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추미애 법제사법위원장의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강행에 대해
"너무 급하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간사 선임을 놓고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과 각을 세우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조 대법원장의 '한덕수 전 총리와 회동 의혹'에 대해선 추 위원장과 서영교·부승찬 의원이
소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 최측근 그룹이라는 이른바 '7인회' 멤버인 김 의원은 25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오는 30일 예정된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에 대해 "약간 급발진하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대법원장 청문회는 대단히 무거운 주제이자 중요한 사안"이라며 "당 전체, 지도부와 상의해
사전 준비 절차를 잘 거치고 그 필요성에 대해 서로가 인식하면서 동의 아래 진행했으면 좋았는데 너무 급하게 한 듯하다"고 했다.
또 "대변인 등 발표를 보면 지도부와 사전 논의없이 추미애 법사위원장과 김용민 간사가 진행한
사안인 것 같다"며 "이 정도 사안은 당 지도부와 원내 지도부가 사전에 논의해서 진행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게 대부분 의원들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조 대법원장 회동 의혹과 관련해선 "조희대, 한덕수, 정상명, 김충식의 4인 회동이라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가지고 청문회를 여는 것 자체는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회동설 자체의 사실 여부에 대해 "대법원장과 국무총리는 경호 인력이 다 붙는다.
비공개 일정이라지만 (사실상) 공개 일정일 수밖에 없다. (특히 대통령 권한대행인) 국무총리
이동 땐 경호 인력이 붙고 행선 및 차량운행 일지가 다 있다"며 "그 문제에 관해 서영교,
부승찬 의원이나 추미애 법사위원장이 소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법사위 야당 간사 선임을 놓고 추 위원장과 나경원 의원이 충돌한 것에 대해서도
"추미애 법사위원장의 3차 대전으로 본다"며 "1차 대전은 추미애-윤석열, 2차 대전은 추미애-
한동훈, 3차 대전은 추미애-나경원의 전쟁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동안 (추 위원장의) 전쟁 결과가 적절하거나 좋았던 기억이 없다"며 추 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맷집만 키워줬듯이 이번에도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간사 선임 문제를 가지고 전쟁을 치를 필요는 없다"며 "마치 법사위가 모든 정치를
대변하는 것처럼 비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 친명이라는 것들 중에도 수박이 있군요.
감히 추장군 하는 일에 반론을 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