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에어컨 전기요금 얼마나 추가되세요?

궁금 조회수 : 4,167
작성일 : 2014-09-19 15:59:06
지금 쓰는 에어컨이  최소 10년이상 된 삼성 벽걸이 6평형이에요.
에너지 효율은.. 1등급 4등급 이런 등급이 나이고 그냥 다소 높음?이라고 나와있구요.
평소 전기요금은 3만 5천~4만원정도 나오는데(에어컨 가동전 평균)
한참 더울때 저녁 6시부터 새벽 3~4시까지 27도 절전모드로 20~25일?정도
에어컨을 가동했더니 전기요금이  19만원까지  나오더라구요.
저는 재택근무라 집에서 일하는데 낮엔 땀뻘뻘 흘리며 선풍기로 버티고,
저녁에 신랑올때되면 집 식히느라 퇴근하자마자 6시에 틀어놔요. 신랑이 더위를 많이 타서..
낮에 너무 힘들땐 그냥 아이스팩 수건에 싸서 등에 대고 일하구요ㅠㅠ
밤에 몇시간씩 틀어도 6평형이라 그 주변만 시원하고 집이 전체적으로 시원해지진 않더라구요.
여름지나니 에어컨 가격이 많이 내렸고 10년넘은 에어컨도 많이 노후되었는지 클린서비스 받아도
냄새가 심해서 봄이 오기전에 11평형 벽걸이로 구입할까 하는데 에너지효율 1등급이면 
전기요금이 얼마나 나올까요? 절전모드 위주로 사용할껀데..
여름되서 에어컨틀면 보통 얼마씩들 더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전에 직장동료가 하루 20시간 절전모드로 한달간 사용해도 전기세 6~7만원 더나온다고  
말하는걸 듣고 충격이었어서^^
전기요금계산이나 이런거에 약해서 많은 주부님들의 실질적인 경험이 궁금하네요^^
에어컨은 언제 구입하는게 가장 저렴할지, 전기세는 얼마나 나오는지..등등
도움될만한 정보있으심 조언 부탁드릴께요.

감사합니다^^
IP : 116.34.xxx.14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4.9.19 4:01 PM (211.237.xxx.35)

    글쎄요..
    올해는 아니지만
    대략 6년전쯤 산 6평형 캐리어 벽걸이 에어컨 27도 절전모드로 거의 24시간 한달내내 켠적 있는데..
    (한 2~3년전인가? 몇년전에 오지게 더운 여름있었죠?)
    평소 2~2만5천 나오던 저희집전기요금 5만 몇천원 나오더군요.

  • 2. 우와
    '14.9.19 4:05 PM (116.34.xxx.14)

    거의 한달내내 24시간 틀었는데 그거밖에 안나왔다니..
    역시 에어컨의 문제였군요ㅠㅠ

  • 3. 우리집도 15년된 휘센6평형
    '14.9.19 4:05 PM (1.254.xxx.88)

    그게...사용하는 집의 평수에 따라서 전기료가 확 차이가 나는데요.
    24평 에서는 3만원? 정도....모든 전기료 다 합쳐서 말하는거임.
    33평에서는 4만5천원 정도...26도에서 아침 7시부터 새벽 4시까지...
    지금 있는 43평에서는 20도로 아침 7시부터 새벽 4시까지 한달간 돌리면 17만8천원 정도....근데 올해는 글쎄 10만원만 나왔어욤. 엄청 선방 했지욤.

    전기 세 이닙니다. 전기료 입니당...

  • 4. ^^
    '14.9.19 4:08 PM (116.34.xxx.14)

    그렇군요^^ 본문내용 전기요금으로 수정했어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5. 글쓴이
    '14.9.19 4:11 PM (116.34.xxx.14)

    아.. 저희집은 20평도 안되는 작은 집이에요^^
    훨씬 평수 넓은 집에서도 전기요금이 그리 많이 나오진 않는군요...에공
    역시 에어컨을 바꿔야겠네요.

  • 6. 옆집
    '14.9.19 4:15 PM (121.125.xxx.47)

    옆집은 벽걸이 에어컨 오후 3시부터 밤새 켜서 아침에 끄는데 도대체 전기요금이 얼마나
    나오려나 궁금해서 그 집 전기요금 고지서 훔쳐본 적이 있습니다.
    그렇게 켜고도 꼴랑 평소 나오던 요금에 2만원 더 나오는거 보고 그 다음부터 우리집도
    벽걸이 에어컨 달아서 실컷 쓰면서 삽니다. 저는 오후 2시경부터 밤 12시까지 켜는데
    평소 요금에 15,000원 더 나옵니다. 벽걸이 5등급 6평형으로 거실겸 부엌과 안방 하나
    시원하게 여름 보냅니다.

  • 7. 헐...잠깐만요 원글님.
    '14.9.19 4:16 PM (1.254.xxx.88)

    우리집 쓴 사람인데요..
    33평에서는 월 평균 1만4천원~6천원 전기료 냈었어요.
    43평도 평균 2만7~8천원 선 입니다.

    원글님네 에어컨 문제가 아니에요....평균 전기료를 낮춰야 할 거에요....

  • 8. ...
    '14.9.19 4:18 PM (180.229.xxx.175)

    저도 올해 에어컨 두번 틀었는데 얼마나 더 나오려나 기다리는 중이에요~

  • 9. ...
    '14.9.19 4:32 PM (119.148.xxx.181)

    집 자체가 에어컨 켜기 전 온도가 달라요.
    30도인 집에서 27도로 냉방하는 거랑, 33도인 집에서 27도로 냉방하는 거랑 다르지요.
    주택이 단열이 약해서 아파트보다 더 덥고요..고층, 유리창 많은 집, 맞바람 안 치는 집 등등...
    그리고 낮에 안 켜다 밤에 켜면 에어컨이 더 열심히 돌아야 해요.
    원글님이 참은 것에 비하면 전기료 절감 효과는 별로 없을지도.

    평소 전기는 300와트 정도 쓰는 것 같고, 19만원 까지 나왔으면 아마 거의 600와트 썼을거에요.
    그러니 에어컨으로 추가된게 300와트인데..많이 나오긴 하네요.
    게다가 올 여름은 덜 더워서 에어컨도 덜 켠 편이거든요.

  • 10. .....
    '14.9.19 4:36 PM (118.32.xxx.13)

    저희랑 사정이 비슷하네요.
    저도 재택근무이고 20평정도 되는데요

    10년이상 쓰던 에어컨 작년에 바꿨는데요
    제가 더위를 엄청타는 스타일이라 거의 하루종일 틀었구요

    보통 3만오천원정도 나오던 전기요금이 저번달이랑 이번달 5만원정도로 나왔어요

    그런데 핵심은 냉방이 아니라 제습으로 틀어놔도 덥지 않아서 주로 제습으로 사용했어요

  • 11. 글쓴이
    '14.9.19 4:40 PM (116.34.xxx.14)

    저희집이 빌라 꼭대기고 베란다가 넓어고 통유리라 해가 많이 들어 더 더운것도 있어요ㅠㅠ
    평균 전기료도 낮추고자.. 전기밥솥도 아예 안쓰고.. 신랑 퇴근전까진 티비도 안틀때가 많아요.
    컴퓨터는 집에서 일을 하니.. 어쩔 수 없이 한달 20일 하루 9시간 정도 사용하구요,
    정수기 온수도 꺼놓고, 가전제품은 정수기, 김치냉장고 작은거, 세탁기, 티비, 냉장고, 전자렌지쓰는데
    모두 에너지효율 1등급이고.. 전자렌지 같은건 안쓸땐 코드 뽑구요.. 그런대도 한달 평균 4만원은 나와요.
    충격이네요.. 43평 전기요금이 3만원도 안되다니.. 아 슬프네요.

  • 12. 79평 아파트
    '14.9.19 4:56 PM (119.70.xxx.71)

    거실 확장된 집에 거실에 스탠드형 1 대, 용량은 정확히는 모르는데 젤 센건 아니구요,
    캐리어 6평 짜리 2대 각각 매일 12 시간 정도 온도는 24에 고정 해놓고 지냈는데 22만원 나왔어요,
    평소에는 10-12 만원 정도 나왔구요. 에어컨은 3대 모두 5 등급 이예요.

  • 13. 행복이네
    '14.9.19 5:04 PM (220.120.xxx.108)

    저희는33평 아파트구요
    스텐드에어컨18평형 에어컨 써요
    평상시28도로맞추고 평균12시간 풀가동해요
    넘추울때는29~30도 정도로맞춰요
    올4월에에어컨바꿨는데 전기요금확줄었어요
    6월달13000원
    7월달11000원8월달은16800 원나왔네요
    지금이9월이라 전달에쓴요금이 오늘고지서가나왔더라구요
    에어컨 인버터가요금이엄청 적게나오더라구요
    저희는초등딸포함 3식구예요
    방학동안 친구들 불러 동네사랑방이라 에어컨풀가동해도 평상시보다3000원정도더나온거같아요

  • 14. 글쓴이
    '14.9.19 5:32 PM (116.34.xxx.14)

    다들 아파트 사시나봐요..저는 빌라 꼭대기라ㅠㅠ
    아끼면서 열심히 살려는데 아직 멀었나봐요^^

  • 15. ...
    '14.9.19 5:39 PM (119.148.xxx.181)

    답 나왔네요. 빌라 꼭대기+통유리.
    집 자체가 워낙 더운 집인거에요.
    에어컨 바꾸는 건 이사갈 때 바꾸시고요...
    지금 집에는 차라리 작업하는 방에 창문형 하나 다세요.
    요즘 슬림하게 나온 창문형 있는데 이사갈때 설치비 없이 그냥 들고 가면 되요.
    안 쓸때도 그냥 떼어서 놓으면 되구요.
    작은 방에 그거 하나 달면 아주 시원~~해요..
    집 전체 냉방하려고 하지 말고, 차라리 방 하나만 확실하게 하세요.
    저희는 거실과 주방 사이에 병풍도 치고 그랬어요. 그럼 좀 더 효과 있어요.
    선풍기 꼭 같이 돌리시고요.
    그리고 재택근무 하면 전기세 많이 나오더라구요.

  • 16. ㅠㅠ
    '14.9.19 5:45 PM (116.34.xxx.14)

    네ㅠㅠ 안방에 에어컨이 있어서 그냥 문닫고 자고 그랬었어요ㅠㅠ
    집이 문제였군요..ㅠㅠ
    컴퓨터 때문일까 싶어서 낮에 불도 안켜고 모니터도 하나만 키고 일하는데..
    이래저래 슬프네요ㅠㅠ 이사갈 형편은 안되고^^
    기운내야지, 아자아자!!!

  • 17. 참고
    '14.9.19 5:53 PM (121.167.xxx.114)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1838157&page=2&searchType=sear...

  • 18. 흠.
    '14.9.19 6:14 PM (203.152.xxx.185)

    저희 이사오기 전 집이랑 비슷해요.
    3층 꼭대기 빌라 32평이었고
    10년된 18평형 스탠드 에어컨 사용했어요.
    오후 3시 ~ 다음날 새벽 4시까지 쉬지않고 돌렸고
    27도 맞췄어요.
    집 자체가 어마어마어마하게 뜨거운 집이었구요.
    그렇게 한달 꼬박 돌리면 13-15만원 나왔어요.
    평상시에 2만5천에서 3만원 정도 전기요금 나오구요.
    원글님은 기본으로 나가는 전기료가 좀 있네요.
    일단 에어컨보다는 평상시 전기 사용량 잡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아요.

  • 19. 어떻게든
    '14.9.19 6:20 PM (182.225.xxx.74)

    평소 전기요금을 낮춰보셔야할 것같아요.
    컴퓨터로 일하시는 것같은데 노트북 쓰시면 데스크탑보다 훨씬 전기 절약되더라구요.
    저흰 38평인데 평소 180kw정도 써요. 드럼세탁기 매일 돌구요, 노트북 거의 12시간 이상 쓰구요, 남편 것도 평균 5시간 정도 쓰고, 매일 전기압력밥솥으로 취사만 하구요
    아기가 있어서 전기 물주전자 수시로 쓰구요.
    TV는 Led인데 하루 한시간정도?
    그 외엔 드라이기, 커피머신 정도이겠네요.

    이러니깐 벽걸이 에어컨(6평이고 거실에 달아서 온집 다 식혀요) 12시간씩 쓰니 하루 12kw정도 쓰게 되더라구요. 그럼 한달 360kw인거죠.
    참 여름엔 제습기도 같이 씁니다.

    근데 평소 3~4만원 나오면 조금만 더 써도 누진세가 붙어 요금이 확 올라가겠지요.

    친정은 19평인데 15년된 벽걸이 10평짜리 에어컨 틀고 살아도 전기요금 많이는 안나오는 거 같아요.

  • 20. 누진세일듯.....
    '14.9.20 9:22 AM (36.38.xxx.139)

    누진세.......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0978 베이지색 바지+ 감색 자켓 3 패션꽝 2014/09/27 1,167
420977 바자회 가고 있어요^0^ 2 비우고채움 2014/09/27 552
420976 밤껍질 쉼게 까는법 없나요? 5 밤밤 2014/09/27 2,376
420975 미역국이 쓴맛이 나는데 어떡할까요 3 아들생일 2014/09/27 17,058
420974 로맨스의 일주일 보세요? 2 연애 2014/09/27 1,149
420973 양갱 판매 중지 시켰답니다. 33 바자회안내 2014/09/27 21,376
420972 스마트폰 표준요금제 사용하는 분 있나요 2 2014/09/27 892
420971 쑨양 선수 생일 케익을 주네요. 진짜 인간적으로 좋아하나봐요 6 ,,,, 2014/09/27 3,144
420970 바자회 가시는 분들 조심하세요. 12 ... 2014/09/27 11,876
420969 마포쪽사시는분들 슈스케6 이홍기 아버지가 운영하는 카페 아시나요.. 1 궁금 2014/09/27 1,805
420968 아스피린이 암 발생 줄인다 4 참고 2014/09/27 2,017
420967 몸에 근육량이 많으면 피로를 덜 느끼나요? 4 저질체력 2014/09/27 4,133
420966 상대방의 마음이 읽혀질때.. 4 힘들다 2014/09/27 1,701
420965 안양에 사시는분.. 아파트 추천좀 해주세요. 27평..(관악타운.. 6 이사가자.... 2014/09/27 3,824
420964 종합병원에 펠로우라는 의사는 어떤 의사인가요? 2 ..... 2014/09/27 51,999
420963 수원에서 고수 살수 있는곳 아시나요? 3 ... 2014/09/27 766
420962 바자회 가시는 분들 사진 많~이 부탁드려요~~ ... 2014/09/27 723
420961 혹시 황금 레시피? 3 .. 2014/09/27 1,074
420960 녹두불린거 껍질 다 벗기는게 너무힘든데ㅡ 4 녹두 2014/09/27 1,507
420959 오미자구입 어디로 갈까요? 알려주세요 2 오미자 2014/09/27 843
420958 고소영 버버리 패션 화보 7 ? 2014/09/27 4,511
420957 아이 초등학교에 정덕희가 강연을 온다네요 12 .... 2014/09/27 3,207
420956 쌀포대에 쌀벌레가 잔뜩 붙어있어요 7 켕켕 2014/09/27 2,286
420955 출발 !! 3 8282 2014/09/27 595
420954 (냉펑) 미국 대학 문화 좀 아시면 조언해 주세요.(유감표명:모.. 26 나몰라 2014/09/27 2,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