
23149 구체관절인형 조각보 저고리와 굴레 2 Juliana7 2025.07.11 853 1
23148 416tv 바람의 세월 시사회초대 유지니맘 2025.07.11 520 0
23147 간장게장 테나르 2025.07.11 525 0
23146 아기사슴 이예요 6 공간의식 2025.07.09 1,985 0
23145 비싼 수박이... 2 통돌이 2025.07.07 1,385 0
23144 설탕이와 소그미(10) 10 뮤즈82 2025.07.03 1,326 0
23143 뜨개커텐 9 ㅎㅎㅋㅋ 2025.06.29 3,906 0
23142 6.28일 토요일 오후 6시 마지막 나눔안내 16 유지니맘 2025.06.28 2,147 2
23141 82일부회원님들과 함께 한 매불쇼 .겸공 41 유지니맘 2025.06.27 4,699 8
23140 모두가 잘났습니다. 2 도도/道導 2025.06.26 1,218 1
23139 버스에 이런게 있던데 충전기인가요? 4 요랑 2025.06.25 1,330 0
23138 6.25 75주년 2 도도/道導 2025.06.25 475 0
23137 춘천 삼악산 2 wrtour 2025.06.23 801 0
23136 삼순이의 잠.잠.잠 퍼레이드. (사진 폭탄) 14 띠띠 2025.06.23 1,944 1
23135 6.21일 토요일 교대역 10번출구 나눔입니다 2 유지니맘 2025.06.20 721 2
23134 화촉 신방 4 도도/道導 2025.06.20 870 0
23133 눈 아픈 길냥이들 5 냥이 2025.06.20 784 1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