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기억으로 그 여학생의 이름은 베키라 했고, 그 여학생은 하버드 대학학부를 졸업할 때 하버드 대학 통틀어 전체수석을 했으니까 무지하게 머리가 좋은 학생이었다.
그런데 베키는 당시 한국 불교사를 가르치고 있었던 나를 만날 때마다 ‘쑹산쓰님’ 운운 하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베키는 나보고 자기가 존경하는 학자인 당신이야말로 꼭 한번 ‘쑹산쓰님’을 만나보라고 조르는 것이었다. 당신과 같은 훌륭한 한국의 학인이 쑹산쓰님을 안 뵙는것은 뭔가 잘못된 것이라는 것이다.
베키가 아무리 나에게 쑹산쓰님을 만나보라고 권고했어도 나는 그를 만날 생각이 없었다. 주기적으로 여기저기 돌아다니시는데 어느 날 케임브리지 젠센터에 오셔서 달마 토크(Dharma talk, 법문을 이렇게 영역)를 하시니깐 그때 꼭 한번 만나보라는 것이었다.
‘쑹산쓰님’의 달마 토크때는 하버드 주변의 학ㆍ박사들이 수백명 줄줄이 모여든다는 것이다. 내가 사실 불교의 인맥을 파악한 것은 최근의 일이므로 그때만해도 누가 누군지를 전혀 몰랐다.
실상 속마음을 고백하자면나는 ‘쑹산쓰님’을 순 사기군 땡중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 이유인즉슨 나에겐 다음의 명료한 두 가지 생각이 있었다.
하나는 저 베키를 쳐다보견데, 저 계집아이를 저토록 미치게 만든 놈, 즉 계집아이가 숭산이라는 개인에게 저토록 절대적 신앙심을 갖게 만들었다는 것 자체가 무슨 사교邪敎적 권위의식을 좋아하는 절대론자일 것이고 따라서 해탈된 인간으로 간주될 수는 없다. 자기는 자유로울지 모르지만 타인에게 절대적 복속과 부자유를 안겨주는 놈은 분명 사기꾼일 것이다.
또 하나는 ‘달마토크’의 사기성에 있었다. 숭산이 다 늙어서 미국엘 건너온 사람인데 무슨 영어를 할 것이냐? 도대체 기껏 지껄여봐야 콩글리쉬 몇마딜 텐데, 영어로 말할 것 같으면 천하에 무적인 도사 김용욱도 하버드에선 벌벌 기고 있는데, 지가 무슨 달마 토크냐 달마토크는? 하버드 양코배기 학박사들을 놓고 달마토크를 한다니 아마도 그놈은 분명 뭔가 언어 외적 사술邪術을 부리는 어떤 사기성이 농후한 인물일 것이다. 正道는 言語속에 내재할 뿐이다.
그런데 베키에 간청에 못이겨 케임브리지 젠센터의 한구석에 쭈구리고 앉아 숭산의 달마토크를 듣는 순간, 나는 언어를 잃어버렸다.
나는 그의 얼굴을 보는 순간 그동안 나의 식識의 작용속에서 집적해왔던 ‘객기客氣’가 얼마나 무상한 것인가를 깨달았던 것이다. 한 인간의 수도를 통해 쌓아올린 경지는 말과 말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것은 오로지 마음과 마음으로 전달될 뿐이다. 마음과 마음의 만남은 언어가 없는 것이기에 거짓이 끼어들 수가 없는 것이다. 나는 그의 얼굴을 쳐다보는 순간, 그가 해탈인이었음을 직감했다.
그의 얼굴 속에는 위압적인 석굴암의 부처님이 앉아있는 것이 아니라 동네골목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땅꼬마’가 들어 있는 것이 아닌가? 몸의 해탈의 최상의 경지는 바로 어린애 마음이요, 어린애 얼굴이다.동안童顔의 밝은 미소, 그 이상의 해탈, 그 이상의 하느님은 없는 것이다.
숭산은 결코 거구는 아니라 해도 작은 덩치는 아니다. 당시 오순중반에 접어든 그의 얼굴은 어린아이 얼굴 그대로였다. 그의 달마토크는 정말 가관이었다. 방망이를 하나들고 앉아서 기끔 톡톡 치며 내밷는 꼬부랑 혀 끝에 매달리는 말들은 주어 동사 주어 술부가 막구 도치되는가 하면 형용사 명사 구분이 없고 전치사란 전치사는 다 빼먹는 정말 희한한 콩글리쉬였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사실은 영어도사인 이 도울이 앉아 들으면서 그 콩글리쉬가 너무 재미있어 딴전 볼 새 없이 빨려들어갔다는 것이다. 그의 콩글리쉬는 어떤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언어의 파워를 과시하고 있었다. 주부 술부가 제대로 틀어박힌, 유려한 접속사로 연결되는 어떠한 언어형태도 모방할 수 없는 원초적인 마력을 발하고 있었다.
그의 달마토크가 다 끝나갈 즈음, 옆에있던 금발의 여자가 큰스님께 질문을 했다. 내 기억으로는 그여자는 하버드 대학 박사반에 재학중닌 30세 전후의 학생이었다. 그녀가 물었다.
“왓 이즈 러브 (What is Love)?”
큰스님은 내처 그여학생에게 다음과 같이 묻는 것이었다.
“아이 애스크 유, 왓 이즈 라브(I ask you, what is love)?”
그러니까 그 학생은 대답을 잃어버리고 가만히 앉아 있는 것이었다.
그 다음 큰스님은 이렇게 말했다.
“디스 이즈 라브(This is love).”
그래도 그 여학생은 뭐라 할말을 찾지못하고 멍하니 앉아 있었다. 그 학생을 뚫어지게 쳐다보던 동안의 큰스님은 다음과 같이 말을 잇는 것이었다.
“유 애스크 미, 아이 애스크 유, 디스 이즈 라브 (You ask me, I ask you. This is love)”
인간에게 있어서 과연 이이상의 언어가 있을 수 있는가? 아마 사랑 철학의 도사인 예수도 이 짧은 시간에 이짧은 몇마디 속에 이렇게 많은 말을 담기에는 재치가 부족했을 것이다. 나는 숭산 큰스님의 비범함을 직감했다. 그의 달마토크는 이미 언어를 뛰어넘고 있었다. 그리고 이미 국경도 초월하고 있었다. 오로지 인간, 그것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