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억 원 혈세 지원하고도 수익금 없어
주변 부지 분양 실패… 위약금 물어줄 판
수천억 원의 혈세가 들어간 강원 춘천시 레고랜드 테마파크의 효과가 기대 이하라는 주장이 나왔다. 더구나 강원도는 테마파크가 개장 3년이 넘도록 단 1원의 수익도 거둬들이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10년 넘게 강원도가 띄운 장밋빛 청사진은 사라지고 파산 위기에 몰린 시행사의 '빚잔치'가 시작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4일 윤민섭 춘천시의원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레고랜드 입장객 수는 49만 4,618명으로 집계됐다. 윤 의원은 "입장객이 2023년 보다 13만 8,253명이 줄었고, 감소율은 21.8%로 춘천시내 주요 관광지 중 가장 컸다"고 분석했다. 이는 연간 200만 명 이상 방문해 6,000억 원이 넘는 경제효과를 발생시킬 것이란 강원도의 기대치를 크게 밑돈 것이다.
강원도와 시행사인 중도개발공사(GJC)는 도유지인 중도 테마파크 부지(28만790㎡)를 50년 동안 공짜로 빌려주고 기반시설 조성 등 7,300여억 원을 레고랜드에 지원했다. 재정여건이 넉넉지 않음에도 투자를 결심한 강원도는 중도에 세계적인 관광시설이 들어서면 관광객 증가, 글로벌 이미지 제고 등 유무형 효과를 강조했다. 그럼에도 춘천에 관광객이 몰려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낙수효과'를 보고 있다는 얘기는 여전히 들리지 않는다. 불평등 계약과 무리한 투자에 따른 책임론이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