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무서운 친정엄마와 자신감 없는 딸..

언니야 조회수 : 4,485
작성일 : 2016-03-27 08:36:41

저희 큰 이모는 아들4명과 딸1명이 있습니다.

보통 이런 경우는 딸이 너무 귀해서 공주(?)처럼 키울텐데... 이모는 오히려 딸을 아들처럼 아니 아들들과 똑같이 키웠습니다. 어릴 적 언니랑 놀러 다니면 남자친구랑 놀러 다닌다고 할 정도로 헤어스타일도 옷입는 것도 남자처럼 이모가 거의 신경을 안 써줬습니다. 사는 형편이 어려워 그렇다면 그럴 수 있지만 이모는 강남에서 알아주는 부자였습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이모는 저희 엄마와는 너무 다르게 육아, 살림은 전혀 안하셨어요...이모네는 40년 전에도 집에서 아이만 키워주시는 분이 2명계셨죠.

언니는 딸 한명이지만 곱게 큰 것이 아니라 남자처럼 키워졌어요..

그런데 보석으로 치면 원석이라고 할까요? 언니는 키도 크고 피부도 백옥이고 얼굴도 조막만 해서 대학교 입학할 때쯤엔 눈부실 정도로 예쁜 외모였습니다.

동생인 제 눈에만 그렇게 보이는 것이 아니었는지 언니 따라 다니는 남자들이 무지 많았고 저희 엄마한테 들으니 선 도 정말 많이 들어왔다고 했습니다

지금 생각해봐도 언니는 남자들한테 인기가 정말 많았던 것 같아요. 물론 결혼도 아주 잘했죠... 그런데 그런 언니도 친정엄마 (즉 저희 이모)의 무서운 성격 아래 성장했더니 어디가도 주눅 들고 자기의견도 못 말하고 눈치 보며 미안해하고 동생인 저한테도 말할 때마다 “정말정말 미안한데 이것 좀 해줄 수 있을까?” 항상 저런 말이 먼저 나옵니다.

뭐 내용을 들어보면 전혀 미안해 할 일도 아닌데 무슨 일이든 너무 많이 미안해하고 상대방의 눈치를 살피는 거죠...

언니랑 바로 옆동네 아파트에 살고있습니다. 그래서 언니네 학부모 그룹과 제 아이 학부모 그룹 (첫째 둘째 아이들의 교우 관계로 서로 알고 지내고있는데) 언니는 그 엄마들 모임에서도 기를 못 펴고 의견들에 끌려 다니는 것 같더라고요. 얼마전에 언니가 다른 엄마한테 무시를 당해서 속상하다기에 이유를 물으니 집안 경제적인 문제로 무시를 당했다던데 참 기가 막히더군요,,,

저희 언니 재산상속만 10억 넘게 받습니다.(제 기준에는 어마어마한 액수라서 다른 분들은 아닐지 모르겠습니다...) 또 이모가 예쁘게 곱게 키운건 아니지만 경제적인 능력이 있으셔서 물질적으론 정말 저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풍요롭게 자랐거든요,,,,지금도 언니는 친정에 가면 시장보라며 용돈으로 갈 때마다 100만원씩 받더군요... 평생 이곳에서 말하는 부촌(?)에서 만 나고 자라고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결혼을 전문직에 아무리 잘했어도 딸은 엄마의 무서운 성격 아래 주눅이 들고 가슴에 상처로 눈치 보며 어디가도 자기의견 말 못하고 움츠리는 성격이 된거죠...

아는 학부형들이 오며가며 언니 이야기를 할때마다 정말 답답합니다.

언니는 정말 좋은 환경에서 자라고 지금도 그런데..

이런 물질적 여유보다는 엄마의 따스함에서 오는 정신적여유가 없으니.. 항상 마음이 겨울인가 봅니다.

어제도 같은 동네 엄마들끼리 물론 저희 언니도 같이 커피점에 가서 차를 마시는데 언니는 한쪽에 쭈그려 앉아 아무 이야기도 못하고 있기에 뭐라도 같이 말하고 그러자고 했더니...“아니 내가 뭘...” 이런 모습에 답답해서 한소리 적어봤습니다.

 

IP : 122.32.xxx.229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맞아요
    '16.3.27 8:43 AM (14.34.xxx.210)

    요즘 사람들은 살아가는데 돈만이 전부인양 생각하는데
    원글님 말처럼 돈 이외 자신감이라든지, 배려, 사랑 이런
    것들이 얼마나 중요한지 몰라요.

  • 2. 지인도
    '16.3.27 8:49 AM (112.151.xxx.45)

    서울대 석사까지 마치셨는데, 자신감이 없으시더라고요. 안하무인도 문제지만, 자신이 가진 장점을 모르거나 심하게 평가절하하는 것도 안타까워 보이더라고요.

  • 3. ...
    '16.3.27 8:58 AM (220.75.xxx.29)

    어제 읽었던 어느 분 글이 생각나요.
    양육자의 긍적적이고 활발한 리액션이 자신감 넘치는 아이를 만든다고 하셨죠.
    그 사촌언니가 아니라 그집 아이들이 걱정이네요. 이런 경우 보통 문제가 대를 이어가더라구요.

  • 4. 음...
    '16.3.27 9:02 AM (175.209.xxx.160)

    근데 천성이 좀 유약할 거예요. 제 사촌도 비슷한 경우인데 걘 엄마보다 더 드세서 자기 맘대로 하고 살아요. 물론 경제적 독립이 가능할만큼 똑똑하죠. 절대 엄마한테 휘둘리지 않고 어디 가서 기가 죽기는 커녕 호령하는 타입.

  • 5. 하늘
    '16.3.27 9:05 AM (121.181.xxx.147)

    제가 이 나이에 겨우 깨달은게 있다면 자식 키우는건 정성이 반이상이라는 것입니다.
    각 가정의 형편에 맞게 정성껏 키우면 자신이 소중한 사람이고 남들이 함부로 해서는 안되는 사람인 것을
    소위 자아존중감이란것이 생기는것 같습니다.
    비싼 옷은 아니더라도 깨끗한 옷, 비싼 음식은 아니더라도 철에 맞는 음식들 해먹이려고 노력하고.. 도서관 함께 가서 책도 같이 읽고, 따뜻한 밥 한 그릇이라도 정성껏 해먹이면 그게 어디로 가는게 아니고 다 아이에게 남는거였습니다.
    저 자랄때 가난한 한국이었지요. 그래도 공무원 외벌이 빠듯한 살림에도 고구마 삶아주시고, 김치만두 같이 만들고, 송편 같이 빚고...교복은 늘 깨끗하게 빨아 다려주시고..참 어머니 수고가 많았지만 그덕에 어머니가 좀 야단도 치고, 어떨땐 무정하신게 아닌가 치기어린 생각에 그렇게 느낄때도 가끔 있었지만 근본 어머니는 나를 사랑하신다는 그 믿음이 있게 자란것 같아요.

  • 6. 걱정
    '16.3.27 9:09 AM (119.40.xxx.196) - 삭제된댓글

    까페에서 애 안혼내는 엄마들이 이 글 보고 거봐라이러면서 탄력받을까 겁나네요.
    어쨌든 원글님이 언니한테 자꾸 자신감 회복해주세요.

  • 7. 윗님,
    '16.3.27 9:09 AM (175.209.xxx.160)

    맞아요. 저 어릴 때 가난했는데 엄마가 어찌나 알뜰히 잘 보살피고 공주처럼 대해주셨는지 너무 행복했어요. 어느날 부자 엄마가 나타나 사실은 내가 니 엄마다...그래도 키워주신 울 엄마와 살 거라고 생각했다는. ㅎㅎ

  • 8. ...
    '16.3.27 9:47 AM (182.231.xxx.159)

    맞아요..
    가난해도 자식들에게 해줄 수 있는 게 많고..
    또 그게 중요한 거죠.
    깨끗한 옷..따뜻한 눈빛...깔끔한 음식..편안한 집안..
    여기보면 애 키우는데 돈 무지 든다..사교육비도 그렇고
    그러는데..
    정작 중요한 건 다 놓치고 키우는 거 같아요.
    남보기 좋아보이는 옷..사교육..외식...
    오로지 돈으로만 자식들을 키우려니..
    월 천을 벌어도 살기 빠뜻하다..소리가 나오는 거죠.
    정작 아이들이 원하고 좋아하는 건 따로 있는데 말이예요.

  • 9. 나원참
    '16.3.27 10:00 AM (125.191.xxx.99)

    그냥 성격이고 예의를 많이 차리는것일 뿐이예요 기를 못피는게 아니고 앞에 나서기 싫어할 뿐이구요 유산10억에 놀라는 목소리 큰 원글님과 남의 뒷담화 즐기는 유유상종 오지라퍼 학부형들보다 교양있을 뿐이구요 오지랖 떨면서 나대는게 자신감이라 여기신다니 할말이 없네요

  • 10.
    '16.3.27 11:56 AM (1.241.xxx.228) - 삭제된댓글

    그런데 사촌언니가 이모에 대한 반감이 전혀 없나봐요?
    엄마가 전업주부이면서 그렇게 육아에 소홀이 했다면 원망이 많이 들텐데. (전업주부맞나요?)
    제가 비슷하다면 비슷한 경우인데 전 결혼하고 육아하면서 나름대로 고민을 많이하다보니
    부모님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되고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기가 펴졌거든요.

  • 11.
    '16.3.27 12:06 PM (1.241.xxx.228) - 삭제된댓글

    그런데 사촌언니가 이모에 대한 반감이 전혀 없나봐요?
    엄마가 전업주부이면서 그렇게 육아에 소홀이 했다면 원망이 많이 들텐데. (전업주부맞나요?)
    제가 비슷하다면 비슷한 경우인데 전 결혼하고 육아하면서 나름대로 고민을 많이하다보니
    부모님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되고 그러다보니 자연히 그 그늘에서 어느정도 벗어났거든요.
    자신의 문제점을 인식조차 못하고 있거나 그 원인이 어디서 왔는지 몰라서 여전히 그 상태에 머물러있는게 아닐까 합니다만.

  • 12. 음.
    '16.3.27 12:10 PM (1.241.xxx.228) - 삭제된댓글

    그런데 사촌언니가 이모에 대한 반감이 전혀 없나봐요?
    엄마가 전업주부이면서 그렇게 육아에 소홀이 했다면 원망이 많이 들텐데. (전업주부맞나요?)
    제가 비슷하다면 비슷한 경우인데 전 결혼하고 육아하면서 나름대로 고민을 많이하다보니
    부모님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되고 그러다보니 자연히 그 그늘에서 어느정도 벗어났거든요.
    자신의 문제점을 인식조차 못하고 있거나 그 원인이 어디서 왔는지 몰라서 여전히 그 상태에 머물러있는게 아닐까 합니다만.
    그리고 좋은 환경이란 것이 꼭 재정적인 면에 한정된 것은 아니지 않을까요.
    부모님의 사회적 지위, 문화적 소양, 자식에 대한 관심 이런게 사실 더 크다고 생각해요.
    사촌언니 같은 경우는 재정상태를 제외하면 오히려 환경이 나빴다고 볼 수 있을것 같아요.

  • 13.
    '16.3.27 12:12 PM (1.241.xxx.228) - 삭제된댓글

    그런데 사촌언니가 이모에 대한 반감이 전혀 없나봐요?
    엄마가 전업주부이면서 그렇게 육아에 소홀이 했다면 원망이 많이 들텐데. (전업주부맞나요?)
    제가 비슷하다면 비슷한 경우인데 전 결혼하고 육아하면서 나름대로 고민을 많이하다보니
    부모님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되고 그러다보니 자연히 그 그늘에서 어느정도 벗어났거든요.
    자신의 문제점을 인식조차 못하고 있거나 그 원인이 어디서 왔는지 몰라서 여전히 그 상태에 머물러있는게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좋은 환경이란 것이 꼭 재정적인 면보다는 부모님의 사회적 지위, 문화적 소양, 자식에 대한 관심 이런게 사실 더 크다고 생각해요.
    사촌언니네 같은 경우는 돈만 많았던 경우 같고요.

  • 14. 그런데
    '16.3.27 12:25 PM (1.241.xxx.228) - 삭제된댓글

    사촌언니가 이모에 대한 반감이 전혀 없나봐요?
    엄마가 전업주부이면서 그렇게 육아에 소홀이 했다면 원망이 많이 들텐데. (전업주부맞나요?)
    그리고 좋은 환경이란 것이 꼭 재정적인 면보다는 부모님의 사회적 지위, 문화적 소양, 자식에 대한 관심 이런게 사실 더 크다고 생각해요.
    사촌언니네 같은 경우는 돈만 많았던 경우 같은데요. 사촌언니도 문제인식이 약간 안되는 타입같고요.
    보통 그렇게 크다가도 결혼하고 아이 생기면 부모 그늘에서 어느정도 벗어나기 마련이거든요.

  • 15. 리리
    '16.3.27 12:26 PM (1.241.xxx.228) - 삭제된댓글

    사촌언니가 이모에 대한 반감이 전혀 없나봐요?
    엄마가 전업주부이면서 그렇게 육아에 소홀이 했다면 원망이 많이 들텐데. (전업주부맞나요?)
    그리고 좋은 환경이란 것이 꼭 재정적인 면보다는 부모님의 사회적 지위, 문화적 소양, 자식에 대한 관심 이런게 사실 더 크다고 생각해요.
    사촌언니네 같은 경우는 돈만 많았던 경우 같은데요. 사촌언니도 문제인식이 약간 안되는 타입같고요.
    보통 그렇게 크다가도 인생의 어느순간 뭔가 잘못됐다는걸 깨닫고 개선하기 마련이거든요.

  • 16. 그런데
    '16.3.27 12:27 PM (1.241.xxx.228) - 삭제된댓글

    사촌언니가 이모에 대한 반감이 전혀 없나봐요?
    엄마가 전업주부이면서 그렇게 육아에 소홀이 했다면 원망이 많이 들텐데. (전업주부맞나요?)
    그리고 좋은 환경이란 것이 꼭 재정적인 면보다는 부모님의 사회적 지위, 문화적 소양, 자식에 대한 관심 이런게 사실 더 크다고 생각해요.
    사촌언니네 같은 경우는 돈만 많았던 경우 같은데요. 사촌언니도 문제인식이 약간 안되는 타입같고요.
    보통 그렇게 크다가도 인생의 어느순간 뭔가 잘못됐다는걸 깨닫고 스스로 개선하기 마련이거든요.

  • 17. 그런데
    '16.3.27 12:27 PM (1.241.xxx.228) - 삭제된댓글

    사촌언니가 이모에 대한 반감이 전혀 없나봐요?
    엄마가 전업주부이면서 그렇게 육아에 소홀이 했다면 원망이 많이 들텐데. (전업주부맞나요?)
    그리고 좋은 환경이란 것이 꼭 재정적인 면보다는 부모님의 사회적 지위, 문화적 소양, 자식에 대한 관심 이런게 사실 더 크다고 생각해요.
    사촌언니네 같은 경우는 돈만 많았던 경우 같은데요. 사촌언니도 문제인식이 안되는 타입같고요.
    보통 그렇게 크다가도 인생의 어느순간 뭔가 잘못됐다는걸 깨닫고 스스로 개선하기 마련이거든요.

  • 18. 그런데
    '16.3.27 12:28 PM (1.241.xxx.228)

    사촌언니가 이모에 대한 반감이 전혀 없나봐요?
    엄마가 전업주부이면서 그렇게 육아에 소홀이 했다면 원망이 많이 들텐데. (전업주부맞나요?)
    그리고 좋은 환경이란 것이 꼭 재정적인 면보다는 부모님의 사회적 지위, 문화적 소양, 자식에 대한 관심 이런게 사실 더 크다고 생각해요.
    사촌언니네 같은 경우는 돈만 많았던 경우 같은데요. 사촌언니도 자아성찰이랄까 문제인식이 안되는 타입같고요.
    보통 그렇게 크다가도 인생의 어느순간 뭔가 잘못됐다는걸 깨닫고 스스로 개선하기 마련이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3945 저 같은 사람은 결혼 해서는 안 되겠죠? 8 .. 2016/04/03 5,203
543944 투표하고 왔습니다~! 14 zzz 2016/04/03 1,451
543943 급질문)당일 다녀올 수 있는 바다 11 봄봄 2016/04/03 1,717
543942 이리될줄 알았음..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3 .. 2016/04/03 2,788
543941 10억 안팎, 목동 vs잠실 vs대치동vs 개포 9 집장만. 2016/04/03 5,075
543940 초등 자녀들 ** 침대 추천해주세요 *** 그냥 지.. 5 5,7 세 2016/04/03 1,679
543939 네이트 판/월 250으로 사는 여자 29 퍼온글 2016/04/03 19,409
543938 더민당 지지자분들 맞나요 정말 너무 웃기네요 16 너무웃겨서 2016/04/03 1,446
543937 저 대치동사는데 강남잠실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1 강남 2016/04/03 2,478
543936 저는 많은 걸 바란 게 아니었어요 5 바람 2016/04/03 1,521
543935 정청래 트윗 5 당연 2016/04/03 1,423
543934 ~안다만, ~다만... ~다만 체 쓰시는 분들요 19 으음 2016/04/03 2,500
543933 지금 아랫층에서 세탁기돌려요 3 ... 2016/04/03 2,058
543932 사망신고후.....? 6 질문 2016/04/03 2,970
543931 급질문 3 ㅇㅇ 2016/04/03 400
543930 노안수술 부작용 6 ㅜㅜ 2016/04/03 7,467
543929 군포(일)더컸 중 김광진 의원 3 따로 또 같.. 2016/04/03 872
543928 전도연은 왜 누드씬을 찍을까... 47 .. 2016/04/03 35,410
543927 우리 냥이는 왜 살이 안찔까요. 12 은현이 2016/04/03 2,792
543926 결혼계약을 보는데요.. 1 봄날 2016/04/03 1,324
543925 더컸유세단 -진주,창원,김해,양산,부산 일요일 일정입니다 8 일요일(4... 2016/04/03 778
543924 사이로인디고블루라는 색이 뭔가요 2 . 2016/04/03 829
543923 더민주 열세 후보들은 팩트티비 없으면 어쩔뻔 했어요 ㅜ 4 열악 2016/04/03 823
543922 아이 둘 돌봐주는 시터 비용 시간당 얼마로 해야할까요 대학생입니.. 11 2016/04/03 3,110
543921 집간장보관법 문의드려요 3 2016/04/03 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