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면역력 회복하는 최고의 방법

유튜브 조회수 : 4,774
작성일 : 2025-06-06 09:05:45
3가지이상 채소섭취
장과 등건강
동작10분
몸쓰고 제자리 갖다놓기---면역력유지
 
챗gpt로 요약했습니다.
 

 

서재걸 의학박사는 난치병 치료와 면역력 강화에 대해 깊이 연구하는 전문가로, 그의 핵심 주장은 "면역력은 제자리로 돌려놓는 힘"이며, 이를 통해 노화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는 자연스러운 노화는 없으며, 방치하면 급격한 노화와 병이 찾아온다고 강조합니다. 면역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몸의 '제자리'를 찾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젊음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그는 면역력의 핵심 개념을 "제자리로 돌려놓는 힘"으로 정의하며,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젊어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또한, 몸의 위치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노화 방지와 건강 유지에 필수적임을 강조하며, 암세포와 같은 변형된 세포도 몸이 원래 자리와 구분할 수 있는 힘이 중요하다고 설명합니다. 몸의 위치를 찾고 유지하는 능력은 건강의 기본이며, 이를 통해 급격한 노화와 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면역력 저하의 증상으로는 염증 재발, 만성 통증, 피로, 인지 장애 등이 있으며, 특히 우울증이 면역력 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혔습니다.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도 항우울제보다 장내 세로토닌(세로토톤) 생산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장 건강이 정신 건강과 직결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평소 면역력을 체크하는 방법으로 염증, 피로, 우울감, 기억력 저하 등을 주의 깊게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부 유입 경로인 공기와 음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특히 음식은 좋은 균과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 섭취를 통해 장내 유익균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채소는 장에서 식초(아세트산)를 만들어내어, 인슐린 조절과 당뇨 예방에 도움을 주며, 이는 만성질환 예방의 핵심입니다. 또한, 장 건강은 면역력의 70% 이상을 좌우하므로, 규칙적인 식사와 적절한 공복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 건강과 함께 중요한 또 다른 요소는 '등 건강'입니다. 등과 뇌는 자율신경계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자세와 척추 상태가 신경 신호 전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구부러진 자세나 라운드 숄더는 호흡과 면역력 저하를 초래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등 근육을 스트레칭하고 자세를 바로잡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등을 쓰다듬거나 적절한 자극을 주는 것도 등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그는 신체의 신호 전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병 치료의 핵심임을 강조하며, 등과 척추의 상태를 점검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특히, 귀와 어깨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벽에 기대어 자세를 점검하는 방법을 추천하며,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횡경막 신경의 활성화를 위해 경추 부위의 자극도 중요하다고 설명합니다.

 

마지막으로,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으로는 얼굴, 손, 발을 움직여 뇌를 활성화시키거나, 아오(입 벌리기) 운동과 등 근육 스트레칭을 통해 뇌와 몸의 건강을 동시에 유지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는 매일 10분 정도의 루틴을 통해 몸과 마음의 균형을 잡는 습관을 권장하며, 몸의 위치와 자세를 바로잡는 것이 노화와 병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강조합니다.

 

요약하자면, 서재걸 박사는 "면역력은 몸의 제자리 찾기와 유지"에 있으며, 이를 위해 올바른 자세, 균형 잡힌 식사, 장 건강, 그리고 신체와 뇌의 연결을 강화하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실천을 통해 자연스러운 노화와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IP : 125.183.xxx.168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빡세다
    '25.6.6 9:13 AM (210.126.xxx.33)

    읽을 엄두가....

  • 2. 딱 4줄만!
    '25.6.6 9:24 AM (211.215.xxx.144)

    첫문장부터 4줄이면 끝.
    서재걸에서 스킵!!!!

  • 3. 아줌마
    '25.6.6 9:29 AM (175.124.xxx.136) - 삭제된댓글

    요약좀요.

  • 4. ㅇㅇ
    '25.6.6 9:32 AM (211.210.xxx.96)

    어르신카톡인줄

  • 5. ㄱㄴㄷ
    '25.6.6 9:34 AM (120.142.xxx.17)

    다 빼고 잠이 최고고 최선입니다.푹자는 것이 쉬는거죠.

  • 6. 5742
    '25.6.6 9:39 AM (112.151.xxx.75) - 삭제된댓글

    와 길다 읽다 명 짧아질까 끊음요

  • 7. 삼성폰 요약기능ㅋ
    '25.6.6 9:45 AM (221.138.xxx.135)

    면역력 회복의 핵심: 장 건강과 채소 섭취

    • 면역력은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힘으로, 제자리로 돌려놓는 능력에 비유될 수 있으며, 이 능력이 저하되면 염증, 통증, 피로, 인지장애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 면역력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장 건강 악화이며, 장내 유익균의 감소는 세로토닌 생성 저하로 이어져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면역력 관리를 위해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와 음식을 관리해야 하며, 특히 채소 섭취를 통해 장내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채소는 장에서 식초(아세트산)를 생성하는데 도움을 주어 장 건강을 개선하고, 찌꺼기를 제거하며, 인슐린 조절과 당뇨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 스트레스는 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면역력 강화를 위해서는 장 건강 관리와 더불어 스트레스 관리 또한 중요하다.

  • 8. 정리필요
    '25.6.6 9:46 AM (124.50.xxx.173) - 삭제된댓글

    같은글 반복이네요 ㅜㅜ

  • 9. 간단하게
    '25.6.6 9:47 AM (59.7.xxx.113)

    밤에 폰이랑 TV끄고 잠자고 아침에 일어날때 기지개 켜고 물 한잔 먹고 화장실 잘 갔다오고 된장국 미역국 먹고.. 집안 청소하고 분리수거하고 산책하고.. 인터넷 커뮤니티 줄이고..

  • 10. 간단하게
    '25.6.6 9:49 AM (59.7.xxx.113)

    항암치료 중이라 3주마다 피검사하는데 면역수치 잘나오네요.

  • 11. 이사람
    '25.6.6 10:40 AM (39.7.xxx.13)

    몇년간 케이블 건강프로에서 어드바이저처럼 나오더니
    갑자기 박사네요?

  • 12. ..
    '25.6.6 11:19 AM (211.206.xxx.191)

    면역력 높이는 방법 옳은 얘기인데 댓글들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8603 조국 대표님이 이렇게 격노하는거 첨보네요 47 .,.,.... 2025/06/22 21,508
1728602 위고비 맞고 너무 심하게 졸려요 1 ㅇㅇ 2025/06/22 1,482
1728601 지금 복가에 소향 나오던데 17 2025/06/22 2,953
1728600 집이 좋다는, 편하다는 대딩들 많아요? 22 ㅇㅇ 2025/06/22 4,177
1728599 매일 보는 여자들이 하필 다 부자에오 14 하필 2025/06/22 7,016
1728598 1인가구 식비가 월60만원 13 .. 2025/06/22 3,712
1728597 21년된 린나이 가스오븐렌지 고장도 안나네요 3 린나이 2025/06/22 976
1728596 해물믹스로 주로 어떤 거 해드세요? 7 올리브 2025/06/22 1,605
1728595 나르시시스트 대응 어떻게 할까요? 15 ㅇ ㅇ 2025/06/22 2,868
1728594 맛있게 만들어 먹는 냉면 비법이 궁금해요 14 2025/06/22 2,643
1728593 경상도 삽니다! 18 2025/06/22 3,452
1728592 평택항 하얀가루가 사실이면 김건희일가는 왜 그런짓을 한거죠? 17 000 2025/06/22 4,116
1728591 노인 우울증이 7 ㅎㄹㅇㄴㅁ 2025/06/22 3,247
1728590 올해는 안 덥네요? 23 000 2025/06/22 5,231
1728589 인스타에 카톡보낸거 올리는 피아노쌤 55 쑥쑥 2025/06/22 8,771
1728588 올해 김장 실패했다고 생각 했는데... 2 ... 2025/06/22 2,037
1728587 시판 콩물(콩국수)에 뭘 넣어야 더 고소한가요? 4 ㅇㅇㅇ 2025/06/22 1,930
1728586 밀린 임금 얼마나 기다릴 수 있으세요?? 3 ........ 2025/06/22 870
1728585 사형되야 될텐데 10 ... 2025/06/22 1,286
1728584 도북자·반도자는 BBC나 동아일보 중국어판에도 흔한 표현 11 ㅅㅅ 2025/06/22 1,228
1728583 나라에서 세금으로 나라운영 알뜰살뜰 낭비없이 5 2025/06/22 709
1728582 샌드위치 재료 추천 좀요 16 00 2025/06/22 2,362
1728581 류마티스와 퇴행성관절염 어떻게 구분하나요? 13 어쩐다 2025/06/22 1,657
1728580 미지의 서울... 올해의 드라마 32 ........ 2025/06/22 7,046
1728579 나이먹고 이사하니 몸이 너무 힘드네요 10 2025/06/22 3,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