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하버드도 하버드를 위해 마이너 전공을 선택
저 전공을 뭐하러 전공했을까 하는 전공자들 있잖아요.
그 전공 교수 외에는 길이 없을 것 같은 전공이요.
이런 전공은 우리나라 처럼
서울대 간판을 위해 전공을 포기한 경우인가요?
한국의 철학, 축산학과 보다
더 세부적이고 더 길이 안보이는 전공이라도
하버드 간판을 위해 선택하는 건가요?
1. ,,
'22.5.11 10:50 AM (39.7.xxx.17)철학은 생각보다 인기 많아요 원래 머리 좋음 애들 중에 그쪽을 일부러 가려는 학생들도 많습니다 본인 기준으로 세상으로 보지 마세요
2. ..
'22.5.11 10:51 AM (122.151.xxx.128)철학과 나왔는데 철학을 배우고 싶어서 들어갔어요.
간판 따러 가는 경우도 있겠지만 안 그런 경우도 많아요. 특히 외국 대학은요.3. ㅇㅇㅇ
'22.5.11 10:52 AM (120.142.xxx.17)아무래도 그렇겠죠? 그리고 로우스쿨 가던지..
울나라도 재벌 아이들이 설대 들어가는 고고학과 동양사학과? 이런데 가는 것보면..근데 80년대엔 그것도 편법으로 들어갔나 보더군요. 이상하다...싶었는데 누가 그들이 들어간 방법을 얘기해주더라구요. 딱 그시대라 가능.4. 세상엔
'22.5.11 10:52 AM (115.164.xxx.118)생각보다 훨씬 다양한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간판을 위해서라면 서울대 줄서듯
하버드 당연히 있겠죠.5. 다음
'22.5.11 10:53 AM (211.201.xxx.144)미국 명문대는 들어갈때 희망 전공을 원서에 쓰긴 하지만, 입학하고 나서 바꾸기가 쉬운 편이예요.
우리처럼 과의 개념이 별로 없고 과 사람들끼리 뭉치지도 않아서, 전공에 필요한 필수과목들을 이수하면 그게 전공이 되는거죠.
그래서 들어갈때 아주 마이너한,희귀한 전공을 선택해서 일단 입학만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아 물론 아주 좋은 과들..예를 들어 유명공대의 컴싸(카네기멜론, 유씨버클리 컴싸전공) 같은 곳은 입학할때부터 정해져있고
중간에 거의 전과못합니다.6. ..
'22.5.11 10:54 AM (211.36.xxx.224)외국에서 철학 인기 있는 것 알죠.
그래서 한국의 철학이라고 했죠.
요즘 축산학과도 생명공학을 접목해서 예전과 다르죠.7. 다음
'22.5.11 10:55 AM (211.201.xxx.144) - 삭제된댓글입학원서에 희귀한 전공으로 지원하고 학생의 성과나 액티비티가 거기에 부합하면 명문대를 그나마 쉽게 뚫을수 있어서 그래요. 예를 들면 MIT에 지원하는데 전세계마이너리티 민족을 연구하는 과에 지원한다든지..
8. ??/
'22.5.11 10:58 AM (112.221.xxx.67)울나라도 재벌 아이들이 설대 들어가는 고고학과 동양사학과? 이런데 가는 것보면..근데 80년대엔 그것도 편법으로 들어갔나 보더군요. 이상하다...싶었는데 누가 그들이 들어간 방법을 얘기해주더라구요. 딱 그시대라 가능.--------그방법이 뭔데요???궁금해요
9. 다음
'22.5.11 11:02 AM (211.201.xxx.144)입학원서에 희귀한 전공으로 지원하고 학생의 성과나 액티비티가 거기에 부합하면 명문대를 그나마 쉽게 뚫을수 있어서 그래요. 예를 들면 MIT에 지원하는데 전세계마이너리티 민족을 연구하는 논문이 있고 (한동훈 딸이 썼던것 같은 수준의 논문) 디아스포라 연구하는 전공으로 지원한다든지. 환경관련 뛰어난 스펙을 가지고 스탠포드에 입학해서 실제로는 경제학을 전공한다든지.
10. ......
'22.5.11 11:03 AM (211.36.xxx.224) - 삭제된댓글예를 들면 MIT에 지원하는데 전세계마이너리티 민족을 연구하는 과에 지원한다든지..
---
다음님 감사합니다.
이야기하신 이런 전공요.
저런 전공도 있군요.
한국에는 이런 전공이 없어서 철학을 예로 들었는데 ...
저런 전공을 공부한 이유가 궁금했어요.
진짜 공부를 위한 전공인지
하버드를 가기 위한 전공인지 궁금했습니다.11. 그러면
'22.5.11 11:07 AM (118.235.xxx.23)로스쿨 가던데요.
12. ....
'22.5.11 11:12 AM (211.36.xxx.224)예를 들면 MIT에 지원하는데 전세계마이너리티 민족을 연구하는 과에 지원한다든지..
---
다음님 감사합니다.
이야기하신 이런 전공처럼 조금 희소한 과요.
한국에는 이런 전공이 없어서 철학을 예로 들었는데 ...
저런 전공을 공부한 이유가 궁금했어요.
진짜 공부를 위한 전공인지
하버드를 가기 위한 전공인지 궁금했습니다.
댓글에 남겨주신 과보다는 조금 더 대중적인 과인데
희소한 전공으로 졸업을 해서 궁금했습니다.
한국에는 없는 과예요.13. ...
'22.5.11 11:22 AM (221.151.xxx.109)홍정욱이 그렇죠
그리고 로스쿨 갔고14. ㅇㅇ
'22.5.11 11:25 AM (106.102.xxx.116)미국에서 학부만 나와서는 그닥입니다
석사까지는 해야 좋은 잡 잡고 잘나가죠
괜찮은 대학원 전공 가기위해 명문대 마이너전공 할수도 있죠
학부만 마칠건데 마이너 전공하는건 비효율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