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타스캔들 보다가 최대값 깜놀
최댓값이라고 써있어서
찾아 보니
맞춤법이 바뀌었대욤
1. 네?
'23.2.11 6:33 PM (221.146.xxx.90) - 삭제된댓글최댓값이요?
그럼 최솟값이 맞는 맞춤법인가요?
별 쓸데없는 걸 자꾸 바꾸고 난리래요
짜증 지대로네요2. 헉
'23.2.11 6:35 PM (223.38.xxx.182)윗님 찾아보니
최솟값이에욤ㅁㅁㅁㅁㅁㅁ3. 맞아요
'23.2.11 6:36 PM (112.154.xxx.63)최댓값 최솟값이라고 교과서에 써있어요
저도 요새 책보고 놀랐어요4. ....
'23.2.11 6:36 PM (39.7.xxx.120)아이 가르치다 보니까
요오드가 아이오딘으로
부탄이 뷰테인으로 바꼈더라구요.
세대차이 느꼈어요5. 예전에
'23.2.11 6:40 PM (221.146.xxx.90) - 삭제된댓글아이 국사책에 뗀석기 간석기라거 써있어서 무슨 말인가 한참 헤맸던 기억이....
저 학교땐 타제석기 마제석기였는데요.
이건 그래도 용어를 한글 순화한 거지만
맞춤법 정말 적응 안되는 거 많아요.
특히 몇가지 기억나는 거
바라
봬요
사글세
우레6. 영통
'23.2.11 7:03 PM (106.101.xxx.221)아밀라아제..는
아밀레이스..
아밀라아제라고 하니 딸이 그 단어가 노땅 구분하는 단어래요. 신세대 다 아밀레이스..로 발음한다고7. 오
'23.2.11 7:08 PM (93.160.xxx.130)우레가 뭐지 했는데 우뢰로 알고 있던 그거군요! @@
아밀레이스라니...털썩...
배우고 갑니다. 감사.8. ㅁㅇㅁㅁ
'23.2.11 7:10 PM (125.178.xxx.53)아 쓸데없다
9. 이ㅎㅎ
'23.2.11 7:18 PM (182.216.xxx.245)헐 십 년도 더 된 일을 우리의 가르쳐주다 보니 당연히 알고 있었던 일을 지금 알았다 사실이 더 충격이에요
10. ..
'23.2.11 7:29 PM (14.32.xxx.34)사이 시옷이 들어가서
등굣길, 장맛비
다 그렇게 쓰더라고요11. ....
'23.2.11 7:44 PM (117.111.xxx.237)바뀐지가 언젠데 이런 글을 ㅎㅎㅎ
12. 헉
'23.2.11 8:00 PM (118.235.xxx.138)저도 몰랐네요..바뀐게 언제인데요? ㅎ
13. 바뀌었어도
'23.2.11 8:16 PM (221.146.xxx.90) - 삭제된댓글아이 가르치면서 접한 경우나 회사에서 많이 쓰는 말 아니면 일상생활에서 다 알 수 없지 않나요?
우리말의 모든 단어를 다 아는 분들만 계시나봐요.
90년대초에 맞춤법 한번 대대적으로 바뀐 건 아는데 발음편의 중심으로 바뀌면서
한자생활권에선 어색한 것도 많고
생활에서 안 쓰는 말들도 의외로 많죠.
최댓값 최솟값이란 용어를 쓰는 상황이나 회사가 얼마나 있는지?
최대치 최대한은 많이 쓰는데요
그럼 최대치도 맞는 맞춤법이 최댓치인가요?
저는 50대라 맞춤법 개정됐을 때 이미 회사 다니고 있었어요. 학교때만큼 빨리 적응되지 않았죠.
그런데 젊은 사람들이 다른 맞춤법에는 예민하게 굴면서
정작 일본말 독고다이라고 외치는 거 보면
무슨 뜻인지나 알고 말하는 건지 궁금하더군요.14. 원글
'23.2.11 8:56 PM (223.38.xxx.182)눼에 윗님
최댓치래요....으어어어엉어15. ㅁㅇㅁㅁ
'23.2.11 9:56 PM (125.178.xxx.53)최대치는 최대치네요
세글자 다 한자에요
최대-치 最大値16. 쵯치열
'23.2.11 10:04 PM (113.81.xxx.210) - 삭제된댓글찾아보지 않는 한 일상에서 쓰지 않는 건 모를 수도 있지 뭘 이제야 알았느니 어쩌니..
17. 사이시옷
'23.2.11 10:05 PM (59.7.xxx.16) - 삭제된댓글사이시옷은 기본적으로 우리말이 (명사)들어가야 합니다. 뒤에 오는 자음이 된소리가 나거나 ㄴ소리가 덧날 때
1. 고유어+고유어
나무+ 가지 (까지) =나뭇가지 나루+배(빼)=나룻배 조개+살(쌀)=조갯살 나무+ 잎 (나문닙)=나뭇잎
2. 한자어+고유어
등교+길(낄) = 등굣길. 전세+집(찝)=전셋집 북어+국(꾹)=북엇국
3. 고유어+ 한자어
차+잔(짠)= 찻잔 터+세(쎄)=텃세 아래+방(빵) =아랫방
최대치는 최대(한자어)+치(한자어)라서, 또 치가 된소리가 안나서 그냥 최대치 입니다.
외래어는 사이시옷을 안넣고, 핑크+빛(핑큿삣)=핑크빛
한자어+한자어도 사이시옷을 넣는 6개의 예외가 있습니다. ㅠ18. 앗
'23.2.11 10:15 PM (223.38.xxx.182)원글인데
다행이네요. 최대치 ㅋㅋㅋㅋㅋ19. 쳇
'23.2.11 10:45 PM (74.75.xxx.126)언어야 변하게 마련이죠 받아들여야죠 뭐.
이 얘기 나오니까 기억 나는게요. 옛날옛날에 토마토라는 드라마가 있었어요. 김희선이 나왔던가 암튼 꽤 인기 있었어요. 명절에 친척집에 가족들이 모여서 사촌 새언니들이 전부치면서 자기 요새 도마도 봐? 진짜 재밌지? 뭐 그런 얘기하는데 조카들이 소파에 앉아서 비웃던 표정이 생각나요. 무슨 섬얘기 하는 줄, 그러면서요.20. ㅁㅇㅁㅁ
'23.2.11 11:22 PM (125.178.xxx.53)도마도 ㅋㅋㅋ
21. ...
'23.2.12 12:53 AM (123.215.xxx.214) - 삭제된댓글뗀석기 간석기로 배웠는데 전 나이많은데요 ㅎㅎ
아밀레이스,아이오딘 은 애 공부하는 거 보고 놀라긴했네요.22. ᆢ
'23.2.12 3:11 AM (125.176.xxx.225)맞춤법이 자꾸 바뀌니
신경쓰지 않으면 모르는게 당연하지
무안까지주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