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1아이 국어가 안되는데 학원보내야할지

갈등되요... 조회수 : 2,318
작성일 : 2014-10-09 09:41:12

아직 중1이라 더 지켜봐야하나 어떻게 해야하나 싶어서요...

이번 중간고사 학교 내신 국어가 70점대예요...

쉽게나왔을때 80점대 중반이였구요.

공부를 안하고 시험보는거도 아닌데 국어감이 떨어지는 아이로 봐야할지

난감해요...

초등시절 독서도 정말 열심히 했던아인데

중학와서 국어에 발목잡힌다고 생각도 못해봤거든요...

지금까지봤을때 수학은 학원 전혀 다니지 않고도 만점아니면 1개정도 틀리고 심화문제도 잘풀어내고 그렇거든요...

1학기 수학도 학교에선 3% 들었구요...

영어도 수학만큼은 아니지만 그럭저럭 하는편인데 국어가 안되는데 어찌해야되나 싶어요...

학원을 보내기는 해야할듯 싶은데 언제가 적당할지요?

IP : 59.23.xxx.15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국어는
    '14.10.9 9:55 AM (183.102.xxx.20)

    점수만 보고 아이의 국어가 어느 정도라고 확언하긴 힘들지만
    학원 중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게 국어과목이예요.
    국어는 사교육이 필요없다는 게 아니라
    학원 강의로 도움이 안되는 게 국어과목이라는 거죠.

    국어는 학생과 가르치는 사람과의 대화가 필요한 과목이거든요.
    아이가 정답을 썼다고 해서 그걸 정말 알고 쓴 것인지 찍은 것인지 아니면 엉뚱한 추론으로 답을 낸 것인지 학생의 이야기를 들어볼 필요가 있어요.
    그래서 학생의 추론을 듣고 가르치는 사람이 오류를 정확히 집어내는 작업이 필요해요.
    그러면 국어는 금방 성적이 올라요.
    그러니 학원보다는 개인과외나 소수 그룹과외 형태가 적합하죠.
    국어는 어렵게 출제하려면 한없이 어려워지기도 하고 반대일수도 있는데
    아이들이 국어를 너무 만만히 보고 쉽게 공부한다는 게 함정인 것 같아요.

  • 2. 제인에어
    '14.10.9 10:04 AM (119.195.xxx.238)

    고등국어과외 하는 사람인데요. 학원 보내기 전에 어머니가 붙들고 좀 해보셨으면 싶네요.
    어휘가 부족한 아이라면 책을 많이 읽게하되 책을 정말 제대로 읽는지 체크해보시구요. 읽은 권수보다 한권이라도 바르게 읽는게 중요해요. 짧은 칼럼기사 읽고 내용을 엄마한테 설명해달라 해보시면 알 수 있어요. 맥락을 제대로 얘기하는지 빠짐없이 내용을 얘기하는지.

    어휘와 읽기의 문제는 평소에 죽 관심가지고 지도해주시고요.
    시험때는 결국 꼼꼼함이 관건이거든요. 참고서 같이 보시면서 체크포인트 같이 짚어보세요. 아이가 정확히 기억하고 있는지 확인해가면서요.

    이 모든걸 다 했는데도 점수가 안나오는 아이는 문제푸는 방법을 모르는거예요. 문제를 많이 풀게하되 여기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요.
    틀린문제를 다시 보게 하면서 정답이 뭔지를 가르쳐주는게 아니라요. 왜 틀린답을 골랐는지. 아이의 이야기를 충분히 들으셔야 해요. 이 때 아이가 문제를 틀렸다는 데에 대한 부끄러움이나 엄마한테 혼날것 같은 두려움이 있으면 솔직한 얘기를 안해요. 틀린게 이상한게 아니고 틀린문제를 통해 발전할수 있다고 충분히 얘기해주시면서 아이 얘기를 들어보세요. 그러면 아이가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는지 어떤방식으로 오해해서 틀리는지. 그걸 알아내서 바꿔줘야 합니다.

    어휘력과 독해력은 평소 습관으로 해결.
    문제를 제대로 못푸는건 아이의 사고과정에 깊이 개입해서 고쳐줄수 있는 사람의 지도가 필요.
    꼼꼼히 공부하기는 학원의 도움을 받아도 되요.
    하지만 학원공부만으로는 한계가 있겠죠.
    문제풀이 교정이 수능대비에도 제일 중요한데
    중학생이면 부모님도 충분히 하실 수 있을듯해요.

  • 3. 제인
    '14.10.9 10:20 AM (222.232.xxx.140)

    님 글 좋아요

  • 4. **
    '14.10.9 10:22 AM (223.62.xxx.55)

    좋은 댓글들 저도 참고 할게요.
    고맙습니다.

  • 5. 감사
    '14.10.9 10:24 AM (114.205.xxx.114)

    제인에어님 댓글이
    국어 못하는 중딩 딸 둔 제게도 큰 도움이 되네요.
    고맙습니다.

  • 6. ^^
    '14.10.9 10:47 AM (59.23.xxx.150)

    제인에어님 댓글 감사해요^^

  • 7. 전직 언어강사
    '14.10.9 11:43 AM (39.7.xxx.69)

    저도 그랬어요.
    중학교때 국어 70점 맞았는데
    고등학교가니 언어 늘 다맞았어요.
    책읽는거 좋아하는 아이라면 너무 걱정 안 하셔도 돼요.
    저 공부에 큰 뜻을 품지 않았던 앤데 다른과목
    체육 빼고 늘 백이었는데 국어만 70 ㅎㅎ
    기초지식이 부족해서 혹은 생국에서 많이 틀리는거면
    국어에서 많이 쓰는 단어들. 복선이라든지 그런거 좀 외우라하세요.
    전 황순원소나기 복선. 고등학교때 이해했어요.
    내가 읽는 책이 빨간줄 긋고 이런뜻. 이라고 외워야 점수잘받더라고요;;;;
    시험은 말그대로 시험. 국어는 특히 내가 받아들인 뜻이 아니라 학교에서가르치는뜻으로 외워야해서 더 어렵더라고요.
    전 학교다닐땐 교사용 받아다 그냥 읽었었고요.
    완자 요즘도 나오는 지 모르겠는데 십년전엔 그거 보라고
    그거보면 학원안다녀도 된다고 했었어요

  • 8. 나나나
    '14.10.9 1:04 PM (121.166.xxx.239)

    인강도 좋아요. 저희애는 수박씨 듣고 거의 백점 받아 왔어요. 중학교 삼년 내내요. 중학교 인강은 수박씨 보다 엠베스트가 더 인기이기는 해요. 그런데 샘플 강의 듣고 저희애가 수박씨 강사를 골랐어요. 이건 애들보다 좋아하는 선생님이 다 다르니까 직접 보고 고르게 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다만 인강의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요, 인강을 듣는척 하면서 컴퓨터로 놀거나 집중을 안할 경우, 그냥 때려치는게 좋아요. 저는 인강 들을때마다 옆에서 지켜보고 있었어요.

    그리고 교과서를 아예 외우게 시키세요.

  • 9. 나나나
    '14.10.9 1:05 PM (121.166.xxx.239)

    애들보다....오타에요. 애들마다

  • 10. ..
    '14.10.9 3:21 PM (175.212.xxx.225)

    국어공부 저장해요.

  • 11. ㅇㅇ
    '14.10.9 3:53 PM (223.62.xxx.90)

    100% 서술형으로 나오니까 진짜 어려운게 국어가 되더라구요. 저희 아이 학교는 100%서술형으로 나오고 단답형문제도 하나도 없이 나왔는데 점수도 역시 멘붕이네요. 영어 수학은 100점인데 국어가 50점대예요.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제가 문제를 풀어봤지만 답을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더라구요. 게다가 외부지문에서 나온거도 많고.. 진짜 요즘 국어때문에 고민이예요.

  • 12. ....
    '16.6.17 11:08 AM (182.210.xxx.200)

    좋은글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6614 해운대 근처 맛있는 맛집 알려주세요 11 부산여행 2014/10/16 1,758
426613 18주인데 태동이 엄청나요...태어나도 이럴까요? 8 으헉.. 2014/10/16 4,012
426612 아파트 실거래공개된거 보니...별것도 없네요. 20 8~9월 2014/10/16 4,089
426611 잘때마다 식은땀흘리는데.. 추운데서있은.. 2014/10/16 1,175
426610 쇼윈도우 부부 그만하려구요 7 이제 2014/10/16 6,887
426609 남의돈 아까운걸 모르는사람 8 과소비 2014/10/16 2,446
426608 부모님장례후 조의금 어떻게들 하시나요? 10 타이레놀 2014/10/16 6,170
426607 보세옷집인데 가격이 비싼건 뭘까요? 8 보세옷 2014/10/16 3,610
426606 영국 나갈 때 한국 고구마 가져가도 될까요? 8 궁금 2014/10/16 1,589
426605 단통법 논란에 대한 견해 길벗1 2014/10/16 591
426604 유흥업소 이사 석씨 소개, 이병헌과 포옹 이상의 것을 나누는 깊.. 13 이쎅서 2014/10/16 18,958
426603 최신 82유머 1 카카오턱 2014/10/16 711
426602 술 좋아하시는 분들 기억력 어떠세요? 7 . 2014/10/16 1,495
426601 중랑구,노원구 수학과외 선생님 계실까요? 2 수학때문에 2014/10/16 788
426600 [세월호 진상규명] 오늘자 신문으로 알게 된 상식들 - 퍼옴 1 청명하늘 2014/10/16 568
426599 울쎄라 레이저 받아보신분 계세요?? ㅇㅇ 2014/10/16 2,256
426598 홍합 오래 보관할수있는방법있을까요 1 ㅂㅈㄷㄱ 2014/10/16 6,757
426597 지금 홈쇼핑파는 요거트제조기 4 손님 2014/10/16 1,426
426596 선고에서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 벌금 얼마면 3 TT 2014/10/16 503
426595 생존학생, 쉬는 시간이면 친구의 빈자리 앞에서…운다… 9 샬랄라 2014/10/16 1,969
426594 아이패드 지문방지필름 붙이고 싶은데 3 ... 2014/10/16 406
426593 영어학원 보내서 양을 늘리면 나아지려나... 3 아로마 2014/10/16 923
426592 김성령 최근 사진 1 ..... 2014/10/16 2,532
426591 의사들 자뻑 때문에 병원가기가 겁나요 27 .... 2014/10/16 6,612
426590 초등 아이들 미니어쳐 만들기 많이들 하나요? 7 초등학생 2014/10/16 1,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