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이라 퍼왔습니다.--
'신정아 파문'이 주는 교훈
무모한 욕망이 부른 거짓말 가짜 이력…
그런 것이 통하는 미술판의 현실이 슬프다
박영택 경기대 미술경영과 교수
요즘 작가들은 팔리는 그림을 그리는 데 혈안이 돼 있고 미술평론가나 큐레이터들은 그 뒤치다꺼리를 해내느라 분주하다. 더 이상 미술의 질적 측면이나 그 의미를 고민하는 흔적은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그런가 하면 미술관의 관장이나 학예연구실장, 비엔날레와 같은 대규모 전시기획을 맡는 것, 나아가 대학교수가 되는 것이 대부분 미술이론가들의 생의 목표가 되었고 그 뜨거운 욕망들이 너무 노골적이고 천박하게 어우러져 얽힌 것이 지금 우리 미술계의 초상이다. 마치 무협지를 읽는 기분이다.
그런 와중에 동국대 조교수, 성곡미술관 학예연구실장, 신임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이란 길고 긴 직함을 달고 있는 신정아란 이름이 모든 언론매체를 도배하고 있다. 가짜 박사 학위가 들통이 났고 그간의 모든 이력이 결국 ‘뻥’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사람들은 마냥 놀랐고 광주비엔날레재단과 대학, 해당 미술관은 쑥대밭이 되었다.
누구 하나 사과하는 이 없이 죄다 잠적했다. 남은 이들은 이구동성으로 우리 사회의 지나친 학벌숭배를 지적하는가 하면 그녀의 뒤를 봐주고 있다고 여겨지는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무수한 추측들만 난무하고 있다. 그러나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다들 잊어버리고 무감해지고 더없이 평안해질 것이다. ‘한 개인의 철없는 행동’이 ‘우리 사회의 고질병인 학벌과 인맥중심주의’와 만나 불거진 사건으로 ‘급수습’될 것이 뻔하다.
신정아씨의 무모하고 무섭기만 한 욕망과 자신의 욕망을 추진하기 위해 동원한 거짓말과 거짓 이력, 경제력과 인맥동원, 그리고 그런 것들이 충분히 통하는 우리 미술판의 누추하고 허접한 이 현실이 슬프다. 이 사건의 본질은 우선 한국의 기업미술관들이 전문성이 검증된 실력보다는 지극히 자의적인 잣대로 큐레이터를 뽑고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해당 큐레이터가 기획한 전시와 글들이 미술계 내에서 검증되고 논의되는 과정을 거쳐 좀더 나은 전시와 좋은 큐레이터들이 선별되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단지 언론플레이를 통해 지면을 장식하거나 많은 대중들을 동원했다거나 혹은 외국의 패키지전시를 유치하는 수준을 가지고 능력 있는 큐레이터라고 말해서는 곤란하다.
따라서 이번 사건에서 언론사의 미술담당 기자들 역시 공모자들이다. 큐레이터와 식사자리나 술자리에서 친분을 갖고 대접을 받으면서 기사를 쓰는 풍토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무슨 얘기인가 하면 우리 미술계가 질적 측면을 논의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고 인정하는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다.
미술은 정답이 없는 부분이라 시기와 가짜가 판치는 영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는 결국 최고의 감각과 가치를 추구하고 실현하는 과정이며 이런 가치와 감각을 느끼고 판독하며 이해하는 놀라운 눈들의 투쟁이다. 그런 질적인 측면들에 대한 엄정한 위계와 그 위계에 대한 존중과 인정은 없고 그저 목소리 크고 권력적인 기관에 자리 잡는 그 자리가 곧바로 가치와 질로 연결된다고 믿는 이 후진적 발상이 결국 문제의 핵심이다. 미술계에 종사하는 이들은 세속적인 욕망에 부침하기보다는 결국 자신의 안목과 감각, 가치를 얼마만큼 밀어올리고 그것이 어떻게 인정받느냐란 문제를 가지고 평생을 가는 존재들이다.
그까짓 비엔날레전시 감독직이나 미술관의 관장이나 학예연구실장, 교수라는 직함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왜 그것이 자신의 생의 목적이 되어야 할까? 신정아씨에게 묻고 싶다.
박영택 경기대 미술경영과 교수
2007.07.16 (월) 17:43
이런글 저런질문 최근 많이 읽은 글
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신정아 파문'이 주는 교훈-박영택 경기대교수의 글 (펌)-
deep blue |
조회수 : 3,215 |
추천수 : 51
작성일 : 2007-07-17 10:43:57
- [패션] 샤넬 클라식 은장 vs.. 4 2007-01-28
- [뷰티] 트레이너 찾아요. 세희.. 1 2008-10-30
- [뷰티] 건조한 입술 완결편 2007-04-02
- [이런글 저런질문] 바질, 로즈메리,딜등 .. 2 2011-02-2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