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커피에서 차로 취향을 넓혀보고 싶은 사람을 위한 길라잡이 글 (2/5)

깨몽™ 조회수 : 1,259
작성일 : 2025-02-25 18:53:36

제목 그대로 커피에서 차로 취향을 넓혀 보고 싶은 분들을 위한 글을 다섯 꼭지에 나눠 써 보려고 합니다.
차 입문자를 위한 글이므로 흔히 알려져 있거나 혹은 여러분이 아시는 사실과 약간 다를 수 있다는 것을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제 글에 덧붙여 차 입문자에게 알려주고 싶은 것이 있다면 입문자를 질리게 할 수도 있는 어려운 내용은 빼고 되도록 쉽고 재밌는 내용으로 덧붙여 주신다면 저에게도 영광이겠고 입문자 분들께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1편. 들어가는 말 / '차'(茶)에 취미를 들이기 위한 첫 걸음
* 2편. 차의 종류  ←지금 이 글
* 3편. 차를 즐기기 위해 필요한 것
* 4편. 차를 우리는 방법
* 5편. 실전 : 차를 즐겨 보기 / 차의 효능과 응용

 

차의 종류

그 전에 먼저, 흔히 ‘차’라고 하면 보리차, 옥수수차 같은 것도 있고 대추차, 유자차 같은 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차’는 차나무 어린 잎을 우린 것 만으로 테두리 짓겠습니다. 물론 꽃차 같은 것도 훌륭한 취미 생활이고 좋은 취향이기는 하지만 여기서는 본디의 차 만을 다루겠습니다.
다만 찻잎이 아닌 다른 것을 우려 마실 요량으로 한 것을 모두 대용차라 할 만 한데, 넓게 보자면 커피도 또한 대용차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대용차나 응용차 뿐만 아니라 티백 차 같은 것도 빼고 얘기하겠습니다.(취향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어차피 그런 차는 응용된 차 쪽인 데다가 물에 타거나 담그기만 하면 돼서 딱히 취미생활로서의 ‘과정’이랄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커피로 치자면 그냥 물에 타기만 하면 되는 스틱커피, 가루커피, 티백커피 같은 건 제끼고 최소한의 과정이 필요한 핸드드립이나 에스프레소, 프렌치프레스 정도부터 시작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취미라는 것이 쉽게 다가갈 수 있어야 한다 해도 기본적인 차의 갈래는 한번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이것은 ‘지식’이나 ‘상식’으로서 필요하다기 보다는 차 갈래에 따라 우리는 방법과 맛이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덧붙여 효능도 다릅니다.)
다만 차에 이런 갈래가 있다는 것까지만 이해하고 너무 낯설다면 굳이 외우려 하지 마시고 가지고 있는 차, 마실 차 종류에 따라 그때그때 찾아보고 적용하시면 되겠습니다.(어차피 그냥 무턱대고 외워봐야 잘 외워지지도 않고 실제로 해 보다 보면 굳이 외우려 하지 않아도 저절로 알게 될 것입니다.)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차 역시도 기준에 따라 나누는 방법이 많지만 여기서는 발효 정도에 따라 ‘무발효'(혹은 ‘불발효’), ‘반발효'(혹은 ‘부분발효’), ‘완전 발효’, ‘후발효’ 정도로만 나누겠습니다.(이렇게 거칠게 정리하면 차를 하시는 분들은 좀 싫어라 하실 수도 있겠지만 입문자를 위해 쉽게 설명하려는 것이니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 만드는 방식과 발효 정도에 따라 녹차, 백차, 황차, 청차, 홍차, 흑차로 더 세분화하기도 합니다.)
먼저 차에서 ‘발효’라는 것을 좀 설명하자면, 흔히 막 베어낸 풀 같은 것을 쌓아두면 자체 열기와 미생물 작용 등으로 열이 나면서 뜨게 됩니다.(익게 된다는 뜻입니다.) 이와 비슷한 과정이 차를 만들면서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차에서의 ‘발효’입니다.
흔히 ‘하동 녹차’, ‘보성 녹차’ 등으로 유명한 녹차는 여러 처리 과정 뒤에 바로 바짝 말려서 발효 과정이 없는 무발효차가 되는 것입니다.
사실 ‘녹차’에서 주물러서 상처를 내는 것이 ‘산화’ 과정입니다. 그러니까 ‘녹차’는 산화만 일어나고 발효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녹차 본래 성분인 비타민C나 무기질 등이 많이 남아 있는 편입니다.)
무발효차인 녹차는 찻잎의 푸른 색이 좀 남아있지만 발효가 많이 된 차일수록 짙은 색을 띄는 경향이 있습니다.
발효정도가 30~70%인 부분 발효차로는 우롱(烏龍)차, 철관음(鐵觀音) 같은 것이 있습니다.
완전 발효차로는 대표적으로 ‘홍차’가 있는데, 홍차가 원래 아시아 쪽에서 차를 배에 싣고 유럽으로 가는 긴 일정에서 발효가 일어나서 생기게 되었다고 합니다.(홍차 가운데서도 입이 큰 종은 다른 차보다는 카페인이 조금 더 많은 편이라고 합니다.)
후발효차는 미생물에 의해 계속해서 발효가 일어나도록 두는 것인데, 오래된 것일수록 더 값어치가 높아지는 보이차(普洱茶), 흑차(黑茶) 같은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아마도 중국이나 대만 같은 데서 보거나 사 오는 아주 비싼 차들이 주로 이런 종류들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거칠게 말하자면, 무발효차 쪽에서는 비교적 덜 뜨거운 물로 우려내고 완전 발효차 쪽에서는 뜨거운 물로 우려내는 경향이 있는데, 전문가가 아닌 예사 사람은 제품에 있는 설명서를 따르거나 차 종류에 따라 찾아보고 그때 그때 적용하면 되겠습니다.
어차피 같은 갈래 안에서도 차마다 권장하는 우리는 방법이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외울 필요가 없고 사면서 물어보거나 혹은 제품에 함께 든 설명서에 적혀있을 방법을 따르면 됩니다.
한 가지만 더 덧붙이자면, 우리나라 녹차 가운데 하동은 재래종이 많고 보성은 혼합종, 제주는 일본종이 많다고 합니다. 재래종은 나무의 키도 작고 자람새가 좋지 못하다 보니 수확량도 적고 기계화도 쉽지 않아 품이 많이 드는 편입니다.(한반도 재래종은 왜 다 이런겨? ^^;) 그렇다 보니 값은 좀 더 비싼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그만큼 맛도 진한 편입니다. 
커피에도 품종이나 원산지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차도 흥미가 깊어질수록 배울 것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차를 즐기는 정도가 깊어감에 따라 이런 것을 알아가는 재미 또한 무척 클 것이라 생각합니다.(물론 다른 취미들처럼 다구 모으는 취미도 맛을 들이면… 흠… 돈이 꽤 깨지는 수도…… ^^;;)

정리 : 발효 정도에 따른 차이 정도만 이해하시면 차를 즐기는 데에 별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IP : 112.162.xxx.132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연재해 주세요
    '25.2.25 6:59 PM (39.7.xxx.57)

    이런 글 좋아합니다

  • 2. 이런글 좋아요
    '25.2.25 7:05 PM (183.103.xxx.126)

    와 ㅡ 정말 감사합니다

    저장해두고 가끔 볼겁니디ㅡ.
    그러니 시리즈 마치셔도 지우지 마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3. ..
    '25.2.25 7:05 PM (49.170.xxx.206)

    재래종이 맛이 진하다고 하셨는데 어떤 점에서 그렇게 느끼셨을까요?
    저는 차엽 크기나 채취시기, 제다법에 따라 맛이 다르다 생각했지 한번도 재래종과 개량종이 진하기의 차이가 있다-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어서 다소 신기한 느낌이 들어 여쭤봅니다.

  • 4. 000
    '25.2.25 7:20 PM (106.101.xxx.113)

    커피에서 차로 취향바꾸기

  • 5. 깨몽™
    '25.2.25 7:32 PM (112.162.xxx.132)

    기운 돋우는 좋은 말씀들 고맙습니다.
    역시 '음식'에 관심들이 있으신 분들이라 그런지 반응이 상당히 긍정적이라 기분이 좋습니다. ^^::

    .. 님 맛의 진함에 대해서... 예리한 지적입니다.
    사실 맛이란 것이 상당히 주관적인 것이라 제 표현이 그다지 객관적인 표현은 아닌 것 같습니다.
    차 좀 한다는 제 지인들의 일반적인 평가이기도 하고 어쩌면 제가 맛본 보성녹차가 그저그런 품질이었을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다만 맛만 가지고 하동녹차(재래종)와 보성녹차(혼합종 혹은 일본종)을 골라보라고 하면 자신은 없지만 전체적으로 재래종 쪽이 풍미가 있다는 느낌이고 특히나 제가 맛본 것들이 비료도 쓰지 않은 유기농 녹차라는 느낌적인 느낌일 수도 있으니 제 표현에는 너무 마음 쓰지 마시기 바랍니다. ^^;

    000 님, 필요하다면 취향을 바꾸는 것도 좋지만 둘 다의 매력에 빠져 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제 경우에는 차도 손에 잡히는 대로 마시는 편인데, 커피는 거의 에스프레소만 마시는 쪽입니다. ^^

  • 6. ..
    '25.2.25 8:29 PM (39.115.xxx.132)

    우리 아들이 커피 대신 차 마시구 있어요
    인사동 가서 다도 도구들 사고
    홍차 백차 우롱차 보이차 노차 말차 등등
    사와서 아침마다 마시고 있어요
    엄청 비싸더라구요
    라면스프 봉투 두개 크기 하나가 이만원씩
    히더라구요
    그래도 아침마다 아이스아메리카노
    마시고 잠깨우는거 걱정스러웠는데
    다행이다 싶어요

  • 7. 승형제mom
    '25.2.25 8:43 PM (118.223.xxx.51)

    차공부 길라잡이 좋아요~

  • 8. 어머
    '25.2.25 8:55 PM (110.13.xxx.24)

    깔끔한 차처럼
    글을 정갈하게 쓰십니다.
    한 번 읽고도 쭉 개념이 들어오니,
    일타 강사가 되셨어야 할 분이시네요...

  • 9. 깨몽™
    '25.2.25 9:29 PM (112.162.xxx.132)

    .. 님 (혹시 위에랑 같은 분이신가요? ^^)
    아드님이 저보다 훨씬 다양한 차를 즐기시네요. 저는 그냥 제 손에 들어오는 차를 가리지 않고 즐기는 편입니다만... ^^
    차가 일단 수요도 적고 접근성도 좀 낮고 대형화가 덜 되다 보니 조금 비싼 편이기도 하고 특히 좋은 차들은 정말정말 비싼 게 많지요... ^^

    승형제mom 님, 고맙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어머 님, 세상에나... 요즘처럼 툭 내뱉는 말이 많은 세상에 이렇게나 이쁘고 고마운 말씀을 해 주시니 고마울 따름입니다.
    제 차벗들이 보면 차도 잘 모르면서 차에 대한 글을 썼다고 웃을 일인데 그렇게 말씀을 해 주시니 몸 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

  • 10. . .
    '25.2.25 10:43 PM (92.40.xxx.154)

    첫 글도 흥미롭게 읽었어요.
    잘 읽힙니다.
    차에 대해서 잘 모르고 즐기지 않지만 계속 읽을 것 같아요.

  • 11. 오오
    '25.2.26 12:46 AM (211.206.xxx.191)

    차에 대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위가 안 좋아 커피를 못 마시는 사람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90069 자폐 성향 19 ….. 2025/02/25 3,188
1690068 얼마전 올리브영 추천템 구매해봤어요. 7 옥이언니 2025/02/25 2,257
1690067 언제쯤 날이 좀 풀릴까요? 8 추워요 2025/02/25 1,459
1690066 문재인 대통령 책 추천글에 작가님이 답글 남김 6 .. 2025/02/25 1,478
1690065 구본승 원래 부자인가요? 10 00 2025/02/25 6,026
1690064 무릎밑길이 롱코트 유행 탈까요?? 7 코트 2025/02/25 1,391
1690063 엄마에 대한 분노 8 2025/02/25 2,621
1690062 헬스 무게치니 여성스러운 맛?이 없어지네요 1 훔.. 2025/02/25 1,490
1690061 봄동전 눈물나게 맛있네요 8 모모 2025/02/25 3,406
1690060 눈매교정 문의 1 akdk 2025/02/25 721
1690059 [속보] 윤측 " 국회.헌재 비상대권 위헌 판단 권한없.. 21 ........ 2025/02/25 4,924
1690058 명태 녹취록으로 윤석열과 딜한 언론사 어딜까요 5 2025/02/25 2,413
1690057 우리나라에 안힘든 사람 없다는데 14 힘든사람 2025/02/25 3,564
1690056 탄핵선고 이번에도 3월 10일에 하면 좋겠어요 9 2025/02/25 1,969
1690055 이광범변호사 변론 감동이네요 11 물러나 2025/02/25 3,332
1690054 영화장고(2012)에 나온 합창곡이 궁금해요 5 ... 2025/02/25 327
1690053 툭하면 진중권 2 정말 궁금해.. 2025/02/25 894
1690052 유튜브로 집에서 물건 많이 파네요 5 상가없이 2025/02/25 2,649
1690051 수의 만들어 주는 곳 알고 싶어요 6 하게 2025/02/25 917
1690050 스토킹 당하는데 너무 억울하고 화가나요 5 00 2025/02/25 1,897
1690049 하여튼 상현이한테 내가 한번더 얘기할게. 걔가 공관위원장이니까... 4 MBC 2025/02/25 1,933
1690048 수압상승 녹물제거 샤워기 핫딜떳네요~ 3 ㅇㅇㅋㅋ 2025/02/25 709
1690047 강매강(디즈니) 넘 재밌어요 4 111 2025/02/25 1,139
1690046 뇌졸중 뇌경색 진짜 무섭고 슬퍼요 ㅠㅠ 3 d 2025/02/25 6,363
1690045 이승환정청래 환갑 4 ... 2025/02/25 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