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제 은퇴인구도 급격히 많아질텐데 집값영향 없을까요

궁금하다 조회수 : 3,937
작성일 : 2021-07-29 18:47:02
은퇴하면 현금흐름이 제일 중요하거든요
특히 부동산은 조심히 생각할 부분인데 이부분 짚어주는 전문가가 잘 없네요
IP : 211.205.xxx.62
3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1.7.29 6:48 PM (61.99.xxx.154)

    민주당이 집권하는 한 하락은 없을겁니다

  • 2. ...
    '21.7.29 6:49 PM (203.142.xxx.31)

    예측하기 어려우니까요
    3년 전에도 사는 집 말고 다 팔라고 했는데 결국 이 꼴이 났잖아요
    10년 20년 후의 일을 어떻게 예측하겠어요
    외국에서 이민오는 외국인들이 수도 없이 많아질 수도 있고
    또 극적으로 출산율이 증가할 수도 있죠

  • 3. ...
    '21.7.29 6:50 PM (122.38.xxx.110)

    지난 번에도 몇 번 썼는데 은퇴시점이 되면 지방으로 내려갔던 노년층이 줄고 강남쪽은 오히려 전입이 늘었대요.
    인구가 줄고 노령화될수록 사람은 좋은데 몰리는거예요.
    비싼 아파트는 더 비싸질거란 얘깁니다.
    서울은 안떨어져요.

  • 4. ....
    '21.7.29 6:50 PM (39.7.xxx.45) - 삭제된댓글

    민주당이 집권하는 한 하락은 없을겁니다22222

    이대로라면 은퇴했다고 집 팔아봤자 세금이 한 가득이니 줄여가기도 힘들잖아요.
    지금 외곽에서 살던 노부부도 법이 바뀌는 바람에 젊은 세입자 내보내고 도심으로 이사오고 있는데요

  • 5. 000
    '21.7.29 6:51 PM (124.50.xxx.211) - 삭제된댓글

    하락해요. 인구가 줄고 있고, 집을 두 채 이상 가진 사람들이 이제 은퇴할 나이고,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 아파트가 계속 지어지고 있어요. 집에서 일하는 재택이 늘어나서 서울에서 꼭 살아야 할 필요가 없어지고요.

    다들 계속 오른다 하는데, 집값이 오를 이유가 어떤게 있나요?

  • 6. ....
    '21.7.29 6:53 PM (61.99.xxx.154)

    하락할 조짐이면 중국인들 투기하게 두겠죠

  • 7. ...
    '21.7.29 6:53 PM (203.142.xxx.31)

    은퇴하고 세금 감당 못한다고 하면 집 팔고 시골 가라고 하는 말이 진짜 무책임한거예요
    저희 부모님만 해도 70대이시고 대학병원 대형마트 근처 서울 역세권에 사시니까 두 분이 생활 가능하시지
    아니면 자식들이 병원 모시고 다니고 장봐드리고 대신 일처리 해드리느라 힘들 것 같아요
    좀 더 쾌적한 환경으로 이사하라고 권유드려도 낯선 환경 자체를 두려워하세요
    아마 나중에 아파서 요양원 가시기 전까지 계속 사시겠죠
    이게 뭐 저희 부모님만 그러시겠어요...

  • 8. ㅡㅡ
    '21.7.29 6:54 PM (211.52.xxx.227)

    저도 어느 순간부터는 꺽일거라고 봐요.
    인구 감소는 무서운거예요.

  • 9. 올해부터
    '21.7.29 6:55 PM (223.62.xxx.174)

    강남 서초쪽 1천만원 보유세 넘은 집 보유한 은퇴노인들, 자식들이 각출해서 보유세 낸다는 집 많아요. 각출도 한번두번이지 못 견딜것 같아요.

  • 10. 00
    '21.7.29 6:56 PM (124.50.xxx.211)

    윗님 글처럼 노인들 늙으면 요양원 들어가죠. 집이 아니라.
    그러니 집을 필요로 하는 인구가 계속 줄어요. 현재 공급은 계속 늘어나고 있고 수요는 계속 줄어드는데... 어떤 이유로 오를까요?

  • 11.
    '21.7.29 6:56 PM (211.205.xxx.62)

    이글 쓰기전 검색 한번 해봤는데
    외국도 은퇴자들이 도심지를 안떠나서 공급이 부족해져서 오른다네요
    우리도 마찬가지인것 같아요

  • 12. ....
    '21.7.29 6:58 PM (61.99.xxx.154)

    집이 있어도 괴롭고 없어도괴롭고
    뭐 이런 거지같은 상황이...

    민주당 찍지말아야지

  • 13. ㅁㅁ
    '21.7.29 6:58 PM (218.51.xxx.239)

    집있는 사람들 걱정은 안해도 됩니다`

  • 14.
    '21.7.29 7:01 PM (211.205.xxx.62)

    은퇴가 요양원이 될만큼 늙지않았잖아요
    수명이 늘어서 은퇴만했지 노인은 아니거든요
    직장은 없으나 현금은 필요하고
    50대는 영끌하는 3040과 너무 다른 입장이에요

  • 15. 00
    '21.7.29 7:03 PM (124.50.xxx.211) - 삭제된댓글

    아이고. 지금 노인들 요양원 들어가면 계속 그분들이 살던 집이 나오는데 무슨 은퇴세대들 얘기에요?

  • 16. 은퇴후
    '21.7.29 7:09 PM (14.5.xxx.38)

    시골에 가서 사는 것보다 병원 가까운곳에 생활편의시설 많은 곳에
    살게 되는 선호가 더 많을것 같아요.
    다만 평수는 좀 줄이게 될것 같구요.
    댓글님 말씀처럼 인구절벽이 심각하긴해요.
    장기적으로는 집값이 떨어지지 않을까 싶어요.
    그래야 인구수도 적은 젊은 세대들이 살수 있죠.
    베이비부머세대가 지나가고 나면, 공급이 부족하지 않을것 같아요.
    집이 자산으로서보다는 실거주 위주로 가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보유세가 천만원 넘는 집들까지 걱정할 필요는 없고요.

  • 17. 중국인들
    '21.7.29 7:12 PM (175.119.xxx.110)

    외국인들 부동산 못사게 막아야 되는데...

  • 18. ...
    '21.7.29 7:19 PM (223.38.xxx.235) - 삭제된댓글

    일본도 노인들이 집 팔고 고향으로 가거나 교외로 나갈 줄 알았는
    결과적으로 아니었어요.
    나이가 들어 기력이 없을수록 도심에 남더래요.
    운전을 안해도 되고 장보기 편하고 병원도 있고
    전시 등 문화생활도 다양하게 즐길 수 있어서요.
    시골이나 교외에 사는 노인들은 장보기가 힘들어서
    일주일에 한두번씩 트럭에 물건을 실고 가서
    판매하는 서비스도 있어요.
    저도 평수는 줄일지언정 시골이나 교외로 가진 않을 것 같아요.

  • 19. dma
    '21.7.29 7:22 PM (218.150.xxx.81) - 삭제된댓글

    이런글들 많지않나요 전 여기저기서 읽은거같은데요
    부동산은 2030년쯤 확 꺽일거라고요
    2000년생2001년생이 그쯤 30인데 얘네들도 지금 40~50대랑 비교하면 많이 적죠
    인구가 줄어드니 지금 4~50대가 주도하는 내수가 꺽일거고요
    내수가 안좋아지면 변두리 동네 가게들부터 접고 나갈테고 점점 중심지 번화가로 더 모일테고요
    그래서 거긴 계속 부동산가격 유지되고요
    해외로 뻗어나가는 산업은 크게 타격 없을수도 있는 내수관련산업들은 인구가 줄기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타격이 커지겠죠
    그 연쇄반응도 클테고요
    인구때문에 지금이 대한민국의 가장 잘나가는때일수도있단 걱정들 하잖아요
    하지만 미래는 그누구도 모르는거죠
    통일이 될수도있고 그게 희망일지 오히려 족쇄일지도 모르고요

  • 20. ..
    '21.7.29 7:23 PM (39.7.xxx.238)

    서울에 있는 집이라면 자식을 위해서(또는 반대해서) 안 팔걸요. 국민들 머릿속에 서울은 절대 안 떨어진다는 게 각성되어 있는데 세금 내고 나면 얼마 손에 쥔다고 외곽으로 나가겠어요. 차라리 자식들이 생활비 부담하고 나중에 증여 받는 게 낫죠.

  • 21. dma
    '21.7.29 7:24 PM (218.150.xxx.81) - 삭제된댓글

    이런글들 많지않나요 전 여기저기서 읽은거같은데요
    부동산은 2030년쯤 확 꺽일거라고요
    2000년생2001년생이 그쯤 30인데 얘네들도 지금 40~50대랑 비교하면 많이 적죠
    인구가 줄어드니 지금 4~50대가 주도하는 내수가 꺽일거고요
    내수가 안좋아지면 변두리 동네 가게들부터 접고 나갈테고 점점 중심지 번화가로 더 모일테고요
    그래서 거긴 계속 부동산가격 유지되고요
    해외로 뻗어나가는 산업은 크게 타격 없을수도 있는데
    내수관련산업들은 인구가 줄기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타격이 커지겠죠
    그 연쇄반응도 클테고요
    인구때문에 지금이 대한민국의 가장 잘나가는때일수도있단 걱정들 하잖아요
    하지만 미래는 그누구도 모르는거죠
    통일이 될수도있고 그게 희망일지 오히려 족쇄일지도 모르고요

  • 22. ...
    '21.7.29 7:28 PM (183.98.xxx.95)

    인구수 줄어들고 다들 예상해요
    근데 떨어지는곳과 많이 떨어지는곳 차이가 있다고

  • 23. 000
    '21.7.29 7:29 PM (124.50.xxx.211)

    지금 50대는 고등학교때 55-60명이 한 반에 있었고 한 학년당 10개 반 이상 있었죠.
    2000, 2001년 생은 고3 한 반에 28명이에요. 한 학년당 반 개수도 훨씬 적고요.
    인구가 반이상 확 줄은거에요.
    집을 도대체 누가 사주겠어요?

  • 24. ...
    '21.7.29 7:33 PM (61.99.xxx.154)

    중국인이 사주겠죠

    우린 다 세입자로 남고

  • 25. ...
    '21.7.29 7:33 PM (211.36.xxx.251) - 삭제된댓글

    지금도 인기없는 집은 안오르잖아요.
    젊은 사람들은 오직 아파트. 신축. 아파트 브랜드나 대단지 따지고. 나이든다고 서울 벗어나려 하지도 않구요. 그런 곳만 엄청 비싸게 거래되겠죠.

  • 26. 일본처럼
    '21.7.29 8:02 PM (14.32.xxx.215)

    갈거에요
    신도시는 폐허...베드타운 기능도 못해요
    돈있는 노인은 더 도심으로 옵니다
    기동성이 떨어지니 할수없어요
    물려받을 자식들이 세금 내던가 대출로 내고 죽던가 하겠죠

  • 27. ㅇㅈ
    '21.7.29 8:32 PM (58.234.xxx.21) - 삭제된댓글

    이미 많이들 얘기 하든데
    이제 노년이라고 외곽이나 지방으로 가지 읺는데요
    병원등 편의시설 인프라 누리기 쉬운 도심을 떠나지 않아서요
    그들이 그대로 머물다 보니
    강남 같이 비싸더라도 다 갖춰진 동네일수록 수요는 더 많아져서 떨어지기 힘들답니다
    압구정 현대 백화점 평일 낮에 가보고 깜짝 놀랐네요
    노인들이 어찌나 많던지

  • 28. ㅇㅈ
    '21.7.29 8:38 PM (58.234.xxx.21) - 삭제된댓글

    이미 많이들 얘기 하든데
    이제 노년이라고 외곽이나 지방으로 가지 읺는데요
    병원등 편의시설 인프라 누리기 쉬운 도심을 떠나지 않아서요
    그들이 그대로 머물다 보니
    강남 같이 비싸더라도 다 갖춰진 동네일수록 수요는 더 많아져서 떨어지기 힘들답니다
    압구정 현대 백화점 평일 낮에 가보고 깜짝 놀랐네요
    노인들이 어찌나 많던지
    보통 신도시나 경기도 백화점 가보면 대부분 젊은 사람들이던데...

  • 29. ㅇㅈ
    '21.7.29 8:43 PM (58.234.xxx.21)

    이미 많이들 얘기 하든데
    이제 노년이라고 외곽이나 지방으로 가지 읺는데요
    병원등 편의시설 인프라 누리기 쉬운 도심을 떠나지 않아서요
    비싸더라도 다 갖춰진 동네일수록 돈있는 노년도 돈있는 젊은세대도 살고 싶어하니 수요는 더 많아져서 떨어지기 힘들답니다
    압구정 현대 백화점 평일 낮에 가보고 깜짝 놀랐네요
    노인들이 어찌나 많던지
    보통 신도시나 경기도 백화점 가보면 대부분 젊은 사람들이던데...

  • 30. 4889
    '21.7.29 9:14 PM (116.33.xxx.68)

    제가 한때 시골로 가서 살고싶은로망이 있었거든요
    자연을 너무좋아해서요
    근데 50되니 생각이 달라져요
    교통편하고 걸어서 외식할곳많고 백화점있고 공원있고 대형병원있는곳 살고싶더라구요 수명도길어지고 자식들 손안벌리고 우리끼리 살라면 그게 좋을것같아요
    시골에서 외롭고 무서워 못살것같네요
    바닷가근처에 별장하나 두고 왔다갔다하고싶어요

  • 31. 중국인
    '21.7.29 9:24 PM (58.230.xxx.248)

    중국인구 17억명 1000분의 1만 한국에 부동산 구입해도 170만명. 태영호가 중국인 못사게 법안 제안하는데 180석 민주당이 못하게 하니..

  • 32. 제가
    '21.7.30 4:08 AM (180.68.xxx.158)

    1기 신도시에 살고
    도심지 오피스텔에 개인사무실을 가지고 있는데,
    놀란게 아예 싱글인 젊은이나
    아예 노인층이 공존한다는거예요.
    어차피 싱글이거나 기껏 커플.
    인프라 좋고,편의시설 병원 전부 걸어서 해결되고,
    먹는것도 매식으로 해결되구요.
    여튼 운전하기 힘든 노년층일수록
    도심에 사는게 맞고,
    굳이 넓은 아파트 청소하기만 힘들고,
    주거형 오피스텔이 대안이 될수 있겠다싶어요.

  • 33. ..
    '21.7.30 10:55 AM (122.37.xxx.108) - 삭제된댓글

    전 세대처럼 은퇴해서
    집줄여가면서
    노후자금 쓸수없게 해놨죠.
    이정부가...
    팔고 사고 하다보면
    집만 줄이는거라고.
    그래서 세금내면서 꾸역꾸역 돈못쓰고 살고들 있어요.
    점점 일본 닮아가는데
    일본도 도쿄 중심지는 집값이 괜찮다던데요.
    그래서 요즘 은퇴자들은 외곽으로들 잘 이동안하는거 같아요.
    운전도 힘들고 도시에서 나고 자란 세대라...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4254 윤석열 이진우 여인형 곽종근 홍장원 등 인상은 과학 1 ... 00:52:50 86
1684253 제2의 덱스라는 육준서 알아요? 7 00:39:16 523
1684252 당뇨 전단계는 위험한건가요? 1 ㅇㅇ 00:39:09 378
1684251 인원이란 말 써본적이 없다는 윤석열 참교육 영상 5 00:37:09 379
1684250 사주나 궁합 안믿었는데요 ㅇㅇ 00:34:42 295
1684249 한국에서 죽은 스웨덴인 노숙자 9 .... 00:30:15 1,132
1684248 사건반장 보니까 오요안나 자살사건 4 연진아 00:27:38 913
1684247 미국에서 아이가 일주일 입원했더니 생긴 일 2 ........ 00:18:27 880
1684246 오늘 헌재에서 홍장원차장이 12/6일부터 공작했다하는데요 3 썩열이가 00:18:08 972
1684245 보험설계사 친구 2 .. 00:14:38 566
1684244 전광훈 “북이 윤 제거했고 이제 날 노려” 12 미치겠다 00:10:52 979
1684243 군입대 말고 병역특례로 가는것이ᆢ 4 레몬 2025/02/06 497
1684242 세입자가 개3마리를 키우고 담배냄새가 난다고 하는대요 8 ㅜㅜ 2025/02/06 1,068
1684241 헌재 오늘 국회측 변호사 누군가요? 7 경제수석 때.. 2025/02/06 1,220
1684240 주위 탄핵반대집회참가 8 .... 2025/02/06 717
1684239 내일은 금요일! 넷플 추천하고 가용 8 넌끈나써 2025/02/06 1,533
1684238 불안증이 있는데요 2 .... 2025/02/06 808
1684237 컬리플라워 라이스 한달 먹으면 1 ........ 2025/02/06 767
1684236 헌재에서 아무리 개소리 헛소리 해봤자 7 ........ 2025/02/06 1,350
1684235 정작 윤지지자들은 4 제생각에 2025/02/06 789
1684234 펌. 윤석열은 진짜 돌아이네 1 역시석동현이.. 2025/02/06 1,758
1684233 나의 보험설계사 도전기ㅜㅜ 26 리쿠르팅 2025/02/06 2,077
1684232 맞춤 안경테 장기간 사용해 보신분. 브리즘 2025/02/06 196
1684231 아니 대체... 상가들은 이제 어떻게 되는건가요? 7 상권 2025/02/06 2,670
1684230 구준엽이 강원래 사고 이후 보여준 모습이.. 9 .... 2025/02/06 5,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