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교육부 폐지] 교육부가 없어져도 되는 이유

교육부 조회수 : 654
작성일 : 2017-08-18 17:54:14

동아일보 칼럼


그동안 이런 식으로 일해 왓겠지만

이번엔 안 된다. 교육부 교육과정/수능 담당자는 물러나라.


-----------------------------------------------------------



교육부가 두 개의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을 10일 내놨다. 일부 과목만 절대평가하는 1안과 전 과목을 절대평가하는 2안이 그것이다. 개편안 브리핑에서 교육부는 “국민 의견을 물어 1안 아니면 2안으로 결정할 것”이라며 “‘믹스(절충)안’은 없다”고 했다. 국민은 무엇도 정답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어쨌든 둘 중 하나를 고르라’고 한 셈이다.

새 시대에 걸맞은 새 교육을 위해 수능을 바꾼다면서 개편 시안조차 보기 2개짜리 ‘객관식’으로 낸 것이 아이러니했다. 선택 가능한 2개 안을 제시한 건 얼핏 민주적으로 보이나 실상은 단일안 제시보다도 못하다. 만약 하나의 안을 제시한 뒤 의견수렴을 했다면 다양한 부분에서 국민들의 의견이 반영될 기회라도 있었을 게다. 그러나 개편안이 객관식 문항으로 제시되면서 국민은 교육부가 굴러갈 세금을 내고, 그 정책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당사자임에도 1번 아니면 2번을 고를 제한적 권리밖에 가질 수 없게 됐다.

사실 객관식은 교육부에 제일 간편한 방식이다. 둘 중 하나를 고르라고 했더니 여론의 방향도 ‘무엇이 근본적으로 가장 발전적인 수능이냐’보다 ‘1번이냐 2번이냐’로 가고 있지 않은가. 확실히 ‘열린’ 논의보다는 덜 골치 아파진 셈이다.

차라리 교육부의 ‘보기’ 중 확실한 정답이 있었더라면 좋았겠지만 딱히 그렇지도 못한 게 문제다. ‘어정쩡한 절대평가’와 ‘완전 절대평가’란 2안 중 우리 교육의 미래 비전을 명확히 보여주는 것은 무엇인가. 이 중 하나를 고르면 무엇이 더 교육적으로 나아지는가. ‘장관님’의 신념과도 같은 2안과 국민 반발과 청와대의 속도 조절 주문을 적당히 타협시킨 1안을 복수로 제시하고 최종 선택은 국민 여론에 떠넘긴 느낌이다. 이게 정책인가? 

교육부는 교육부 사람들만으로는 모자라 1년 5개월간 수천만 원을 들여 외부 연구용역팀까지 굴렸으면서도 이 두 안이 ‘보기’로 올라오게 된 정책연구 근거조차 충실히 밝히지 않았다. 국민이 제대로 수능 정책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와 직접적으로 엮여 있는 고교 내신평가방식과 대입제도 손질, 특목고·자사고 존폐 문제, 학생부종합전형에서의 일반고 간 격차 상쇄 대책 등에 대한 정책 정보가 반드시 필요함에도 교육부는 ‘국가교육회의’ 핑계만 댈 뿐 어느 것도 제대로 답하지 못하고 있다.

개편안 공개 다음 날 서울교대에서 열린 첫 대국민 공청회에서 국민들은 일제히 분노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한 학부모는 “정부는 아이들이 얼마나 심한 석차 경쟁에 시달리는지, 얼마나 비싼 비용을 학부모들이 치르는지 모르는 것 같다”며 “새 정부에 배신감을 느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엄마는 “학교 교육만으로는 아무것도 되는 게 없는데 정부가 이상만 외친다”며 울먹였다. 벌떡 일어난 한 아빠는 “교육부는 똑바로 일하라”며 “왜 2개 안을 던져놓고 학부모들을 싸움 붙이느냐”고 호통쳤다.

교육부의 섭외로 토론에 참석한 4명의 전문가마저도 1안 혹은 2안에 완벽히 만족하지 않았다. 2안을 지지한 1명은 ‘조건부’라는 전제하에 지지했고, 1안을 지지한 3명은 ‘2안보다는 낫다’는 이유로 1안을 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부는 1안 아니면 2안 중에 고른다는 입장이다. 공청회에 왔던 한 학부모는 “벽을 보고 얘기해도 이보다는 낫겠다”며 자리를 떠났다. 객관식에 정답이 없다고 외치는 건 단상 밑의 국민뿐이었다.


임우선 정책사회부 기자 imsun@donga.com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70818/85874390/1#csidxfd7d9514377a1ef8d99eb203...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70818/85874390/1#csidx429338769161e34b4091ca0a...

IP : 116.127.xxx.78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주위에
    '17.8.18 6:05 PM (223.62.xxx.89) - 삭제된댓글

    문재인 찍은 엄마들 다들 후회 해요.새정부 교육정책이 아이들을 사지로 몰고 있다고..

  • 2. 교육부
    '17.8.18 6:22 PM (116.127.xxx.78)

    원글인데요. 이번 교육정책은 박근혜 정부 교육정책의 연장선이에요.

    이번 수능개편안의 골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수능이라는 건데
    이게 2015년, 즉 박근혜정부 당시 교육부에서 만든 거거든요.
    이 담당자들이 현재까지 교육과정이나 수능을 좌지우지하고 있고요.

    지금까지는 일방향식이었지만 앞으로는 안 됩니다.
    문재인 정부니까요.

  • 3. 저는
    '17.8.18 6:37 PM (119.70.xxx.204)

    정말 실망입니다
    말로표현이안될지경입니다

  • 4. 아니
    '17.8.18 7:28 PM (218.236.xxx.162)

    지난 9년간은 뭐하다가...

  • 5.
    '17.8.18 7:39 PM (116.125.xxx.180)

    2015 개정교육과정 만든 교육개발원을 쪼아야해요
    뭐하는 집단인지

    수능과목이 7개에서 14개가 됐다잖아요
    1안이든 2안이든

  • 6. 교육부
    '17.8.18 7:52 PM (116.127.xxx.78)

    윗님, 교육과정 만든 거 교육개발원이 아니라 교육부예요. 교육부에서 대학교수들한테 얼마 주고 연구한거예여

  • 7. 교육부
    '17.8.18 7:53 PM (116.127.xxx.78)

    2015 개정 교육과정 이전인 2009 교육과정까지 교육과정평가원에서 만들었고, 2015는 교육부와 사범대 교수들이 만들었습니다

  • 8. 밥버러지 집단
    '17.8.18 8:22 PM (219.255.xxx.30)

    한심해서...
    하긴 반백년 동안 꾹 눌러앉아 편하게 해먹어온 자리 텃세가 얼마나 심한 집단인데
    바뀌겠어요? 한 순간에...
    싸그리 물갈이 해야할 집단 일 순위.

    교육부. 교사집단!

  • 9. 찬성
    '17.8.18 8:29 PM (175.223.xxx.54)

    교육부는 없어야됨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21761 요즘 계란 어디꺼 드세요? 6 302호 2017/08/23 2,145
721760 예전에 영어회화 ebs로 공부하신 교사분인가가 쓰신 글이 있던거.. 갑자기영어땡.. 2017/08/23 857
721759 게장을 쪄서 먹기도 하나요? 6 효리네 2017/08/23 2,177
721758 질문 물을 많이 마시려는데요 옥수수차 7 건강 2017/08/23 1,332
721757 침침해진 눈을 빨리 돌릴 수 있는 방법 아세요? 13 40대 2017/08/23 4,454
721756 남편의 인간 관계, 어디까지 용인해야할까요? 26 ㅇㅇ 2017/08/23 5,400
721755 풀무원 제품 할인하는 사이트 알려주세요 다량 사야 .. 2017/08/23 404
721754 유부녀가 영어 공부 목적으로 채팅 하는 것, 이상한가요? 13 명아 2017/08/23 2,897
721753 전세계약 문의합니다. 2 ... 2017/08/23 575
721752 강아지의 기다림^^ 11 .. 2017/08/23 3,228
721751 고마워서 한 결혼 23 ..... 2017/08/23 7,912
721750 어제 선남 데이트패턴으로 고민했던글 어떻게 됐나요? 2 툴툴 2017/08/23 1,078
721749 Ktx에서 떠드는 아이, 입으로만 '쉿'하는 엄마 ㅠㅠ 6 정기권 2017/08/23 2,524
721748 그린 파파야 향기 ..이 영화는 그냥 색채감인가요? 20 ... 2017/08/23 2,909
721747 30대중후반 한국남자들 외모가 청소년같나요? 5 김강민 2017/08/23 2,540
721746 이참에 식품, 생활용품 모두 성분과 방사능 검사 하면 2 ... 2017/08/23 431
721745 오늘 아침 강석우 라디오 들으신분? 2 궁금 2017/08/23 2,689
721744 그냥 지나치시지말고 제발 도와주세요. 31 .. 2017/08/23 7,099
721743 식약처 "릴리안 생리대 포함 53개 품목 검사 계획.... 6 새벽2 2017/08/23 1,946
721742 도로연수 업체 선정할때 봐야할게 있나요? 1 운전 2017/08/23 628
721741 저 중국어 배우려구요 18 ㅇㅇ 2017/08/23 2,842
721740 결혼할때 공동명의 요구하면 도둑년 심보 아닌가요 116 ... 2017/08/23 25,654
721739 불고기감 양념을 못했는데 바로 먹는 방법 좀.. 4 아이디어 좀.. 2017/08/23 1,124
721738 거침없이 하이킥 한글자막 나오는 것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1 00 2017/08/23 688
721737 조지아 물가가 정말 싼거같아요(오지의마법사 보시나요?) 12 호롤롤로 2017/08/23 3,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