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라인강습시 넘어지는거

문의 조회수 : 1,042
작성일 : 2023-06-12 02:48:02
초1여아 4:1 강습받았어요.
인라인 처음 타보는건데
아이가 심하게 넘어져도 혼자일어나야하고
그냥 무작정 브이자하고 따라오라고만..
심하게 여러번 넘어지고 엉덩방아 많이 찧어 앉기도 힘들어 해요.
얼굴도 넘어져서 눈가가 살짝 멍이 들었어요.
원래 처음에 이렇게 다들 배우나요?
타게 하는거 후회되요.

두시간 후 가보니 서서 몇발짝씩 앞으로 나가긴 하는데 여전히 넘어지네요..
IP : 14.5.xxx.100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3.6.12 5:04 AM (116.46.xxx.105)

    다 그러면서 배우는거죠

  • 2. ..
    '23.6.12 5:25 AM (175.114.xxx.123)

    그정도는 아니였는데..
    다리 힘이 유난히 없나봐요..
    울딸 7살에 배웠는데 말이죠
    스케이트도 탄적이 없나봐요

  • 3.
    '23.6.12 6:04 AM (223.39.xxx.116)

    ᆢ각자 운동신경ᆢ 따라서 다른것 같아요

    아이가 자꾸 넘어지고 통증있어서 어떡해요
    엄마마음엔 안타깝겠어요

    아이들은 금방 잘 배우기도 하던데ᆢ

    애들끼리 같이 다니면서 배우는 것보다
    정식 강습으로 배우면 아무래도 더 나을것 같으네요

    울애들은 친구들따라서 다니면서 타는것 금방 배웠어요
    좀 넘어지기도 했겠지만 상처가 크게없었는듯
    ᆢ직접 안봤으니 모르기도하구요

  • 4. 운동신경이
    '23.6.12 6:22 AM (121.133.xxx.137)

    유난히 없나봅니다

  • 5. 아이가
    '23.6.12 6:34 AM (116.34.xxx.24) - 삭제된댓글

    준비도 안됐는데 우겨먹기로 죽자살자 따라오라니 무식하군요! 제 친정동생 저랑 2:1 수영강습 강사가 그런식으로 제 동생 수영에 학을 떼어서 지금도 수영못하고 싫어해요

    12감각이라는 책보면 아이마다 또 각자의 발달상황에 맞게배우고 기다려주는게 얼마나 중요한데...
    공교육도 아이를 얼음틀에 넣어 얼려 세모 네모에 각잡아 욱여넣듯 주입하는데 예체능까지 그럴일 있나요

  • 6. 다들
    '23.6.12 7:32 AM (210.205.xxx.119)

    레벨이 같나요? 원글님 아이 혼자 초보라면 옆에서 지켜보고 넘어진 후에 잡아주고 일으켜 세워줘야하는데요. 그래서 초보때는 일대일 강습이 좋아요. 인라인은 속도도 유난히 빠르고 다치기도 쉬워서 인라인 전용 마루 같은게 시공되어있는 실내가 좋구요. 다치면서 배운다지만 그러다 영구치라도 부러지면 문제가 큽니다.

  • 7. .,
    '23.6.12 7:37 AM (211.117.xxx.234)

    7세때 그룹으로 배웠는데 애들 그렇게 많이 넘어지지않던데 다리힘이 또래대비 없나봐요. 아이도 힘들것같은데ㅜㅜ 수영시키시는건 어때요. 발차기 계속하니 다리힘생길것같던데. 저희애도 수영 어렸을때부터 시켰다가 3학년때 인라인 다시 배웠는데 금방 배우더라구요.

  • 8. ...
    '23.6.12 7:45 AM (223.38.xxx.211)

    윗님 의견처럼 수영 1년 정도 해서 다리힘 키우고 인라인 시켜보세요.

  • 9.
    '23.6.12 8:00 AM (59.27.xxx.107)

    윗분 말씀처럼~~ 저희 아이도 수영 먼저 2~3년 하다가 인라인 강습시켰는데 곧잘 타서 이 계절엔 바람 제대로 가르며 탔고, 그 다음엔 (수영은 계속 꾸준히) 인라인 덕분에 스키를 가볍게 배웠어요~ 인라인 강습은 처음엔 힘든데 금방 늘긴해요, 보호장비를 꼭 제대로 갖추고 타야지.. 금방 속도 올리니 기초 때 꼭 손목보호대에 헬멧 못벗게 하세요 . 성장판 다치면 큰일이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9096 옛날앨범을 꺼내 봤어요 00:11:18 38
1689095 영덕 근처 대게 비싼가요? 2 wakin 2025/02/22 205
1689094 화장실에서 힘줄때 혈뇨 4 ... 2025/02/22 422
1689093 무광 필름(?) 차량 밤에 조심하세요 1 마녀 2025/02/22 594
1689092 단톡방에서 저 은따 왕따인지 꼭 좀 봐주세요 ㅜㅜ 8 ㅇㅇㅇ 2025/02/22 646
1689091 아들이 치킨집을 운영하려고 해요 26 아아아 2025/02/22 1,377
1689090 차준환 4대륙 은메달 땄어요 2 2025/02/22 719
1689089 kbs에서 독립영화 생츄어리 하네요. 영화요정 2025/02/22 271
1689088 코로나 관련 한인유튜버요 4 코로나 2025/02/22 800
1689087 금니는 어디다 처분하면되나요? 6 ㅡㅡㅡㅡ 2025/02/22 869
1689086 호텔에서 혹시 한달 이상 살아보신 분 계세요? 4 ?? 2025/02/22 998
1689085 심형섭 결혼하나요 5 ㅇㄴㅁㄹ 2025/02/22 2,383
1689084 밀키트 볶음밥, 비빔밥 어디것 드시나요. 2 .. 2025/02/22 204
1689083 길고양이 발가락 사이 염증 5 ㅇㅇ 2025/02/22 250
1689082 젊은 세대는 일단 쓰고 보자인가봐요 6 ㅅㅅㅅ 2025/02/22 2,186
1689081 최근에 맛있게 드신거 있으면 적어주세요 10 ... 2025/02/22 1,432
1689080 평창동 성북동 단독주택 살기 불편할까요? 13 ... 2025/02/22 2,117
1689079 대학 들어가는 애 2 대학 2025/02/22 732
1689078 로얄층과 1층 가격차이 한 10퍼 나나요? 3 2025/02/22 707
1689077 소, 돼지, 닭 중 한 종만 살려야 한다면 17 어려워요 2025/02/22 1,104
1689076 핫딜 참외 사지 말라던 5 오전에 2025/02/22 1,993
1689075 요즘도 아이허브 할인코드 있나요? 3 허브 2025/02/22 381
1689074 중문없는 집 쓰리스핀은 비추죠? 4 에브 2025/02/22 921
1689073 둘 중에 뭐가 더 건강에 좋을까요? 10 ㅇㅇ 2025/02/22 1,161
1689072 서부지법 난동 여의도 증권맨 친동생도 구속 14 ㅇㅇ 2025/02/22 3,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