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대해 안 전 대표는 19일 기자들과 만나 "외부에 계신 분이 모두 '비선'은 아니다"라며 "(박 원장의 의견은) 많은 분들의 의견 중 하나"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관련 기사 : 2012 안철수 캠프, 암장군은 '시골 의사' 박경철)
금태섭 전 대변인은 지난 18일 낸 <이기는 야당을 갖고 싶다>(푸른숲 펴냄)에서, 먼저 안철수 당시 대선 후보가 인하대학교 연설에서 의원 정수 축소 주장을 한 후 논란이 일었던 사실을 상기시켰다. (☞관련 기사 : 안철수 '정치 개혁안', 후보 독단? 캠프 내부서도 반발)
금 전 대변인은 이어 "주위에서야 어떤 소리를 하든 캠프 구성원들은 후보를 보호해야 했다. 일단 주장한 이상 반대하는 사람이 많더라도 밀어붙이든,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언의 의미를 축소하든 방침을 정해서 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했다"며 "그런데 그 방향을 정할 단서를 찾을 수 없었다. 누가 쓴 메시지인지 알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당시 느꼈던 곤혹스러움을 털어놨다. 그는 "캠프 내에서도 '도대체 누가 이런 연설문을 작성했느냐'는 성토가 터져 나왔다"며 "선거가 끝나고 나서까지 이 문제는 진심캠프 구성원들이 가장 크게 궁금해 했던 미스터리였다"고 했다.
결국 이 문제에 대한 답은 대선 이듬해에 나왔다. 그는 "1년쯤 후에 나는 안철수 후보와 대선 과정을 진지하게 복기한 적이 있다"며 "그 자리에서 박경철 원장의 행동에 대한 문제도 제기한 적이 있는데, 그때 안 후보에게 이 연설문이 박 원장의 작품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었다. 설마 했던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 순간"이라고 술회했다.
그는 책에서 "박 원장의 태도는 책임과 권한의 불일치, 공식 조직에 대한 비공식 라인의 개입 등으로 선거 내내 커다란 장애 요소로 작용했다"고 신랄하게 비판하며 "안 원장을 돕다가 떠나간 많은 사람들이 박 원장과의 관계를 가장 큰 문제의 소재로 꼽는 데 주저함이 없다"고 했다. 대선 때 이후로 안 전 대표를 돕다가 그와 멀어진 이들로는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최장집 고려대학교 교수, 김성식 전 의원 등이 꼽힌다.
금 전 대변인은 '후보 사퇴' 결정 과정에 대해서도 "후보 사퇴는 말 그대로 가장 중요한 결정이지만, 캠프의 주요 인사 대부분이 안 후보가 그 결정을 발표하기 직전까지 알지 못했다. 본부장이던 장하성 교수는 그 시간에 선거운동을 독려하기 위해 광주로 내려가고 있었다"면서 "그처럼 중요한 일에 대한 논의와 결정이 비선에서 이루어졌고 공식적인 라인에 있던 사람들은 제대로 의견도 내지 못했다"고 거듭 비판했다.
그는 "단일화 협상팀 등 캠프 내 인사와 관련해서도 비선의 문제점은 그대로 드러났다"며 "나에게 '협상 팀에 가게 됐다'는 사실을 알려준 것이 박경철 원장이었다. (…) 후보나 본부장이 아닌, 캠프에서 아무런 직책도 맡지 않은 사람이 인사 통보를 했다는 것은 진심캠프가 얼마나 깊은 문제를 안고 있었는지 극적으로 보여준다"고 밝히기도 했다.
"단일화 협상 당시, 安 캠프 본부에선 '버티라' 지시만…"
금 전 대변인은 2012년 대선 당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측과의 대선후보 단일화 협상팀 참여 경험에 대해서도 책에서 밝혔다. 그는 "서로 비판하려고 마음먹으면 양쪽 다 할 말이 있겠지만 국민들 앞에서 책임 공방을 벌일 염치가 있을 수 없다. 결과를 이루지 못한 데 대해서는 똑같이 잘못이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진심으로 말하건대 우리 쪽의 책임이 민주당보다 작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단일화 협상이 실패한 데는 진심캠프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이유로 "단일화 협상을 치르면서 체계적인 전략도 없었고, 경쟁력을 내세우면서 단순히 양보만을 기대했다"는 점을 들었다. 그는 당시 민주당 측과 마주앉은 과정에서 "협상 팀은 곤혹스러웠다. 본부에서 지침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밝히며 "지휘부에서는 '계속 버티라'는 지시만 내려왔다"고 답답함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