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KBS 수신료 안 내도 되는 방법 길라잡이
[단독] 여, KBS수신료 5000원으로 인상 추진
4000원으로 올린뒤 단계 인상
최혜정 기자
한나라당이 한국방송 수신료를 현재의 2500원에서 두 배인 5000원 가량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병국 한나라당 미디어산업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은 4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공영방송의 광고 비중이 높으면 결국 공공성이 저해될 수밖에 없다”며 “장기적으로는 수신료 비중을 전체 재원의 80%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한나라당 미디어특위는 가칭 ‘공영방송에 관한 법’을 마련해 수신료 인상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정 의원은 “수신료가 6000원 정도면 수신료만으로 100% 운영이 가능하고, 5000원 정도면 전체 재원의 80% 정도를 충당할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며 “한꺼번에 올리면 저항이 거셀 수밖에 없어, 1단계로는 4000원 정도로 올리는 등 2~3년 단위로 단계적으로 인상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수신료를 4000원으로 올리면 큰 무리가 없는데다, 재원 비중도 60%로 오를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만 방송사의 자체적인 구조조정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정 의원은 이날 오전 <불교방송> 라디오 ‘김재원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공영방송의 경우 광고를 점차 줄여가서 의무적으로 (전체 재원의) 20%를 넘지 못하도록 할 생각”이라며 “앞으로 공영방송법을 만들게 되면 공영방송법 틀에 들어와 있는 방송국은 수신료 중심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또 “공영방송의 수신료가 20년 가깝게 2500원에 묶여서 전혀 가치를 발휘하지 못해 현실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325843.html
공영방송이란 의미는 정연주 사장을 억지논리로 쫓아낼 때 이미 없어졌지요.
공영방송 대신 '정부기관 관영방송'이라고 붙여주고 싶네요..
KBS 시청료 거부운동, 함께 하실 분은 참고하세요.
[참고]아래의 KBS 시청료납부 거부방법은 아고라 '촛불이 이긴다'님이 제시한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http://cafe.daum.net/dhmgfighting/QEcr/917)
1)한전 고객센터에 전화합니다. Tel: 국번없이 123
2) 상담원연결 41번을 누릅니다.
3) 상담원에게 TV가 없으니 시청료납부 안하게 주세요.. 라고 요청합니다.
4) 몇가지 문의를 합니다.(이사를 새로 왔냐? 아니요, TV는 언제 부터 없었냐?)
5) 한전 고지서에있는 계량기 번호를 물어봅니다. 알면 답변하시고, 모르면 집주소로 대체가 됩니다.
(아파트의 경우 관리실에 전화하여 시청료 안내겠다고 하면 , 와서 TV 가 없는 것을 보고
한전에 내용증명 팩스를 보냅니다. --> 간단하게 끝!!)
6) 집 전화번호... 알려주시면 됩니다.
7) 한전에서 KBS에게 분리고지 통지를 합니다.
8) KBS 상담원이 문의합니다. 집에 TV가 없습니까?? 예 없습니다.. . --;;;
9) 직원이 방문해서 확인하겠습니다.라고 할겁니다.
10)방문 날짜에 맞춰서 TV치운다

- [요리물음표] 잔멸치 색깔.. 1 2008-09-04
- [요리물음표] 당면.. 어떻게 쓰세요.. 3 2008-08-04
- [요리물음표] 갈비탕용 고기를 구입했.. 3 2008-06-27
- [요리물음표] 마늘장아찌 만들 때 보.. 2 2008-06-24
1. 포도송이
'08.12.5 10:24 PM제가 사는 곳은 난청지역이라 케이블을 달지 않으면 공중파 방송을 볼수가 없어요
집에 tv는 있는데 케이블 신청을 안하고 있어도 시청료를 안낼수 있을까요?
아이들때문에 유선은 안보더라도 비디오는 보여주려고 tv를 가지고 있는데요..2. 마.딛.구.나
'08.12.5 10:30 PM컴퓨터 갖고 계시면 tv수신카드 하나 사서 다세요. 한 10만원이면 될려나~~
컴에 dvd롬도 있으면 dvd비디오도 볼수 있답니다.
한 2년이상 수신료 거부하시면 본전 뽑고도 남겠죠 ^^3. 유리
'08.12.6 9:36 AM주방에 라디오 겸용 tv가 있어요
이것도 떼고 해야 하나요?4. 서걍
'08.12.6 10:53 AM곧 이사가니까 그때가서 tv 진짜루 치워야겠어요...요즘 뉴스보면은 시청료가 아까워~
5. 오븐사고파
'08.12.6 3:53 PM직원이 방문할때 티비는 치운다지만 유선비를 내고 있으면 눈치채지 않을까요?
유선을 안달면 티비가 안나와서요... 티비수신료를 꼭 내고 봐야하는건지 늘 궁금했는데...6. 석봉이네
'08.12.7 12:43 AM포도송이님, 난시청지역이라면 살고계신지역의 케이비에스쪽에 알아보세요
난시청지역은 수신료를 안내도 되지만
그 기준이 소비자가 인정하기힘든 부분도 있습니다
직원방문이 꼭 있는건 아니예요
저 사는곳은 직원이 방문한다는 말만 하고 실제 와본 적은 없어요
그러나...
티비가 있다면 있다는 사실을 털어놓지 않으면 안되게끔 전화로 유도심문을 할겁니다
아주 교묘하게 말을 하는데 이거 당해보면 엄청 기분나빠요
내가 도둑질하지 않았는데 나를 도둑으로 몰아가는것처럼 그런 기분이 들거든요
전화할때나 끊을때 직원이 이름 알려주지도 않고 몹시 불친절하답니다7. 달콤썩소
'08.12.8 12:04 PM그럼요.. 요즘 메가티비 아님 하나로 티비있자나요. 그걸로 실시간으로 보면 안내도 되는건가요??
그건이거랑 별개인가요??ㅋㅋ8. 석봉이네
'08.12.8 3:16 PM달콤썩소님, 하나로나 메가티비를 보시더라도 실시간이고뭐고간에 수신료를 부담해야 합니다
집에 티비가 있으면 보든 안보든 무조건 내야하는게 수신료예요
다만, 안테나를 세워도
절대 티비가 나오지 않는 지역은 수신료면제지역인데
이런지역은 대부분 산골오지 같은곳이라서 메가나 하나티비는 연결이 안될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