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금치 어떻게 무쳐야 맛있을까요?

시금치 조회수 : 3,761
작성일 : 2016-01-28 09:42:22

시금치는 주로 김밥이나 비빔밥에 넣어먹는 용도로만 무쳐서

소금이나 참기름만 넣고 먹었는데..

그냥 밥반찬으로 먹으려면 어떻게 양념해야 맛있을까요?

그리고 시금치 데쳐서 찬물에 헹구나요?

안헹구고 물끼 짜려니깐 손이 너무 뜨겁던데ㅠ

IP : 61.74.xxx.243
3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28 9:44 AM (119.197.xxx.61)

    데쳐서 찬물에 좀 우려내요

  • 2. 한마디
    '16.1.28 9:45 AM (117.111.xxx.148)

    조선간장에 무쳐야 제맛

  • 3. 연시
    '16.1.28 9:46 AM (123.213.xxx.216) - 삭제된댓글

    넣다 뺀다 개녕으로 획 데처서 체반에 받쳐 물 뺀후 바로 그릇에 옮겨 찬물로차가워질때까지 씻은후
    꼭 짜서 소금,깨,참기름 넣고
    연두란 조미료 연두색병을 티스푼 한숟갈만 넣고 무치세요.

  • 4. ...
    '16.1.28 9:47 AM (121.157.xxx.75)

    시금치무침은 좀 달콤해야 맛나요
    매실액 있으면 넣으시고 없으시면 설탕 아주 약간 넣으시고
    전 마늘도 넣구요 국간장으로 양념합니다

  • 5. 루리
    '16.1.28 9:47 AM (180.64.xxx.111)

    요즘 시금치가 한창 맛있을 때라 소금 참기름 깨소금만 넣어도 맛있어요.
    전 저 위양념에 다진마늘 다진파 약간 넣고 멸치액젓 살짝 넣어요
    요즘 시금치 반찬은 단맛도 많이 나고 감칠맛이 나서 좋아요^^

  • 6. 제경우
    '16.1.28 9:48 AM (61.102.xxx.238)

    데쳐서 찬물에 헹궈서 꼭짠후
    고추장 매실 고추가루 파마늘 참기름 깨넣고 무쳐요
    심심하면 소금약간넣구요
    전 이양념이 제입에 맞아서 겨울에는 포항초나 남해초로 자주 해먹어요

  • 7. 항상
    '16.1.28 9:49 AM (175.192.xxx.186)

    나물은 국간장, 진간장, 소금, 참기름, 들기름 이렇게 다 섞어요.
    콩나물등 하얀 나물류만 소금으로 간 하고요.
    맛 없어도 이게 본래맛이야 세뇌시키면서 먹으면 괜찮아요.

  • 8. 아.. 요즘 시금치철이군요..
    '16.1.28 9:50 AM (61.74.xxx.243)

    애들 나물좀 먹일려고 보는데 마땅한 나물이 없길래 그냥 시근치를 샀는데..
    어떨때 먹은 시금치가 그렇게 달고 맛있었떤 기억이 있는데 제가 무친건 안그렇길래 양념의 문제인가 했거든요..
    그리고 물에 헹구면 맛이 빠질까봐 뜨거운거 참고 물끼 짜곤 했는데..(한김 식혀도 짜면 안에서 뜨거운물이 나와서요)
    물에 씻는거라니.. 그동안 바보짓 했네요ㅠ

  • 9. 포항초
    '16.1.28 9:51 AM (121.157.xxx.113)

    달큰하니 맛있어요.
    소금 넣고 살짝 데쳐 헹구셔야 열기로 더 익지 아삭하니 좋습니다.
    소금이나 국간장 깨소금 참기름 넣어 무치면 맛있죠.

  • 10. ㅇㅇㅇ
    '16.1.28 9:52 AM (211.237.xxx.105)

    녹색채소는 소금물에 데친후 반드시 찬물에 헹궈야 합니다.
    그래야 색도 살아나고 비타민도 덜 손실됩니다.
    이건 예전 중학교 가사책에도 나옴. 가사시험 단골문제.

  • 11.
    '16.1.28 9:54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시금치 된장에 무쳐 먹어도 되고, 초고추장에 무쳐 먹어도 별미예요.

    최근엔, 볶아서 먹어봤는데 꽤 괜찮았어요.

    그냥 늘상하는 방식으로 무침은 식상해서 변화를 줘 봤는데 훨씬 잘 먹게 되요.

  • 12. ..
    '16.1.28 9:54 AM (210.217.xxx.81)

    섬초로는 데친후에
    들기름이랑 액젓 약간 그리고 설탕 쪼금하면 달달해요~

  • 13. ㅇㅇ
    '16.1.28 9:56 AM (223.33.xxx.7)

    ㅋ 원글님 귀여워요..안 헹구고 물기 짜면 뜨겁죠..아..어떤 상황인지 눈에 선하네요..요즘 포항초 달달하고 맛나요..

  • 14. 시금치
    '16.1.28 9:58 AM (61.74.xxx.243)

    가사시간에 시금치는 소금물에 데치는것까지만 기억나요..찬물에 헹구는건 싹 까먹은듯ㅠㅠ
    그리고 제가 산건 남해초인데..
    포항초랑 남해초랑 맛 차이가 있나보네요?
    또 양념할때 소금만 넣는것보다 여러 간장 넣으면 더 맛있다는 얘긴 들었는데..
    소금 진간장 국간장(없어서 멸치액젓으로 대체할 생각) 동량으로 넣나요?

  • 15. 코스모스
    '16.1.28 10:02 AM (1.251.xxx.247)

    청양고추 고추가루 들기름 조선간장 마늘 요렇게요

  • 16. ...
    '16.1.28 10:04 AM (220.75.xxx.29)

    포항초는 포항초에요. 뿌리가 많이 발그스름하고 아주 달아요.
    저는 그 맛이 싫어서 그냥 시금치를 삽니다. 얘가 좀 더 싸기도 하고요.
    저는 집간장 액젓 참기름 깨소금 이렇게 넣는데 그중 제일 맛 많이 좌우하는게 액젓 같더라구요.

  • 17. .....
    '16.1.28 10:05 AM (221.148.xxx.142)

    쌈장 참기름 깨소금 마늘 넣고 무치면 정말 맛있어요

  • 18. 세상에
    '16.1.28 10:06 AM (182.222.xxx.32)

    여기 요리 못하는 분들 많은듯....
    시금치 꼭 짠후 진간장 마늘 깨소금 참기름 넉넉히
    이렇게 넣으시고 조물조물...정말 달큰히 맛있어요.

  • 19. 딜라이라
    '16.1.28 10:09 AM (1.230.xxx.178)

    감사합니다.시금치 무치는 법 저장해요.

  • 20. .....
    '16.1.28 10:10 AM (110.12.xxx.126) - 삭제된댓글

    시금치는 무르면 맛없어요. 뜨거운 상태에서 짜면 당연히 무르지요. 쓴맛올라오구요.
    뜨거운 물에 10-15초만 데치고 재빨리 차가운물에 헹구셔요.
    꼭 짠 후에 간을 먼저 소금으로 하시고
    다진마늘 참기름만 넣어 무치시면 되요.
    요즘에 시금치가 어찌나 단지 저는 연속으로 시금치만 몇번을 무쳐먹네요

  • 21. ..
    '16.1.28 10:12 AM (121.157.xxx.75)

    저도 원래는 진간장으로 했는데요 국간장으로 바꾸니 뭐랄까 더 깔끔한 맛이예요
    물론 국간장 양은 훨씬 줄여야합니다만
    그리고 매실액이 시금치와 맛궁합이 좋습니다
    액젓은 사용안했는데 댓글들 보니 한번 해봐야겠네요

  • 22. ...
    '16.1.28 10:12 AM (180.230.xxx.163)

    초고추장에 참기름도 조금 넣고 무쳐 보세요. 밥 비벼 먹어도 맛있어요. 꼭 나물로만 드실 것이 아니라 파기름에 볶아 간장이나 굴소스로 간해도 좋고요. 고기나 새우 곁들여 볶으면 중화요리.
    의외로 겉절이나 샐러드로도 맛있는 게 시금치죠. 그냥 살짝 데쳐서 간장 조금 뿌려 드시면 시금치 본연의 맛.

  • 23. ㅁㅁ
    '16.1.28 10:14 AM (175.193.xxx.52) - 삭제된댓글

    각자의 입맛에맞게 해먹는걸 적으신걸텐데
    그걸 또 통틀어 나와 다르다고 요리못하는사람들이라고
    묶어버리시는 분은 ㅠㅠ

    원글님
    결국 모두가 맛있다해도 내입엔 아닌경우가 많은겁니다
    나물무침이든 볶음의 기본이 소금은 깔끔하지만 맛이 부드럽지않고
    국간장은 맛은 깊어지되 색이탁해지고 등등이라
    반반을 택하기도 하고요

    누구는 들기름 좋다지만
    들기름 절대안맞는 취향분도있고

    기본은 참기름에 국간장좋은거면 그게
    답입니다

  • 24. 섬초
    '16.1.28 10:15 AM (122.35.xxx.146)

    포항초보다 더 달아요
    단으로 묶을수 없을정도로
    땅에 쫙 붙어 자라는 모습을 하고 있죠
    국간장,마늘,깨소금,참기름 넣어무쳐요
    맛난 섬초는 간도 많이 할필요가 없네요
    저 개인적으론 액젓넣음 비릿할것 같네요
    진간장은 특유의 끈적한 단맛이 그렇고
    깔끔한 국간장이 어울려요

  • 25. 시금치
    '16.1.28 10:15 AM (61.74.xxx.243) - 삭제된댓글

    들기름 넣는다는 분들이 계시는데..
    들기름은 열에 가하는 요리
    참기름은 무치는 요리에 넣는거 아닌가요?
    혹시 시금치는 참기름보다 들기름에 무치는게 더 맛있나요?? 아님 그냥 개인적인 입맛에 참기름보다 들기름을 좋아해서 넣는건가요??

    근데 문제는 집에 있는 시골에서 짜주신 기름병이 참기름인지 들기름인지 모른다는거ㅋㅋ
    (뚜껑색으로 구분해서 주셨는데 어느순간부터 그냥 똑같은 뚜껑색으로 주시는 바람에 받을떈 무슨 기름인지 들었는데 하도 여기저기서 기름을 주시는 바람에 헷깔린다는ㅠㅠ)

  • 26. .....
    '16.1.28 10:19 AM (110.12.xxx.126) - 삭제된댓글

    들기름이 오히려 열을 가하면 안되요. 냉장고에 보관해야 하구요.
    근데 우리나라는 지져먹을때 들기름을 많이 쓰네요. 시골가면 들기름에 계란도 부쳐먹고 신김치도 지지고....더 싸서 그런지...
    들기름은 참기름에 비해 쎄한 향.. 약간 깻잎향 같은게 있어요

  • 27. ....
    '16.1.28 10:22 AM (175.192.xxx.186)

    둘 다 열 가하기보다는 드레싱이나 나물 무침으로 먹는게 낫지 않나요?
    들기름 발연점이 참기름보다 약간 높기는 하지만 일반 식용유보다는 많이 낮아요.

    어느 유명한 한식요리 전문가가 말씀하시기를 소고기만 빼고
    들기름이 참기름보다 한식에 더 잘 맞는다고 하셔서
    또 오메가3 보충원으로 저는 들기름을 많이 쓰려고 해요.

  • 28. 나물
    '16.1.28 10:27 AM (116.36.xxx.198)

    나물의 기본은
    좋은 국간장(조선간장)과 참기름이지요.
    마른 나물 불린(묵나물이라고 하지요)음식에는
    들기름과 국간장을 많이 쓰구요.

  • 29. ...
    '16.1.28 10:29 AM (1.241.xxx.162)

    시금치 정보 감사해요

  • 30. 좀 무쳐본 여자
    '16.1.28 10:44 AM (119.194.xxx.208)

    시금치 한단 기준으로 국간장이나 액젓 1.5~2큰술 (간이 다 다르니 맛보면서 맞추셔요), 마늘, 참기름(들기름) 넣고 바락바락 세게 무쳐주는
    게 포인트입니다. 첨 먹어볼 때 좀 짭잘하다 싶게 간을 해야 나중에 간이 스며들면서 간이 맞아요. 슬쩍 무치면 나중에 맛 없습니다. 무쳐보면 뽀얀 국물 생기게 무쳐서 드세요. 초보한테도 가르쳐주니 요대로 성공하더이다 ^^

  • 31.
    '16.1.28 1:40 PM (211.210.xxx.30)

    이것저것 다 자신 없으면 맛소금과 참기름에 깨 조금 넣으면 땡이에요. 평균은 되더라구요.
    조미료의 힘!

  • 32.
    '16.1.28 1:41 PM (211.36.xxx.131)

    시금치무침 제가 하면 왜 곤죽처럼 되는지ㅠㅠ

  • 33. 방랑인생
    '16.1.28 1:49 PM (1.234.xxx.35) - 삭제된댓글

    시금치무침

  • 34. 들꽃향기
    '16.1.28 1:51 PM (114.70.xxx.56)

    전 어간장하고 들기름으로 무칩니다

  • 35. 저수분요리
    '16.1.28 4:05 PM (183.99.xxx.110)

    시금치에 뭔 성분이 있어서 꼭 데쳐 먹어야 한다고 들은거 같은데
    그럼 저수분요리처럼 물에 데치지 않고 먹으면 안되는건가요?
    아님 뚜껑 닫고 저수분요리로해서 물로 헹구면 데치는거랑 결과가 같아지는 건가요?

  • 36. 늙은 언니
    '16.1.28 4:11 PM (42.148.xxx.154)

    시금치를 뿌리를 잘라내고 이파리와 줄기로 2등분해서 물이 끓을 때 줄기 부분을 먼저 넣고 조금 있다가 이파리를 넣고 젓가락으로 휘 돌린 다음 끓는 물에 헹구는 기분으로 데쳐냅니다.
    찬물에 씻은 다음 김마는 김발에 쪽쪽 펴서 놓고 김말 듯이 만 다음 쪽 짭니다.
    양념할 때도 너무 이리저리 꼭꼭 주물러 하지 말고 살살 펴듯이 하면 시금치가 뭉치지 않고 좋아요.
    이파리가 넓으면 반으로 잘라서 해도 됩니다.
    시금치 뭉친 것 펴는 것도 일인데 이렇게 하면 별로 뭉치지도 않고 또 길다고 생각이 되면 김발에 짠 것을 그대로 자르면 되니까 손이 덜가는 것 같아요.
    그리고 줄기가 굵은 것 같은면 삶기 전에 세로로 길게 잘라서 나누면 됩니다.

  • 37. 시금치
    '16.1.28 4:18 PM (59.9.xxx.6)

    살짝 데쳐서 스금.후추 뿌려 스크램블 애그에 섞어 먹어요. 이평범한 사양식 반찬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5005 명절선물로 계란 좀 생뚱 맞나요? 157 ... 2016/02/03 14,836
525004 만두에 넣을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섞나요? 3 음. 2016/02/03 1,102
525003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진짜 궁금해요 11 물론 2016/02/03 3,194
525002 동대문쪽 물리치료 잘하는곳좀 알려주세요 불효녀 2016/02/03 359
525001 정부지원 전혀 못 받는다면.. 놀이방 비용이 어느정도 될까요.... 놀이방 비용.. 2016/02/03 386
525000 하루4시간반, 주3회 출근에 적당한 급여는 어느정도일까요? 7 상담 2016/02/03 1,952
524999 회는무슨맛인가용 ㅠ 29 회녀자 2016/02/03 4,438
524998 어느과로 가야할까요? 커피나무 2016/02/03 430
524997 사고력수학 꼭 필요한가요 1 ... 2016/02/03 1,859
524996 뭔가 권태로운 분들께 영화 추천해요. 1 호롱이 2016/02/03 1,098
524995 갑자기 씽크대 배수구가 막혔어요 6 처음 2016/02/03 2,635
524994 70년대 정윤희씨도 성형으로 완성된거 아닌가요? 13 성형미인 2016/02/03 7,209
524993 느끼한 음식 너무 좋아하시는 분 있나요? 12 2016/02/03 2,445
524992 세월호659일) 미수습자님들이 바닷 속에서 나와 가족들 꼭 만나.. 13 bluebe.. 2016/02/03 399
524991 수학 문제집 한장 푸는데 하루종일 걸리는 딸 7 미치겠음 2016/02/03 1,929
524990 고양이와 함께 1년 14 냐옹냐옹 2016/02/03 2,913
524989 감기기운있는데 대장내시경 괜찮나여? 1 ㅠㅠ 2016/02/03 2,909
524988 유산균 드시고 피부에 효과 보신 분 계세요? 1 피부 2016/02/03 1,546
524987 장기 결석 학생 전수 조사 결과가 속속 나타나네요 6 ........ 2016/02/03 1,854
524986 과학(화학) 잘하시는분 꼭좀 봐주세요 ㅠㅠ 4 28 2016/02/03 1,247
524985 급질문이요ㅜㅜ엄마가 3,500만원 빌려주고 300만원 짜리 가계.. -- 2016/02/03 1,518
524984 본적이..제가 태어난 곳을 말하는 건가요? 7 ,,,, 2016/02/03 4,324
524983 백화점 닥스코너에서 포장박스 안팔겠죠? 2 ... 2016/02/03 1,827
524982 박대통령, "피를 토하면서 연설해 법 통과 시키세요" 12 허걱 2016/02/03 1,675
524981 승무원들이 쓰는 화장품 아시는분? 6 .... 2016/02/03 5,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