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육개장을 끓이려 합니다

맛있어 조회수 : 3,182
작성일 : 2014-10-20 19:09:54
지금 호주산 양지 400g 물에넣어 무,마늘,대파랑 육수내고 있구요

재료는 토란대 200g, 고사리 200g, 느타리버섯 400g, 숙주 500g이랑 대파 넣을거예요.

버섯이랑 숙주를 좋아해서 좀 많이 넣을건데요
양념 비율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고춧기름은 안 쓸거구요.
물 양이랑 양념 레시피 좀 부탁 드릴께요.♥
IP : 180.71.xxx.30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
    '14.10.20 7:10 PM (180.71.xxx.30)

    무도 좀 썰어넣을까요?

  • 2. 그리고
    '14.10.20 7:11 PM (180.71.xxx.30)

    버섯이랑 대파는 안 데치고 써도 되나요?

  • 3. ㅇㅇㅇ
    '14.10.20 7:15 PM (211.237.xxx.35)

    근데 양지 400그램가지고 그리 맛있는 국물이 나올것 같진 않네요.
    멸치 다시내서 쓰세요. 멸치 다시낸 국물에 양지 넣는거죠.
    양념 비율은 뭐 재보고 쓴게 아니라서 각자 입맛대로 해야하지 않겠어요?
    양지에 기름기가 많아서 양지를 미리 삶아서 기름 거둬낼게 아니면
    고추기름 안써도 됩니다.
    국물에몇숟갈떠서 고춧가루 풀어놨다가 불려서 넣어도 고추기름 넣은양 기름이 쫌 뜨긴 할겁니다.
    국간장하고 소금으로 간하시고요.
    마늘 다진것좀 넉넉히 넣으면 될듯 하네요.
    채소들 전부 데쳐서 고춧가루 국간장 소금으로 조물조물 양념해서 넣으면 더 맛있긴 한데
    번거롭죠. 아무래도..
    번거로움에 비해서 맛의 차이는 좀 적고요.
    그러니 그냥 넣으셔도 됩니다.

  • 4. ..
    '14.10.20 7:16 PM (114.207.xxx.11)

    버섯, 대파는 살짝 데쳐서 손으로 죽죽 찢으세요.
    숙주도 살짝 데치시고요
    저는 무는 안 넣어요.
    고사리도 식구들이 안먹어 저는 안 넣어요.

  • 5. 그래도
    '14.10.20 7:17 PM (180.71.xxx.30)

    대충 양념 양 좀 알려주세요~

  • 6. 숙주는
    '14.10.20 7:18 PM (180.71.xxx.30)

    데쳐야 될것 같은데
    버섯이랑 대파는 안 데치고 넣으면 맛이 다른가요?

  • 7. ㅇㅇㅇ
    '14.10.20 7:22 PM (211.237.xxx.35)

    안데치고도 넣어봤고 데치고도 넣어봤는데
    숙주경우는 안데치고 넣는게 더 아삭하고 맛있었어요.
    숙주 데쳐서 넣으면 뭐랄까 섬유질만 남아요.
    버섯 대파도 그냥도 넣어보고 데쳐서도 넣어봤는데
    그냥 넣든 데쳐서 넣든 식감의 차이는 별로 없고
    오히려 데쳐서 양념을 조물조물 해서 넣는건 조금 다르긴 했습니다.
    양을 얼마나 잡을지 몰라서 양념은 뭐라 말씀 못드리겠어요.
    고춧가루 다진 마늘 소금 국간장 정도 들어가는데
    다 취향껏이거든요 사실..
    조금씩 넣어봐서 맛이 덜하다 싶으면 조금 더넣고 하는식인거죠;;
    무도 넣어도 시원합니다.

  • 8. ..
    '14.10.20 7:23 PM (114.207.xxx.11)

    대파는 안데치니 미끄덩거려요.
    버섯도 안 데치니 특유의 냄새가 안가셔요.

  • 9. ..
    '14.10.20 7:26 PM (58.228.xxx.217)

    육계장 엄청 쉽게 하는 법 자게에 한번 올라왔었는데..
    쉽게쉽게 만드세요.. 힘들여 만드나 쉽게 만드나 먹어보면 별 차이 없어여.

  • 10. ㅇㅇㅇ
    '14.10.20 7:28 PM (211.237.xxx.35)

    대파 미끄덩거린다고 하는데
    솔직히 푹 끓이면 하나도 미끄덩거리지 않습니다;;;

  • 11. Es
    '14.10.20 7:33 PM (125.186.xxx.28)

    편하게 하세요.윗분말씀대로요.숙주도 그냥 넣는데 영양손실없고 대차,버섯도 안데치고 걍 넣어도 맛있었어요.토란,고사리는 손질해서 대처 넣고 요.

  • 12. 제이
    '14.10.20 7:39 PM (175.121.xxx.70)

    그런데 숙주랑 버섯 넘 많은 거 아닌가요? 그 정도면 숙주 2봉지 버섯 2팩인데..
    좋아하신다니 많이 넣으시겠지만 고기랑 비율을 어느정도 맞춘다고 봤을 땐 좀 많은 거 같아요. 고기가 얼마 안되서 국물을 많이 잡기도 이상할 것 같은데 제 기준엔 건더기가 넘 빡빡할 것 같아요.

  • 13. 한꺼번에 다 넣고 끓여요.
    '14.10.20 7:46 PM (39.115.xxx.6)

    토란대는 잘 삶아서 물에 하루종일 담가야되요.
    대충 담가 국에 넣었더니 독성이 안빠졌는지 목구멍이 간지러워서 혼났는데 끓인것이 아까워 그래도 다먹었었던 기억이 있어요. 그 후 토란대는 안넣고 고사리 삶은 것을 많이 넣습니다.

    저는 큰 곰솥에 고기를 아예 먹기좋게 잘라서 고사리 잘 삶아 다듬은 것, 콩나물 이나 숙주나물 중 한가지, 표고, 느타리버섯,무 등등 재료 있는대로 넣고 파뜸뿍, 마늘 다진것 적당량, 고추가루, 국간장 한꺼번에 다 넣고 푹푹 끓여요.
    먹으면서 솥에 남은 국에 계속 파, 팽이버섯, 느타리, 콩나물 더 넣어서 푹푹 끓여가면서 일주일쯤 먹어요.
    식구들이 얼큰한것 먹고싶어 할 때 쉽게 한 솥 끓여요.

  • 14. ...
    '14.10.20 7:47 PM (125.138.xxx.60)

    칼칼하고 얼큰한맛 좋으시면 청양고추 필수입니다~

  • 15. 대파는
    '14.10.20 7:57 PM (119.70.xxx.159)

    살짝 데쳐서 찬물 헹궈 넣으세요.
    그냥 넣으면 좀 들큰하다고 해야하나..?

  • 16. 하이
    '14.10.20 8:01 PM (220.76.xxx.23)

    육개장은 고기를 찬물에담가서 한시간정도 담가핏물재거하고
    물팔팔끓으면 고기를넣어야합니다 그래야 국물도깨끗하고
    핏물이나오지 않아요 고기도 부드럽고 알고나해야지요
    호주산 양지가 맛있으려나 모르겠네요 나는 호주산으로 안해봐서.

  • 17. 흐흐흐
    '14.10.20 8:12 PM (180.71.xxx.30)

    뭐가 문젠지 모르겠지만 망친것 같아요 ㅋㅋㅋ
    고기에 비해 건더기가 많은것 같대서 숙주 데친물을
    육수에 보태서 끓였는데 맹탕 이네요
    고춧가루3, 국간장3, 액젓1, 마늘1, 후추 넣고 버무렸는데
    맛이 안나서 연두도 좀 넣어보고 소금도 넣었는데요
    약한불에 푹 끓여야 하는건가요?

  • 18. dd
    '14.10.20 8:13 PM (118.220.xxx.196)

    한우 양지 좋은 걸로 푹 끓여야 국물이 맛있어요.

  • 19. ..,,
    '14.10.20 8:23 PM (14.39.xxx.190) - 삭제된댓글

    저도 국물 낼때는 한우만 써요.
    굽거나 볶거나 다른 요리를 할때는 호주산도
    괜찮은데 국물은 한우가 구수하더라구요.

    한우 양지 300g, 사태300g 사서
    한솥씩 끓여요.

    혹시 고기에 비해 물 양이 많은건 아닌지요??

  • 20. 육개장
    '14.10.20 8:47 PM (116.121.xxx.225)

    고기가 부족해요 고기량이 저거 두세배는 되야 해요.
    푹 고은 고기 살짝 식혀 결대로 찢어서 양념하세요.
    고기양념은 마늘 간장 소금 고추가루 후추 참기름이요. 양보시고 한바퀴식 두르면 될 거에요 고추가루는 두배 정도.
    그걸 야채랑 같이 넣고 끓여요 그리고 국물 간 보충 합니다. 된장이나 고추장 한 술 넣어도 되구요.

  • 21. 그래도
    '14.10.20 8:51 PM (180.71.xxx.30)

    어찌어찌 간 맞추고 맛있게 잘 먹었습니다.ㅎㅎ
    고기가 정말 작았나 봐요
    참기름도 들어가나봐요?

  • 22. 11
    '14.10.20 8:51 PM (183.96.xxx.56)

    고기 부족해요~~

  • 23. 저희집은
    '14.10.20 8:51 PM (180.71.xxx.30)

    참기름은 없고 들기름만 있는데요

  • 24. 육개장
    '14.10.20 8:54 PM (116.121.xxx.225)

    아 기름은 안 넣으셔도 되요. 저같은 경우 항상 고기가 좀 남아서 양념해놓고 국에 넣고 좀 덜어놓거든요 나중에 반찬으로 그냥 먹어요 ㅎ

  • 25. 고기 한근
    '14.10.20 10:40 PM (180.66.xxx.254) - 삭제된댓글

    육수 낼 때 적어도 고기 한근은 넣으셔야 돼요.
    400g은 그냥 소고기 무국 가볍게 끓여드신다 생각하심 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1844 소비지원금으로 요양원비 결제할수 있나요? 소비 18:19:18 12
1741843 에고 더워라 ㅜㅜ 1 ........ 18:16:48 117
1741842 초고도비만 다이어트, 도와주세요 도와주세요 18:16:22 103
1741841 최은순 내연남 김충식딸의 양심고백 ㄱㄴㄷ 18:14:41 340
1741840 한국인들이 스위스 좋아하는 이유가 7 18:13:55 321
1741839 인덕션쓸때마다 에어컨꺼야되네요 4 운빨여왕 18:13:04 287
1741838 이상민 과연 구속될까요. 3 .. 18:09:32 240
1741837 광복80년 전야제 라인업 4 두근두근 18:08:45 246
1741836 윤 같은 인간이 왜 대텅령 되었나했더니만 5 ㅇㅇ 18:08:11 420
1741835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quo.. 10 .. 18:03:27 347
1741834 롱샴 스몰 무슨색 살까요 지안 18:01:46 147
1741833 헬기 늦게 뜬게 9 jhhgf 18:01:20 675
1741832 압구정재건축,1만제곱미터 추가 9 17:56:31 864
1741831 집 내놓고 이사 예정인데 에어컨이 고장났어요.. ㅠㅠ 10 나름 17:54:00 657
1741830 아까 아가냥 입양관련 글올렸던 사람인데요 5 이번엔 17:53:39 301
1741829 매미와 잠자리 1 여름은 간다.. 17:52:33 160
1741828 만약 50억이 생겨 학군 필요없는 서울에 집을 산다면 10 상상 17:51:05 924
1741827 50초반 알약 먹기가 힘드네요 5 ... 17:50:12 306
1741826 내이럴줄(주식) 4 ... 17:47:34 1,022
1741825 요즘 SKY공대생도 휴학 많이하나요? ..... 17:46:30 279
1741824 한미 관세 협상에 日누리꾼 반응 5 에어콘 17:43:30 1,151
1741823 아이스 아메리카노 마시고 싶어서 미치겠어요. 8 음.. 17:41:49 933
1741822 학원과 과외병행해도 효과없는 경우 있겠죠? 1 땅지 17:41:22 128
1741821 아들 사진 자꾸 보내는 동생.. 27 . . 17:39:21 1,839
1741820 늙는다는 건 자기가 늙는 걸 바라보는 일이라는데 맞나요 8 17:38:02 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