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5~30년 뒤에는 모병제 될까요?

Happy 조회수 : 1,451
작성일 : 2018-09-21 17:41:48
70년이 넘었는데도 
물론 징병제 실시하는거야 사정이 사정이라면 하는건 좋은데

70년이 넘었는 와중에 여전히 기본적인 군 복지, 대우, 임금, 처우가 완전 개판에 엉망이어서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사병 군인들의 보상과 대우가 너무 열악하고 월급이 껌값 수준으로 낮다는건
굉장히 심각한 문제라고 봐요. 애초에 관심조차도 없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남/여 분들(특히 40대 이상)도 많구요.
비아냥거리고 놀리거나 쉽게 생각하는 몰지각한 사람들도 있구요.


앞으로 정말 진심으로... 북한과 잘돼서
진지하고 본질적인 그리고 전문적이고 정예화된 현대식 신식 군대로 모병제로 됐으면 좋겠어요.


한국 고질병 대표적인 것중의 하나가 변질된 구 일본식(근대 일본제국 때의) 병영문화, 군대문화
구시대 군사정권 군사독재 째부터 뿌리깊게 내려온 군대식 병영식 문화, 특유의 권위주의,
철저한 군대식 수직적 인간 관계(특히 학교. 민주주의의 학교가 아닌 병영주의의 학교죠 사실상, 두발 검사보면
이건 학교가 아니라 고참이 후임 다루듯하는 거 같음)...

이거 다 한국 특유의 군문화, 징병제의 악습에서 온거라고 봅니다.

한국의 안좋은 관습/인습 그거 다 어디서 나왔어요? 군대 문화가 남자 뿐만 아니라 여자들한테도 전파, 오염되었죠.


한국 사회가 제발 20년, 25년, 30년 뒤에는 진심으로 좀 변했으면 좋겠어요.

가장 심각하게 썩고 고인게 바로 군대라고 봅니다.

70년이 넘었는데도 가장 기본적인 월급이 시급 몇백원.. 한달에 십몇만원에다
대우와 보상조차도 매우 미미, 열악하고 사실상 없다는건 전형적인 노동 착취, 인권 유린이거든요.


끌려간다는 생각 버려라 라고 위정자들은 외치지만
정작 데려갈 땐, 징병제로 군대 갈 땐 '국가의 아들' 외치지만 사건사고 휘말릴땐 입싹닫고 나몰라라 하는 군대..

군대가서 일하고 복무하지만 정작 그 어떠한 보상과 복지와 대우도 없고 임금도 사실상 십몇만원 주는 그런
군대를 보고 끌려간다는 생각 안하면 그게 비정상이지요.


이전의 남북과 북미 회담 그리고 지금 남북 평양 회담보면서

앞으로는 우리 군대도 좀 더 세련되고 더 나아가 이제는 징병제의 악습에서 벗어나 모병제로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남자, 아들들, 아들을 둔 부모들이 마음이 편했으면 좋겠습니다.


징병제랍시고 군대가서 월급 10몇만원 주는거.. 이게 정상적인 겁니까
한국보다 훨씬 못사는 나라도 저 정돈 아닙니다.
그렇다고 한국이 최빈국, 국가파탄국, 후진국, 나치 독일, 50년대의 군사정권 시기도 아니잖아요
IP : 36.38.xxx.154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9.21 5:44 PM (59.15.xxx.61)

    곧 모병제 되겠지요.
    이제 최전방 근무도 안하게 될텐데요.
    머지 않았다고 봅니다.

  • 2.
    '18.9.21 5:50 PM (110.15.xxx.185)

    어렸을 땐 국민의 의무니까 군대 가야지 했는데 젊은 나이에 나라에서 데려가고는 사람 대우로 안하고 소품 취급하는거 보면 군대 안가려는 마음도 이해되요
    군에 일어나는 각종 사고에 제대로 조사도 안되고 의료서비스도 못받고 사망하는 뉴스를 보면 다른 세상에 사는 것 같더라구요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젊은이들을 나라에서 책임지고 지원해줘야죠

  • 3. ㅇㅇ
    '18.9.21 5:54 PM (211.36.xxx.44) - 삭제된댓글

    10년 후면 가능할듯

  • 4. marco
    '18.9.21 6:09 PM (14.37.xxx.183)

    모병제가 되어서

    군사기초훈련은 없어지지 않습니다.

    물론 기간이 짧아지겠지요...

    이것은 통일이 되어도 없어지지 않을 듯...

  • 5. 남북교류
    '18.9.21 6:10 PM (220.122.xxx.169)

    분단비용이 줄어들었다는건
    군대들어가는 비용이 줄었는거니
    당연히 군인수도 줄고
    곧 모병제얘기가 나올듯

  • 6. marco
    '18.9.21 6:10 PM (14.37.xxx.183)

    모명제가 되어도입니다...

  • 7. 글쎄요
    '18.9.21 6:22 PM (121.173.xxx.158)

    지도 펼쳐보면 주위에 우리보다 인구나 gdp 적은나라가 없어 모병제는 주변국들의 위협이 없어지지 않은한 불가능하지 않을까 해요
    유럽은 주변이 비슷하게 살고 90년대에 소련이 붕괴되면서 위협이 적어져서 모병제가 됬지만 최근에 러시아의 힘이 커지며 크림반도랑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찝쩍이다보니 징병제 서서히 검토하고 있다 하는거 같아요

    모병제는 힘들더라도 비합리적인 군대문화와 비리가 줄었으면 해요

    전쟁사 관련에서 본거 같은데 군 문화가 강압적인 건 열병기 시대 이후 그렇게 하지 않으면
    군인들이 전쟁시 도망가니 때문에 나온 거라 우리 뿐만 아니라 어느나라나 비슷하다 읽은거 같아요

  • 8. ....
    '18.9.21 7:19 PM (182.209.xxx.180)

    모병제까진 아니어도 군대 기간이 굉장히 줄어들것 같아요

  • 9. 모병제
    '18.9.21 8:09 PM (211.108.xxx.228)

    10년 안에는 될거 같아요.

  • 10. ...
    '18.9.21 8:10 PM (49.163.xxx.134)

    지금같은 정전 시기와는 다르게
    비인간적인 대우나 강압 같은게 많이 사라지지 않을까요? 급여도 좋아질테고...
    남고싶은 군이 되도록 스스로 변할것 같아요.
    여성 군복무도 어색하지 않을만큼 현대화되고 첨단기술 위주로 고급화 되겠지요.

  • 11. 그죠.
    '18.9.21 9:02 PM (124.53.xxx.240) - 삭제된댓글

    인생에서 가장 빛나고 아름다울 나이에
    군대에 강제징집되는 우리아들들
    너무 아까워요. 게다가 분단국가라는
    이유로 당연한 의무라서 한달 월급이
    몇십만원이라니...군대 문화 변해야하고
    하루 빨리 모병제로 바뀌면 좋겠어요.

  • 12. 평화
    '18.9.22 12:30 PM (49.175.xxx.168) - 삭제된댓글

    군대 체질인 사람만 군대가서 군인 해야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6918 병문안올때 갖고 온 과일에..ㅠㅜ 52 처세어쩌나 2018/09/21 23,133
856917 매매생각중 집값관련 무식한 질문 드려요 7 아파트 2018/09/21 1,582
856916 월천씩벌면 중산층으로 진입 13 ㅇㅇ 2018/09/21 5,531
856915 명절 진짜 진짜 싫어요. 20 진짜싫어 2018/09/21 5,493
856914 승모근이 나이들면서 올라가는건 4 6시 2018/09/21 4,698
856913 승모근 뭉침과 등 통증 연관 있을까요? 12 승모근 2018/09/21 4,499
856912 이혼소장과 추석.. 15 ... 2018/09/21 4,882
856911 차례 제사 줄이는걸 나서서 반대하는 시어머니 5 새롬이 2018/09/21 3,398
856910 자궁경부암 검사 고위험군 저위험군이 뭘까요. 4 2018/09/21 3,313
856909 아울렛에 속옷브랜드도 할인하나요? 1 1ㅇㅇ 2018/09/21 688
856908 25~30년 뒤에는 모병제 될까요? 11 Happy 2018/09/21 1,451
856907 서류 상에 1번이 반복되는 건 왜 그럴까요? 3 모름 2018/09/21 936
856906 추석을 맞아, 비위생 배틀을 신청합니다. 44 쵸오 2018/09/21 7,187
856905 심재철발 가짜뉴스에 관해 청와대 페북올라왔어요 5 ... 2018/09/21 1,247
856904 옷 한번 봐주세요^^ 10 2018/09/21 2,879
856903 10세 여아 공복 혈당이 110이에요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10 걱정 2018/09/21 3,462
856902 40대 후반 부부 큰집이나 당숙부 집에 명절에 인사갈때 빈손으로.. 4 시금치 2018/09/21 2,613
856901 시댁에서 2밤 자자는 남편...꿈도 야무져요.. 12 ... 2018/09/21 7,140
856900 LA갈비 한꺼번에 살짝 찐다음 구워도 될까요? 10 ... 2018/09/21 2,080
856899 노년의 삶은 필연적으로 외로운 삶인가요 11 원글 2018/09/21 7,026
856898 세제 (한장시트?) 25 .. 2018/09/21 2,639
856897 원격으로 로봇청소기 돌렸더니 집에 있던 애가 깜짝 놀라서 전화왔.. 4 세상 신기 2018/09/21 3,993
856896 지메일은 메일보낸후 수신했는지 확인 어떻게 하나요? 2 질문 2018/09/21 882
856895 친정이고 시댁이든 명절엔 우리집이 좋아요 2 .. 2018/09/21 1,840
856894 삼지연 호수에서 문대통령 내외분 8 기레기아웃 2018/09/21 2,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