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심란하네요. ㅠ

시민 조회수 : 3,040
작성일 : 2024-04-16 10:34:15

[심층] 어느 의대 교수의 헛웃음 "정부가 의대 교수 늘린다고요?···그냥 웃지요" (daum.net)

 

심화하는 전공의·전문의 기피 현상
지금까지는 의사들 대부분은 아, 이거 (전공의 과정을) 해야 한다고 했고 당연히 그랬는데 그걸 마치고 나와서 다시 전문의를 땄는데 소위 말하는 필수 과목을 내가 전공을 했는데 개업을 할 방법이 없는 거죠.

(개업 해도) 수지가 안 맞으니까 다시 피부 미용이나 비만, 이런 걸 배우는 거죠.

그렇게 개업하는 사람이 필수 의료 전문의 딴 사람 중에 80~90%가 돼요.

일부는 자기 분야를 개업했지만 결국 돈이 안 되고 그러니까 전문의를 따고 나서 다시 그걸(피부미용, 비만 등) 하니까 젊은 애들이 생각해 보니까 왜 전문의를 하지? 바보 같이? 이렇게 되는 거죠.

정부는 우리나라 의료가 지금까지 값싸게 버텨온 이유 중의 하나가 인턴 레지던트라는 그 과정이 있어서 가능했는데···

옛날에 의사 수가 적을 때는 전문의 과정을 마쳐서 개업을 하면 무슨 과목이든지 돈이 됐어요.

우리나라 의료원은 95%가 자기가 돈을 투자해 의료기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영국이나 독일이나 프랑스는 사회주의 국가니까 대부분 의료기관을 정부에서 만들어주는 거죠.

의사들은 월급 의사로 취직을 하는 거고.

우리나라는 의사가 경영해야 하니까 옛날에는 전문의 자격증을 따고 필수 의료를 전공하고 나면 병원에 취직하더라도 급여가 높다, 개업을 해도 돈이 된다 그러니까 누구나 전문의를 따야 한다고 생각을 하겠죠.

그런데 지금 필수 의료 쪽을 하는 사람들은 개업을 하기가 어려워지는 상황이죠.

수지가 안 맞으니까.

소아산부인과는 환자가 줄어서 그런 문제가 있고 수가도 높지 않고 수지가 안 맞는 거죠.

병원을 개설을 해서 예를 들면 (수십억 원 들여) 신경외과 흉부외과 수술할 정도의 세팅을 해놓으면 수술할 수도 없고 (의사) 여러 명이 하려 하면 투자도 돈도 많이 들고 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어려운 거죠.

 

 

의대 교수 자체가 지금 안 그래도 부족하고 수급 자체가 안 되는데, 교수를 하나 만들려고 하면 전문의 과정 마치고 나면 전임의라고 펠로 과정을 보통 2년 이상 합니다.

(의대 예과 2년, 본과 4년,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 전임의 1~2년, 임상교수 1~2년. 남자는 군복무 하면 3년 추가. 보통 전임의 때 석사 과정을 하고 임상 교수 때 박사 학위를 하는 사례가 늘고 있음)

그러고 나서 교수 임용을 하는데 교수 임용되기 위해서는 자기가 논문을 미리 준비해야 해요.

교수 임용될 때 논문 점수가 있는데 그게 쉽지가 않아요.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이 실려야 하고 뭐 이런 게 있는데 그걸 준비하려고 하면 교수 되기 위해서 노력을 많이 해야 하거든요?

그다음에 교수 되고 나면 어떠냐는 거죠.

왜 젊은 사람들이 요즘 교수를 안 하려고 하느냐, 첫째는 교수 하고 나니까 급여가 높지가 않죠.

의대 교수는 진료 수당이 조금 붙는데 교수 월급이 인상이 안 됐거든? 등록금이 안 올라가고 등록금 동결 뭐 이렇게 계속되니까 대학들이 교수 월급을 못 올려주는 거죠.

진료 수당으로 올릴 수 있는 건 한계가 있잖아요.

진료 수입이 엄청 늘어나야지 그게 되지만은 그렇지 않거든요?

거기다가 선택 진료비 특진비가 없어져서 의대 교수들 수당도 떨어진 대학이 많죠.

그렇게 되면서 의대 교수들이 밖에서 취직하든지 개업한 의사들보다는 수입이 많이 떨어지죠.

그런데 요구 조건은 까다롭잖아요.

힘들죠.

교수 돼서 승진하려고 하면 또 논문 점수가 있어야 해요.

그 논문을 준비하기가 쉽지가 않거든요? 공부를 열심히 해요, 그 교수들이 새벽부터 같이 나오고 밤늦게까지 연구실에 있고 막 이렇게 젊은 교수들이 노력해요.

그런데 수입이 많지 않으니까 집에서는 얼마나 컴플레인 하겠어요, 워라벨도 나쁘고? 그러다 보니까 젊은 교수들이 논문이나 이런 게 힘들어지면 일부러 임용 탈락도 해버려요.

중간에 나가겠다는 거죠.

그렇게 의대 교수 되기가 어렵고 유지하기 어려운데 정부에서 천 명을 늘린다 하니까 웃는 거죠.

지금 말이 안 되는 소리가 서로 모순되는 게 많잖아요.

가장 큰 모순이 뭐냐 하면 앞으로 대학병원들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가겠다 그랬잖아요?

그럼 전공의는 어디서 교육하고요?

정부 말대로 하면 전공의는 한 해 5천 명을 배출시키는데 그 교육은 어디가 시킵니까?

대학병원에서 인턴 레지던트를 뽑으면 그거는 나라에서 돈을 대주는 게 아니잖아요.

그럼 의료기관들은 무슨 돈을 벌어서 인건비를 그만큼 감당할 수 있냐 이거죠.

전문의를 그만큼 뽑고 전문의 중심 병원을 가고 인턴 레지던트도 더 많이 뽑아야 하고 그러면 그 많은 인건비가···

지금 전공의만 빠져나가도 대학병원들이 전부 도산한다고 난리인데 지금···

 

=====================================

 

누가 개혁하든 어려운게 의료개혁인데 제대로 된 연구 없이 그냥 질러서 더 엉망으로 만들었네요.  

 

요지는.   예전엔 필수과 해도 어려움 없이 먹고 살았는데

지금은 어려우니 안하려한다.  

그런데 지금 윤정부 의료개혁은 필수과를 더 어렵게 해서 필수과 전공의들이 더 들고 일어난거다.  

제가 이해하는거는 이정도입니다.

IP : 121.166.xxx.1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탄핵!!
    '24.4.16 10:39 AM (211.221.xxx.43)

    무식한 게 대통령돼서 요상한 미신에 기대 대한민국을 망조에 들게 했어요. 탄핵의 날이 속히 오기를 바랍니다

  • 2. ...
    '24.4.16 10:40 AM (223.38.xxx.168)

    예전엔 필수과 해도 어려움 없이 먹고 살았는데
    지금은 어려우니 안하려한다.
    그런데 지금 윤정부 의료개혁은 필수과를 더 어렵게 해서 필수과 전공의들이 더 들고 일어난거다. 2222222

  • 3. ...
    '24.4.16 10:50 AM (118.235.xxx.12)

    지금까지 필수과는 사명감과 소신있는 의사들이 지원해서 다른과 의사들도 존중해 주는 분위기였는데
    윤석렬이 낙수과 모자른 사람들이 가는 과로 전락시켜버렸어요. 그나마 있던 산소호흡기를 떼버린거죠.

  • 4. ..
    '24.4.16 11:09 AM (118.235.xxx.184) - 삭제된댓글

    예전엔 필수과 해도 어려움 없이 먹고 살았는데
    지금은 어려우니 안하려한다.
    그런데 지금 윤정부 의료개혁은 필수과를 더 어렵게 해서 필수과 전공의들이 더 들고 일어난거다
    33

    필수과를 왜 합니까?
    한의사 치과의사 간호사도 다들 미용하겠다는데
    필수과하면 바보 아닙니까?

    앞으로 필수과는
    보건소에서 국가공무원이 해야되겠죠

  • 5. 지금 k의료
    '24.4.16 11:20 AM (211.218.xxx.194)

    알고보면, 경증도 엄청 많이 진료받으면서, 나름 되게 싸게 국가 의료비 지출하고있는건데
    딱 개인병원 의사들 잘버는거만 보고...손대기 시작하니
    이해도 못하던, 그 밑바닥이 흔들려버림.

    나라 의료비 조절하면서 의사 수 늘리려면

    영국,독일 처럼...
    내버려둬도 안죽는 감기는 병원 문턱도 못밟게 하고, 폐렴으로 가면 들어오게.
    치료비 엄청드는 암이나 필수과, 응급의학은 헬기로 나르더라도 제대로 치료받게 해주고,
    살아날 희망없는 목숨은 나라에서 결정딱 내려줘버리고(그게 아기든, 노인이든)
    애는 낳고나면 바로 강보에 싸서 퇴원.
    이런 식이어야 하겠죠.

  • 6. 영독불사회주의
    '24.4.16 3:38 PM (211.36.xxx.81)

    사회적 자본주의 체제 맞아요. 근데 우리는 조금 만 뭘 바꾸려해도 "그럼 사회주의 하자는 거냐?"고 무식한 말을 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요. 사실 이미 우리도 같은 체제를 운영하면서도 그런 선동적인 말로 다른 나라들은 다 하는 제도를 거부하는 기득권자들과 부화뇌동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6442 운동하고나면 울적해지는 6 뭐지? 2024/04/22 1,991
1576441 PT 10회 받은 후기 8 gym 2024/04/22 6,659
1576440 임상진료조교수와 진료교수 차이가 뭔가요? 5 임상진료조교.. 2024/04/22 3,976
1576439 방금먹은 홈플 치킨 토하고 싶은데....ㅠㅠ 8 ㅇㅇ 2024/04/22 5,806
1576438 지구 사랑 실천 소등행사 8시부터 3 환경 2024/04/22 789
1576437 눈물여왕에서 시골에서 어머니와사는 역할 배우 22 .. 2024/04/22 8,146
1576436 미역줄기볶음이 짜기만 해요 ㅜㅜ 10 .. 2024/04/22 1,805
1576435 미스터선샤인을 6년만에 다시 봤는데. 12 ... 2024/04/22 4,496
1576434 예산 없어 '한국영화의 밤' 행사 못 하는 영화 강국? 4 ㄱㄴㄷ 2024/04/22 1,838
1576433 지금 초등생 청년되면 30프로를 강제로 뜯기네요 11 ..... 2024/04/22 2,171
1576432 원룸이 근생이면 계약하면 안되는건가요? 11 ㄴㄱㄷ 2024/04/22 2,119
1576431 7시 정준희의 해시티비 ㅡ 미디어기상대 : 그나마 좀 바뀌나 했.. 1 같이봅시다 .. 2024/04/22 506
1576430 고잉 그레이 성공하신분 계신가요? 7 흰머리 2024/04/22 2,553
1576429 최저시급 9860원인데... 8 최저 2024/04/22 3,491
1576428 손예진 오늘자 기사에 클로버 찾는 사진에 노란 가방 28 가방 2024/04/22 24,773
1576427 지구의날 소등행사 함께 해요! 5 지구의날 2024/04/22 915
1576426 윤정부 탄핵 촛불 시위는 안하나요? 12 탄핵 2024/04/22 2,358
1576425 혓바늘은 왜 날까요 2 123 2024/04/22 1,601
1576424 방송국에 핸드폰 예약문자 거는법 혹시 아시나요? ㅇㅇ 2024/04/22 406
1576423 설거지 알바 해 본 분 계세요? 12 ... 2024/04/22 5,248
1576422 40중반 미용실 스텝 첫월급 받았어요 8 ... 2024/04/22 6,669
1576421 티몬 닭고기 대박쌉니다 7 ㅇㅇ 2024/04/22 2,236
1576420 가톨릭신자들만)성모님에게도 기도를 하나요? 25 ㅇㅇ 2024/04/22 2,313
1576419 내일 하이브 주식 들어갈까요? 4 .. 2024/04/22 3,808
1576418 우리 고양이는 낮에 이르게 귀가하면 너무 좋아해요 1 .... 2024/04/22 2,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