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여자 아아인데
앉았다 일어나거나,,조금 오래 서있거나 하면 어지럽고 앞이 깜깜하대요
얼마전 부터 계속 그러길래 다니던 소아과에서 피검사를 해봤어요
빈혈은 아니라고 하네요
어디 병원가서 뭘 검사받아야 할까요?
중학생 여자 아아인데
앉았다 일어나거나,,조금 오래 서있거나 하면 어지럽고 앞이 깜깜하대요
얼마전 부터 계속 그러길래 다니던 소아과에서 피검사를 해봤어요
빈혈은 아니라고 하네요
어디 병원가서 뭘 검사받아야 할까요?
저희애도 그래도 빈혈은 없는데 올해들어 어지럽다고 피곤해도 그래요
동네 병원 가정의학과에서 대충 건강검진 가지고 의뢰서 받아 삼성의료원 갔어요
동네 병원에서는 병명 안 나왔고요
이비인후과는 아닌것 같다고 해서 신경과 가서 뇌쪽으로 진료 받고 이상 없다고 해서 순환기내과 가서 심장 전체적으로 검사 했어요
운동 검사까지 받고요
기립성 저혈압이라 해서 일년반 정도 약 먹었어요
완전히 낫지는 않았는데 병원 다니기 불편 하다고 덜 하다고
해서 그 다음에 치료 안 받고 성인이 됐는데 괜찮대요
그냥 어지럽다고 하면 잠깐 그러겠지 하겠는데
눈앞이 깜깜하다고 하니까 걱정이 되네요...
제 딸이 중2때 체험학습 가다가 지하철에서 쓰러져서 제가 데리러 갔던 적 있어요. 쓰러진 건 처음이어서 종합병원 데려가서 전신을 훑었는데 아무 이상도 나오지 않았어요. 남편이 내과의사라 좀 과하다 싶게 검사 다 했었는데도요.
제가 여기 게시판 검색하다가 알았는데 미주신경성 실신 같다고 결론 냈고 어지럽고 귀에 이명 들리고 눈앞이 노랗거나 깜깜해지면 바로 쪼그려 앉으라고 하세요. 주로 넘어지면서 많이 다친대요.
바로 쪼그려 앉으라는 얘기 꼭 해줘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우리 아이도 그래서 피검사. 엑스레이. 심전도. 초음파.
다 해보고 이상없음.
마지막으로 병원에서 권한 검사가 저 기립성저혈압 검사였는데.
딱히 치료법은 신경계통 약물치료ㅡㅡㅋ 라고해서
검사 안 받았어요.
대신 생고기 자주 먹이고. 보약 먹이고. 좀 짜게 먹이고.
그리고 증상이 느껴지면 일단 주저앉아서 무의식적으로 .잼잼이. 연습시켰어요.
쓰러져서 다쳐오는 아이들이 제법 있다고 하더라구요.
요즘은 좀 덜 하네요.
그래도 늘 불안불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