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매장 전에 화장하는 경우도 있나요?

슬픔 조회수 : 2,445
작성일 : 2022-04-20 20:59:11
곧 장례를 치르게 될 것 같아 마음의 준비 중입니다.
작은 가족 묘지 터가 있어 거기에 모실 예정인데
매장 전에 화장을 하자는 의견이 있어서요.
짐승에 의해 묘가 훼손되는 등의 경우에 대비해 요즘은 그렇게 많이 한다는데 그런가요?
바로 묘를 쓰지 못할 상황일 때
일단 화장했다가 묘에 모시는 경우는 봤지만
특별한 이유 없이도 화장해서 매장하는 게 흔한 일인지,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묘의 형태는 봉분이 있는 전통적인 모습입니다.
IP : 211.48.xxx.170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글쎄요
    '22.4.20 9:01 PM (211.206.xxx.149)

    어차피 매장해도 몇십년후 다시 화장해서 뿌리지않나요?
    큰 문제는 없어보여요.

  • 2. 정말
    '22.4.20 9:02 PM (1.222.xxx.103)

    몰라서 묻는데 요새도 매장을 많이 하나요?
    관리가 어려울거 같아서요

  • 3. ...
    '22.4.20 9:10 PM (106.101.xxx.245)

    저희 친척 중에 화장해서 관이 아니고 유골함만 매장하신 분이 계셨어요
    꽤 독실한 불교신자여서 매장을 해도 화장을 하셨을 수도 있는데, 그때는 어려서 이유는 잘 모르겠고요
    물론 개인 산을 갖고 계셔서 본인 땅에 묘를 쓴거고요
    나중에 친척들 가족묘 납골당을 마련하게 되어서 지금은 이장하시긴 했지만...

  • 4. 저도
    '22.4.20 9:11 PM (211.48.xxx.170)

    개인적으로는 매장 반대인데
    어른들께서 이미 묫자리를 만들어 놓으셔서
    당신들 뜻대로 해드리는 게 맞다 싶어요.
    주위에 여러분들 장례 치르는 거 보니
    요즘은 매장보다는 화장이 월등히 많습니다.

  • 5. ..
    '22.4.20 9:18 PM (118.235.xxx.175)

    저 약간 충격인데..
    요새는 대부분이 화장. 그리고 그 후에 매장 그러지 않나요?
    봉분은 자식들이 만들고 싶으니 하는거고..
    제가 30대인데 제 지인들이나 친구들이 친척들 상당했을 때 화장 + 나무로 만든 urn 같은에 넣어서 매장
    대부분이 이거였어요.

    봉분도 당연히 만들고요. 봉분 만들고 꾸미고 나중에 나머지 배우자도 옆에 묻히라고 몇천씩 주고 자리도 넓게 사고요.
    이게 이상한 일인지는 전혀 몰랐네요.
    오히려 저는 이게 당연한 일인줄 알았어요.
    자금이 좀 부족한 경우는 화장 후 납골당에 모시고요

  • 6. ..
    '22.4.20 9:29 PM (58.79.xxx.33) - 삭제된댓글

    윗님은 장례가 기존방식 고수이신거구요. 제주변엔 다 수목장. 잔디장으로 바뀌었어요. 선산있던 친구들도 다 정리하고 가족납골당이나 가족수목장으로 바뀌어서 화장후 유골 모시는 곳으로 이용중이에요

  • 7.
    '22.4.20 9:50 PM (74.75.xxx.126)

    그러지 않나요, 요새는?
    저희 집 작년 재작년에 장례 세 번 치뤘는데 다 그렇게 했어요.
    아버지는 생전에 화장은 싫다고 했지만 엄마가 강경하게 밀고 나가서 화장하고 매장했어요. 2,30년 전에 사놓은 공원묘지에 모셨고요.
    이모부는 선산에 부모님 곁으로 가고 싶다고 유지를 남기셔서 화장하고 다같이 고향에 가서 묻어드렸고요.
    저는 다들 그러는 줄 알았어요. 그래서 요새 화장 자리잡는 게 힘들다고 들었고요.

  • 8. 원글이
    '22.4.20 10:05 PM (211.48.xxx.170)

    화장 후에 매장하는지 저만 모르고 있었네요.
    저는 매장할 때 화장하는 건 본 적이 없어서요.
    최근 친척 어른 상에서도 매장할 때 관 내리고
    흙 한 삽씩 뿌리고 왔거든요.
    그래서 말한 사람이 뭔가 착각한 건 아닌지 의아했는데
    드물지 않은 일이군요.
    근데 왜 그렇게 하는 건지 이유는 좀 궁금하네요.

  • 9.
    '22.4.20 10:12 PM (121.167.xxx.120)

    산소 자리가 평지면 괜찮은데 산 중턱이면 관 들고 등산?하면 힘들고 관의 무게가 뒤로 쏠리면 뒷 부분 드는 사람은 힘들어요
    상주들의 의견대로 매장이나 화장을 결정 해요
    저희는 부모 두분 다 매장 했어요

  • 10. ....
    '22.4.20 10:27 PM (72.38.xxx.104)

    외국에서는 관을 열어 모든 사람에게 시신을 공개하니까
    장례식에 오신 손님에 대한 예의로 화장을 하는 문화가 있지만 한국은 시신 공개를 안하는데 굳이 화장 할 필요있을까요?

  • 11. 선산
    '22.4.20 11:35 PM (211.224.xxx.224)

    저희 친척들 대부분 화장하고 유골함 매장했어요
    선산에 모실때도 봉분만들고 다했어요

  • 12. ㅡㅡㅡㅡ
    '22.4.20 11:59 PM (61.98.xxx.233) - 삭제된댓글

    얼만전 큰아버지 상 치렀어요.
    화장 후 한지에 싸 온 뼛가루만 선산에 묻었어요.

  • 13. 법적으로
    '22.4.21 1:03 AM (119.64.xxx.28)

    화장후 매장해야 한대요
    얼마전 상치른 지인이 그러더라구요
    자기도 몰랐었는데 이번에 알게되었다고..

  • 14. 법으로
    '22.4.21 7:23 AM (175.223.xxx.33)

    정해진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제 주변에서는 100% 화장후 매장합니다.

    저희는 문중 소유 선산이 아주 많은데도 무조건 화장을 해야지만 선산에 모실 수 있습니다. 그런지 오래 됐어요.
    아버지 성묘하러 가보면 부부 유골함이 들어갈수 있도록 미리 자리를 다 마련해 두어 나중에 엄마 돌아가시면 화장해서 같이 모실 예정입니다.

    이렇게 화장후 봉분없이 묘를 만드니 공간도 덜 차지하고 여기저기 꽃나무를 심어 경치도 아름답고 많은 친척들이 한곳에 모여계시니 사후세계가 있다면 심심하지 않을것 같아 좋더라구요.

  • 15. 연세가...
    '22.4.21 8:06 AM (211.174.xxx.122)

    글쓴분 연세가..... 요즘 거의 화장합니다 집안에서 결정하기도 하고 본인이 의사를 어찌했냐로 정하기도 합니다

  • 16. 원글이
    '22.4.21 11:00 AM (39.7.xxx.46)

    법적인 건 모르겠지만 화장 후에 매장이 대세로군요.
    좋은 답변들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32861 엘라스틴도 참 어지간한게 7년간 모델 세명 갈아치우고 6 ... 2022/04/21 2,919
1332860 언론인들을 위하여 기도합니다 3 바랍니다 2022/04/21 320
1332859 임대차3법 바로 바뀌진 않겠죠? 6 2022/04/21 1,095
1332858 2번찍들 욕은 못하겠어요 28 아... 2022/04/21 2,070
1332857 이 사람도 꼰대인가요? 1 dd 2022/04/21 584
1332856 TVN(유퀴즈)의 강호성 CJ ENM 대표이사 - 검사 출신 8 싸이.프로듀.. 2022/04/21 2,003
1332855 혹시 백신 맞고 많이 아픈 사람이 오미크론 걸려도 더 아픈가요?.. 5 .... 2022/04/21 1,234
1332854 가난한집 한명 전문직 몰빵 30 ... 2022/04/21 6,425
1332853 정호영...심야법카 많이도 긁어 썼네요. 24 정로남불 2022/04/21 2,561
1332852 원희룡 母 제주 땅, 롯데에 '고가 통매각'… 재산 공개 땐 '.. 11 국토부장관클.. 2022/04/21 1,685
1332851 양성이면서 검사 안 받는 사람 5 짜증나 2022/04/21 2,058
1332850 집 나간 딸을 돌아오게하는 지혜를 구합니다 49 지혜를 찾는.. 2022/04/21 13,308
1332849 이영 장관 후보자, '日 역사왜곡 교과서' 업체와 기술 거래 논.. 8 에휴 2022/04/21 931
1332848 인천 한국근대문학관 근처 2 궁금이 2022/04/21 445
1332847 치과 개인병원과 대학 종합병원 차이 2 치과 2022/04/21 1,980
1332846 마켓컬리 보냉백은 왜 내놓는거에요? 11 ㅇㅇ 2022/04/21 3,435
1332845 우리들의 블루스 보시는 분...? 4 궁금 2022/04/21 2,908
1332844 옥자랑 환경공무원 영철? 이요. 그리고 it팀장 3 내가 쏠로 2022/04/21 1,848
1332843 저 수학문제 풀이 좀 도와주세요... 5 수학 ㅠㅠ 2022/04/21 995
1332842 백화점브랜드중에 편하고 예쁜 밴딩슬랙스브랜드 있을까요? 6 직장맘 2022/04/21 1,631
1332841 정호영은 그정도되면 사퇴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21 ... 2022/04/21 1,533
1332840 혹시 당근 구매대행 해주는 분 있나요? 4 흑흑 2022/04/21 1,149
1332839 부모님이 주식을 사시겠다는데...... 21 주식 2022/04/21 3,529
1332838 금리인상 부동산 정말 상관 있을까요, 16 삐용 2022/04/21 2,994
1332837 청렴한 척은 혼자 다하더니.. 11 ... 2022/04/21 4,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