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물건 잘 버리시는 분들은

ㅡㅗㅎㄹ 조회수 : 3,593
작성일 : 2025-06-05 19:10:16

이제 나이가 드니까 

이 짐들을 다 껴앉고 무슨 의미인가

버려야 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주로 책 아니면 옷이에요

책은 일단 ebook으로 살수 있는 거면 과감히 버리고

이북으로 구매하고 돈주고 못사는거면 일단 킵하고

옷들은 참 버리기가 쉽지 않네요

 

물건을 왜 버리기 힘들까요

물건마다 나의 추억? 아니면 나의 선택? 나의 자아가

들어가서 그런걸까요 ㅠㅠ

이제 책은 가급적 빌려읽고 이북으로 읽고 가급적 안사고 싶고

물건은 가급적 집에 안들일려고 하는데 쉽지 않네요

 

 

IP : 61.101.xxx.6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6.5 7:11 PM (118.235.xxx.90)

    근데 꼭 버리고 나면
    그제서야 쓸 일이 생기는 것도 희한해요

    그래서 좀 망설이는 것도 있어요
    특히 옷이요

    다른 건 그래도 잘 버리는데....

  • 2. ...
    '25.6.5 7:19 PM (211.36.xxx.90) - 삭제된댓글

    물건 잘 버리고 잘 안사요
    가끔 후회하는거 있어도 그때 뿐이에요
    전 옷버리는게 제일 쉬웠어요
    입기 싫은거 안입는거부터 버리면 되던데요

  • 3. ..
    '25.6.5 7:19 PM (112.214.xxx.147) - 삭제된댓글

    옷은 버릴양을 정하고 시작하면 좀 수월해요.
    저는 1/3 또는 1/2 는 버린다!!!! 로 기준잡고 진짜 그만큼 버려요.
    양을 정하지 않으면 자꾸 미련이 남아 못버리고못버리고 해서 정리가 쉽지 않더라구요.

  • 4. ..
    '25.6.5 7:20 PM (112.214.xxx.147) - 삭제된댓글

    책도..
    이중 30권만 남긴다. 하고 30개만 골라내고 나머지 전부 알라딘으로 보냈어요.

  • 5. 그래서
    '25.6.5 7:33 PM (125.187.xxx.44)

    살때 엄청 고민해요
    버리는거 힘드니까

  • 6. 그게
    '25.6.5 7:39 PM (222.113.xxx.251)

    옷버리는게 책버리는거보다는
    훨씬 쉽던데요

    하나씩 옷들고 추억에 잠기지 마시고
    바로 입을 옷 빼고는 과감히 버려요
    도저히 못버리겠는건 어떤 상자에 넣어요

    생각도 안나는 거였다면
    몽땅 버려도 됩니다

    사실 우리에게 내일은 없어요
    지금 이순간만 있을뿐

  • 7. ..
    '25.6.5 7:41 PM (211.235.xxx.11)

    예쁜 옷이 많아서 버릴 수가 없어요..
    매일 다른 옷 입는게 큰 즐거움 중 하나

  • 8.
    '25.6.5 7:59 PM (49.175.xxx.11)

    나에게만 추억인 추억의 물건은 내손으로 정리하자는 마음으로
    정리했어요.

  • 9. 많이
    '25.6.5 8:02 PM (1.237.xxx.119)

    버리고 커다란 비닐에 가득 담아서 전화합니다.
    구제 가게에서 달려옵니다.
    깨끗하고 좋은 옷들은 그냥 버리기 아깝습니다.
    급하게 살이 쪄서 거의 안입은 옷들이예요.
    닥스, 세인트 존, 코스, 블랙앤 화이트, 리본, 이새 옷들이 아까와서
    미국에서 친구오면 골라 가고 남은 옷은 전화하면 가져갑니다.
    당근 싫어서 깨끗한 그릇 이나 가구 도 온라인으로 수거비내고
    붙여서 내 놓으면 금방 없어져요.
    누구라도 가져가서 재활용하면 고맙지요.

  • 10. 좋은 점은
    '25.6.5 8:04 PM (1.237.xxx.119)

    확실히 집이 깨끗하고 넓어졌습니다.

  • 11.
    '25.6.5 8:16 PM (125.132.xxx.74) - 삭제된댓글

    새옷도 거의 안사고 1년여에 걸쳐 옷정리를 했어요.
    그리고 남은 옷걸이를 다 버렸어요.
    자연적으로 하나사면 하나버리게끔이요.

  • 12. wii
    '25.6.5 8:53 PM (211.196.xxx.81) - 삭제된댓글

    그냥 버리기 아까운 고가 옷들 종량제 큰 봉투에 담아 버렸어요. 동네에 헌옷 수거함 있었는데 요즘은 사용 안하는 거 같고. 어디 보내려고 옷을 다시 구분하는 것도 귀찮아서 다 버렸어요. 진짜 비싼 옷도 다 버림. 처음엔 비싼 옷들은 비닐봉지에 따로 담아 놨는데 바로 안 버리니 비닐 봉지 몇개가 드레스룸에 굴러다녀서 날 잡아 다 버렸어요. 지금 55사이즈인데 44반이던 시절에 입던 고가 옷들 줄 사람이 마땅치 않고 이제는 연락안하는 친구한테 옷 준다고 연락하기도 그래서 다 버렸어요. 근데 후회 하나도 안 되고 진작 버릴 걸 싶었어요. 추가로 버릴 거 다시 정리하려고 해요. 아직 정리 못한 행거가 하나 더 있고. 애매한 것들 자리 있어서 보관 중인데 그것도 한번 더 추려내야죠.

  • 13. wii
    '25.6.5 8:55 PM (211.196.xxx.81) - 삭제된댓글

    책은 다시 구하기 어려운 책. 중고인데 아주 고가인 책은 그냥 두었고 고 전 중에 새판본으로 새로 사서 읽은 책들은 당분간 둘 거고. 가끔 손이 가서 읽는 책들 있는데 그건 당연히 두고. 나머지는 버리고 있어요. 책은 그나마 알라딘 매입 가능한 건 따로 박스에 담고 있고요. 브리태니커는 당근에 2만원에 올렸더니 가져가셨고. 나머지 책은 자주 끈으로 묶어서 쓰레기로 내놔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3467 애완 언론 개레기들 광고 쳐 받은 금액 보고 가세요 11 어? 2025/06/09 1,930
1723466 기레기가 미쳤어요 21 어이상실 2025/06/09 6,328
1723465 송혜교 용감하네. 이재명 찐팬인듯 43 o o 2025/06/09 19,196
1723464 양산 예쁜거 추천해주세요 16 양산 2025/06/09 3,066
1723463 공산당 그거 어려워 4 대한민국 2025/06/09 1,055
1723462 한남동 관저 개사이다네요 21 ... 2025/06/09 16,266
1723461 아직 언론은 전정권편인듯. 18 .. 2025/06/09 2,394
1723460 자식 결혼 못시킨 부모님 마음은 어떤건가요? 26 ㅇㅇ 2025/06/09 6,446
1723459 배드민턴 안세영, 4년 만에 인도네시아 오픈 우승 11 .. 2025/06/08 2,856
1723458 중국인 '건강보험 무임승차' 손 보자...벌어진 대반전 20 2025/06/08 5,259
1723457 이재명 대통령 오랜 지지자였던 분들도 많이 힘들었을 듯 14 ..... 2025/06/08 2,764
1723456 크림에서 클러치백 사는거 괜챦은가요? 가방 2025/06/08 368
1723455 사람 구경 좋아하는 아기 3 굿걸 2025/06/08 2,040
1723454 롤랑 가로스 결승 보는 분 계세요? 14 궁금 2025/06/08 965
1723453 정권 바뀌면 나아질줄 알았는데 34 ㅇㅇ 2025/06/08 7,217
1723452 관절이 슬슬 아파오는데...파라핀 어떤가요? 2 .. 2025/06/08 1,613
1723451 서울인데요 샤워 중에도 더워요. 선풍기 틀었어요 5 너무 더워요.. 2025/06/08 2,171
1723450 펌) 이재명 대통령이 시장상인 손 잡으면서 한말 13 ㅇㅇ 2025/06/08 3,652
1723449 소고기무국 국물을 멸치육수로 할까요? 20 ㅇㅇ 2025/06/08 2,252
1723448 펌)최강욱의원이 전하는 현재 진행되는 상황들 41 00 2025/06/08 16,159
1723447 ㅋㅋㅋ전두환도 박정희도 ㅋㅋㅋ 8 .... 2025/06/08 2,321
1723446 요양보호사 시험 17 우쨜 2025/06/08 3,601
1723445 시어머니가 제가 얄미우신가봐요 53 아보아보 2025/06/08 13,141
1723444 동영상 편집-자르기 어렵네요 7 컴맹 2025/06/08 1,566
1723443 저는 계엄 이후 가장 힘들었던게 10 무명인 2025/06/08 2,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