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시와 박사학위중 뭐가 더 힘들까요
고시가 더 힘든거 같기는 해요.
일단 불확실성을 견뎌야 하잖아요..
근데 사림마다 다를거 같긴하고요.
1. ..
'23.5.19 9:23 PM (125.177.xxx.181) - 삭제된댓글둘 다 어렵고
둘 다 요구하는 바가 달라서 사람마다 다른 것도 맞아요
하지만 현실은 멤버유지 박사도 있으니 ㅠㅠ2. .....
'23.5.19 9:23 PM (115.136.xxx.13) - 삭제된댓글단기-고시
장기-박사
고시는 그래도 있는거 외우고 학습하면 되는데
박사는 없는거 논문 써야 함
고시는 합격하면 일단 그 공부는 끝이지만(물론 실무로 전환)
박사는 학위취득이 입학시험이나 마찬가지. 인생 발목잡힙 시작
고시는 합격하면 돈이 확실하게 나오는데(월급)
박사는 취득 후 바로 급여 받기 어려움.3. ㅇㅇ
'23.5.19 9:26 PM (92.40.xxx.37)박사도 어디 박사냐에 다르고 전반적으론 고시가 어렵죠. MIT박사면 인정
4. 오늘은2
'23.5.19 9:26 PM (14.32.xxx.34)당연히 고시죠
고시는 객관적인 기준을 통과해야 하는데
박사는 진짜 나름이라서5. 고시죠
'23.5.19 9:26 PM (14.32.xxx.215)박사가 얼마나 많은데요
6. 그런
'23.5.19 9:26 PM (117.111.xxx.86)비교 무슨 의미가 있나요?
누구한테는 박사가 더 어렵고
누구한테는 고시가 더 어려울 수 있죠.
어느 이상의 성과를 이루려면 쉬운게 어디 있나요?
내가 더 어렵니 니가 더 쉽니 따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우리나라 사람들 쓰잘데 없는 비교 좀
그만 했으면 싶어요.7. ㅅㅅ
'23.5.19 9:29 PM (218.234.xxx.212) - 삭제된댓글박사 1년에 한국에서 13000명 나와요. 고시 따위 아무렇지도 않게 합격할 사람도 있지만, 고시는 관두고 9급 공무원 시험도 합격 못할 수준의 사람도 박사학위 받기도 합니다.
8. ㅇㅇ
'23.5.19 9:29 PM (118.34.xxx.184) - 삭제된댓글일반적으로는 고시인데
시험은 잘 보는데 학문 관련 글쓰기가
더 힘든 사람도 있어서 단순 비교가 어려움9. ㅅㅅ
'23.5.19 9:35 PM (218.234.xxx.212) - 삭제된댓글생각해보세요. 학위논문에 Yuji라고 써도 박사가 되기도 해요
10. ㅇㅇ
'23.5.19 9:44 PM (118.34.xxx.184)일반적으로는 고시인데
시험은 잘 보는데 학문 관련 글쓰기가
더 어려운 사람도 있어서 단순 비교가 힘듬11. ~~
'23.5.19 9:49 PM (49.1.xxx.81)쓰잘데 없는 비교 좀
그만 했으면 싶어요.222222222
극강의 복합적인 세상사 모든 걸
일차원적으로 줄세우기 좀 자제요ㅠㅠ
70,80 먹고도 학벌에 연연하실 건지..12. ᆢ
'23.5.19 9:50 PM (1.236.xxx.36) - 삭제된댓글기술직 박사학위있어도 기사 자격증 없는 사람도
몇있어요
박사가 왜 산업기사 따위를?하는 사람이 많나봐요
공기업있다가 일반회사 취업하려니 기사 자격이 없어서
60세에 자격증 공부하는 박사가 주변에 있어요
박사와 9급과 비교해도 9급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많아요
공적인 자격을 통과하는게 쉽지 않아요13. 쯧쯧
'23.5.19 9:54 PM (1.240.xxx.179) - 삭제된댓글죽어서도 학벌따질려나 ㅎㅎㅎ
쓰잘데기 없는 비교질로
남은 귀한 인생을 평생 시간 낭비하는듯14. 안해봐서 모르겠고
'23.5.19 9:55 PM (58.148.xxx.79)절더러 고시 합격 할래 박사학위 취득 할래 물어보면,
전 고시 합격을 택하겠어요 .15. ㅁㅇㅁㅁ
'23.5.19 10:00 PM (125.178.xxx.53)박사도 불확실이죠..못따는 사람도 은근있던데
16. ㅅㅅ
'23.5.19 10:05 PM (218.234.xxx.212) - 삭제된댓글박사라고 고매한 학자만 있는게 아니예요. Yuji라고 써도 학위 나와요.
고시는 수준이 균질하고 박사는 천차만별17. ...
'23.5.19 10:13 PM (223.62.xxx.109)당연히 고시죠
고시는 객관적인 기준을 통과해야 하는데
박사는 진짜 나름이라서
2222218. . . .
'23.5.19 10:14 PM (61.82.xxx.155)제가 박사학위하고 10년 후쯤 고시해서 전문직인 케이스입니다. 학위하는 동안 머리 짜내며 논문쓰다가 고시하면서 책에 있는 것만 외우니 너무 좋았습니다.
그런데 완전 이과쪽 박사하다 문과고시 하니
외우는게 좀 곤혹이기는 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전업박사 했는데 몇년 후부터
전업 아닌 분들도 막 박사받고 하는 분위기라
난 많이 고생했는데 (전 박사논문자격 따려고 공대임에도 영어시험에 독일어 시험까지 봤어요) 너무들 쉽게 박사 받아 가는게 좀 그랬는데
고시는 완전 시험이라 그런 어중이떠중이 붙을 일 없어 좋았어요 ㅎ 제가 속이 좀 좁은 가봐요;;19. ....
'23.5.19 10:25 PM (221.157.xxx.127)박사도 박사나름이라 지방대박사는 돈있고 노력하면 가능.
20. ㅅㅅ
'23.5.19 10:50 PM (218.234.xxx.212) - 삭제된댓글ㄴ 지방대는 무슨 죄냐? yuji라고 쓰고 박사받은 학교는 서울에 있을텐데?
21. 음
'23.5.19 10:50 PM (122.38.xxx.221)비교가 안되는데
일단 박사는 지식의 생산자이고
고시는 지식의 소비자
비교불가인데
국내 박사들은 고시 못붙을 사람도 있을거 같긴해요22. ㅅㅅ
'23.5.19 10:54 PM (218.234.xxx.212) - 삭제된댓글ㄴ저 위에 지방대는 무슨 죄? 카이스트도 지방대, 포스코도 지방대... yuji라고 쓰고 박사받은 학교는 서울 아닌가?
23. 뭐래니
'23.5.19 11:13 PM (223.38.xxx.52)박사와 고시를 비교하다니
진짜 보던중 어이없는 뻘글이네요24. 둘다해봄
'23.5.19 11:30 PM (125.191.xxx.252)남편이 고시합격하고 박사까지 딴사람이라 물어보니 둘다 비슷했다하네요. 둘다 2년 반만에 땄거든요. 박사는 영국에서 했구요. 지금 일하는게 더힘들대요..ㅡㅡ
25. ....
'23.5.19 11:30 PM (98.31.xxx.183)영역이 달라요
암기 이해력 좋은 사람 => 고시
아이디어 좋은 사람 => 박사
학습능력은 기본이고요26. ㅇ
'23.5.19 11:56 PM (49.169.xxx.39)고시는 시험보는사람의 객관적 수준 보장
박사는 학교수준에 따라 , 어느 줄 서느냐에 따라 천차만별. . 유지박사 보면 알수있음
박사가 다.같은 박사가아님. 표절도 우리나라나 중국은 흔하게.용납될거같고
적어도 고시는 그런면에선 관리가 잘되어있죠27. wii
'23.5.20 7:54 AM (14.56.xxx.71) - 삭제된댓글윤 vs 명신이네요.
한 명은 고시. 한 명은 박사.
이렇게 비교하면 고시가 어려워보여요.28. ..
'23.5.20 8:24 AM (180.70.xxx.73) - 삭제된댓글고시. 압도적으로 아예 비교 대상이 아님. 고시는 공부 잘 하기로 유명했던 사람들끼리 소수점 두자리 차이로 합불 나뉘는 극한의 경쟁임. 박사논문 쓰는 거 누구랑 경쟁해요? 한다해도 경쟁률이 높아요?
29. ..
'23.5.20 10:11 AM (58.142.xxx.62) - 삭제된댓글본인 고민이시라면, 이런 글 쓰는 사람은 고시해야합니다..둘 중 꼭 골라야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