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임계장 이야기라는 책.

임계장 조회수 : 986
작성일 : 2020-07-02 09:31:30

임계장 이야기 읽어보셨나요?
임시 계약직 노인장 을 줄여 부른다는 임계장.
지은이는 공기업에서 오래 근무를 했고. 지방 어딘가에서 살다가 퇴직금을 일부 정산 받아 집을 샀고.
딸의 혼사에 저축을 썼고, 퇴직을 해야 하는 순간 아들이 로스쿨을 간다고 선언하자.
임시 계약직 노인장이 되었어요.
그간 여러 일들을 전전하고 아파트 경비를 하며 겪은 일들을 쓴 책인데.
처음엔 아 노인들의 삶을 봐야겠다라는 생각으로 호감을 가지고 책을 주문했습니다.

그런데 첫 장부터 마음에 턱 걸리는게 있었어요.
38년 공기업 근무.
평균적으로 생각해서 보통의 또래보다 많이 벌고 안정적인 삶을 살았을텐데.
왜 저리 저축과 돈이 없을까. 왜 미리 집 한채 장만하질 않고 있었을까. 삶은 다양하고 예기치 못 한 변수가 있다지만.
공기업을38년씩이나 정규직으로 다녔는데 퇴직 가까워서야 겨우 집을 마련했고 작은 도시에 살아 대도시의 집을 마련해야 했는데 그 가격이 얼마나 비싼지 몰랐다
라는 부분에서 젊어서 꽤나 자식들과 돈 신나게 썼던건 아니야? 라는 생각이 들고.
10살 차이나는 "아들"이 전문대학원을 간다는 이야기에 자신이 일을 더 해야 한다는 부분에서.
대체 아들은 부모의 상황을 알긴 하나. 스스로 돈 벌어 로스쿨 다니는 애들도 얼마나 많은데 이게 아들이 아니었으면 저 사람이 정말 저만큼 했을까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더구나 둘의 학자금대출도 있다네요.
공기업은 우리가 알듯 그리 신의 직장이 아닌걸까요?
전 이 미싱링크가 궁금하더라고요. 최저임금으로 이런 저런 직업들을 전전해야 할만큼 공기업이 퇴직후의 삶을 전혀 보장해주지 못 하나요?

요즘 젊은 세대들이 돈을 얼마나 악착같이 모으고 돈에 집착하며 대졸대기업 부부들이 허리띠 졸라매고 서울에 집을 사는 지..를 왜 어른 세대들이 전혀 이해하지 못 하고.
집값 부동산 등에 저리 무지한지 어느면으로는 이해가 되기도 하더군요.
저 말도 안되는 낙관. 나 정도면 늙어도 별 문제 없이 살 수 있겠지. 노후는 어느정도 되겠지 하며 젊어서는 적당히 즐겁게 살고 애들 대학학자금도 없고 그것도 다 대출 받고.
부동산 준비도 안 하고 퇴직금 땡겨 그제야 자기집한채 마련하고 막상 퇴직하곤 퇴직금도 거의 없는.
그런데 아 아빠는 공기업 다니고 아빠만 믿어라는 허세로 살았으니 아들이 그나이 되도록 자기 대학원비를 아빠에게 부탁하는. 그런 상황.

전 40대인데 진짜 남편이랑 열심히 모으고 노후대비 하고 자식 성인 이후를 대비하는데.
더 열심히 해야 겠단 생각이 드는 책이네요.

그리고.
이런 글조차 쓸 수 없는 노인 노동현장으로 간. 대학도 못 가본. 공기업은 근처도 가 보지 못 한 훨씬 많은 여성 노동자가 있다는 사실을.
그는 제대로 알까.하는

호감가지고 읽기 시작했다가 다른 마음이 들어버린 책의 소감이었네요.

IP : 210.217.xxx.10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0.7.2 9:46 AM (203.251.xxx.221) - 삭제된댓글

    공기업 근로자에는 낮은 급여의 직책도 존재하고
    급여 수준도 공기업에 따라 다를듯 하고요.

    예금으로 딸 결혼시키는게 더 문제 아닌가요?
    전문 공부하는데 부모 돈으로 하려는 자식이 더 문제고요.

  • 2.
    '20.7.2 10:10 AM (116.122.xxx.50)

    젊었을 때, 특히 아이 없는 신혼 때부터 허리띠 바짝 졸라매고 아파트 청약 시도 하면서 재테크해야 하는데 가난한 부모님 봉양에 저축할 여력이 전혀 없거나, 저축할 여력이 있어도 저축은 커녕 해외여행 다니며 버는 족족 써버리면 퇴직 후 막막해지는거죠.
    부지런히 종자돈 모아 내집마련을 언제하느냐 계획 짜는 것이 재테크의 출발점.

  • 3. 공기업
    '20.7.2 10:25 AM (116.32.xxx.191) - 삭제된댓글

    학자금 안나와요. 각자 대출.
    어느 공기업인지 모르지만 한전빼고 월급 그닥 많지 않습니다. 정년은 보장되네요.

  • 4. 공기업
    '20.7.2 10:28 AM (116.32.xxx.191) - 삭제된댓글

    그 자리에 취해서 회사에 올인한 결과겠지요. 나와서야 깨닫 되는 ... 선배들이 하나같이 회사에 목매지 말라고 하더군요. 나오면 돈 많은 사람이 위너라고 재테크 잘 하라고도 하고요. 부동산에 왜 돈이 모이겠어요. 각자도생입니다.

  • 5. ...
    '20.7.2 2:14 PM (119.64.xxx.182)

    책은 아직 안 읽어봤고요.
    주인공의 부모님이 큰 빚을 져서 버는 족족 다 그거 갚느라 힘들었다면 모를까...
    공기업 38년 다니셨으면 집으로 저축으로 졸라매면 졸라매는 만큼 재산이 늘었을거에요.
    딱 그 연배까지는 졸라매면 희망이 있던 나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90673 49재 해 보신 분 계신가요.. 18 .. 2020/07/02 7,645
1090672 부드러운 식감 수제비 파는 곳 알려주세요~ 14 서울 2020/07/02 1,663
1090671 지역별로 급식꾸러미 뭐 받았는지 올려봐요~ 9 .. 2020/07/02 1,325
1090670 화초가 웃자란다는게 뭔말이예요? 9 모모 2020/07/02 2,322
1090669 저도 꾸러미받앗어요~ 3 ㅇㅇ 2020/07/02 1,443
1090668 왜.제가 주식사면 떨어질까요 6 2020/07/02 2,886
1090667 양도소득세 계산이 1가구 1주택 조건이 넘 헷갈려서요...저같은.. 2 죄송해유 2020/07/02 1,459
1090666 코로나로 바이올린 레슨 못받는 아이들에게 도움되는 영상이예요. 2 랄랄라라라요.. 2020/07/02 1,227
1090665 코로나19 부검결과..폐뿐만 아니라 뇌까지 해쳤다 1 뉴스 2020/07/02 2,287
1090664 글을 잘쓰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7 ㅇㅇ 2020/07/02 1,575
1090663 34세 조국 교수 13 ..... 2020/07/02 3,230
1090662 고현정은 어찌 지내고 있을까요? 19 ... 2020/07/02 9,206
1090661 윤석렬로 물타지 마세요 26 .... 2020/07/02 1,501
1090660 열무김치 냉장고 언제 넣으세요? 7 궁금 2020/07/02 2,680
1090659 헉,, 이방에 윤석열 왔어요? 17 미치겠다 2020/07/02 2,207
1090658 육아 선배님들.. 만 8개월 아기 살 찌우는 법 알려주세요 4 ㅎㅎㅎ 2020/07/02 2,861
1090657 초3 남아 행동 심리 알려 주세요~~ 7 행동 심리 2020/07/02 1,403
1090656 윤석열 처와 장모가 6 2020/07/02 1,766
1090655 그림 그리시는 언니들!!도와주셔요 4 미술 2020/07/02 1,508
1090654 윤석열 1주택자라니.. 21 .. 2020/07/02 2,381
1090653 스페인어 불어 중 무엇을 배우는게 좋을까요? 9 2020/07/02 2,268
1090652 속보]추미애, '검언유착' 자문단 소집 '중단 지휘' 18 춘장의 맛 2020/07/02 1,806
1090651 한동훈 200프로 맞아 , 이 두 분 아니었으면 나라가 어찌되었.. 3 enforc.. 2020/07/02 1,540
1090650 Level 을 lebel 로 쓰는 사람 13 ㅇㅇ 2020/07/02 3,124
1090649 이사업체 어떻게 알아봐야 할까요 1 ㅇㅇ 2020/07/02 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