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살때 대출금 8천정도면 심한건가요?

닭아웃) 조회수 : 4,471
작성일 : 2014-05-24 21:09:45
가진돈이 없어8천정도 대출받으려구요..중도금 무이자라 집판돈 입주시 내고 나머지는 담보대출로 돌려야 되는데 맞벌이 400이고 아이가 넷인데 포기하는게 나을까요?고민되네요
IP : 112.149.xxx.74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플럼스카페
    '14.5.24 9:13 PM (122.32.xxx.46)

    맞벌이 400에 애가 4이면 8천은 좀 큰 거 같아요.

  • 2. 애가 넷
    '14.5.24 9:17 PM (112.173.xxx.214)

    아이들이 어느정도 컸는지 모르겠지만 저는 고딩 초딩 고학년 아들만 둘인데
    아이들이 크니 식비가 사교육비 다음으로 많이 드네요.
    5년 이내로 갚으실 수 있음 부담이 적을 것 같고 10년이 걸릴 것 같음 생각 다시 해 보세요.

  • 3. 집값이 전부
    '14.5.24 9:18 PM (125.143.xxx.206)

    얼만데요?결혼 몇년차신데요?

  • 4.
    '14.5.24 9:28 PM (112.149.xxx.74)

    총액29500정도 아이는 고3.2중2유치원7살이고 그달벌어쓰는 서민 극빈층이죠..제가 열심히하면 500만원까지 수입이 되요.한달에요

  • 5. 플럼스카페
    '14.5.24 9:31 PM (122.32.xxx.46)

    대출상환 유예기간 같은건 없고 바로 원리금 납입인가요?
    자녀들.대학도 보내셔야 하는데...

  • 6. ..
    '14.5.24 9:34 PM (175.116.xxx.66)

    집값대비 8천대출은 괜챦은것같은데.. 월소득대비 8천대출은.. 힘드실거같아요.. 아이들도크고.. 근데 집은있긴있어야할것같은데.. 고민되시겠네요ㅜㅡ

  • 7. ....
    '14.5.24 9:43 PM (125.143.xxx.206)

    집을사면 등록세 취득세 이사비 재산세등둥 지출이 많아지는거도 고려하시고 계시지요?아이가 대학가면 돈들일이 더 많아지고..금리는 내년쯤이면 오를거 같기도 하고.500수입은 서민 극빈층은 절대 아니지요.그런데 아이가 넷이면 들어가는 돈이 무시 못할거같고.예상치 못한 지출도생기기도하
    고 ..원금까지 같이 갚아야될 시기가 되면 팍팍할거 같아요.수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집이 주는 편안함은 돈으로 계산하기어려울거같고..미분양된거 시간이 지나면 혹시 땡처리 할수도 있지 않을까요?

  • 8. 아이가 넷이라는게
    '14.5.24 9:45 PM (59.6.xxx.116)

    제일 큰 변수네요...

  • 9. 지금
    '14.5.24 9:55 PM (112.149.xxx.74)

    3천만원만 내면 3년되에 잔금내고 그때 대략 8천만원이 모자르는데 윗님말씀처럼 아이들때문에 어려워 대출금 상환이 안될듯 싶은데 그걸 생각해서 대출금은 전세를 줘서 우선 갚고 저는 다른곳에 무상으로 거주할곳이 있거든요..아님 월세를 놓아서 대출금 상환을 조금씩 할까도 생각중이지요..아무튼4명의 아이가 발목을 잡는건 사실이예요.식비만해도 어마어마하고 교육비가 제일 문제인데..저도 집을 갖고 싶은데 참 걱저이 많네요

  • 10. 요건또
    '14.5.24 10:03 PM (182.211.xxx.176)

    아이들이 넷이라 생활비와 교육비가 많이 든다지만 세 살면 이사 다니면서 드는 돈도 많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이들 전학까지 가야하니 안정감이 없죠. 집값이 2억 9천 5백이면 재산세가 그리 많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원리금 균등 상환하면 (가치 기간 없이) 20년 상환에 월 60만원 선 아닌가요? ?

    제가 아이 넷이라면 집 삽니다. 전세값이 몇 천씩 오를 경우도 생각해야 하고 전세값 제 때 못맞추면 어차피 그 빚도 져야 하지요. 전세 살아도 운 나쁘면 2년마다 이사비에 복비 드는거니 그건 지금 고려 사항 아닌거 같구요.
    원글님이 좀 더 힘을 쓰셔서 한 살이라도 젊을 때 내 집 장만하시고 수입을 더 늘리는 방안을 생각해 보세요. 자녀들은 첫 대학 등록금만 마련하면 나머지 학비는 국가 장학금이나 융자 생각하셔야 할테고, 남학생의 경우는 동생들 학령기 계산해서 군대 가기도 합니다.
    계속 전세 산다고 해서 아이들 학비 모으는게 안 힘든건 아니잖아요.
    여기서 집 산다고 하면 반대하는 기류가 높은데 문제는 갈수록 전세가 없어지고 월세만 넘친다는거죠. 향후 5년에도 전세가 남아 있을까 하는 생각도 종종 합니다. 지금 집값으로 인해 대출이 힘들다는건 전세가 늘 있고 그 전세가 많이 오르지 않는다는 전제죠.
    거치기간 있으면 원리금 균등 상환시 갑자기 돈이 너무 부담스럽습니다. 처음부터 원리금 균등 상환하시고, 형편 풀리는대로 더 많이 상환하시면 되지요. 고정 금리 요즘 4%라고 하니 고정금리로 하시면 금리 올라도 상관 없습니다. 은행이 문제가 되는거겠죠.
    그리고 집 사기로 하시면 가족 회의해서 자녀들에게 우리가 돈을 왜 아껴야 하는지 말씀 해 주세요. 다른 일도 아니고 집 사느라 아끼자고 하면 아이들도 협조합니다.

    여기서 집 사라고 한다한들 집값 떨어졌을 때 누구도 책임질 수 없고, 전세 살라고 한들, 몇 년후에 다 월세밖에 없어도 누구 하나 책임져주지 않지요. 대차대조표 만들어서 가족 회의 잘 해 보세요.


    건투를 빕니다.

  • 11. 월세를 놓으신다기에
    '14.5.24 10:07 PM (125.143.xxx.206)

    월세가 꼬박꼬박 제 날짜에 들어오는게 어려울 수도있고요.월새는 바로 안구해져서 공백기가 생기면 관리비도 부담하셔야되고..무상거주가 가능하다면 전세 돌려서 구입하시면 되겠네요.그런데 그집을 아까워서 어찌 세를 준대요..

  • 12. 존심
    '14.5.24 10:10 PM (175.210.xxx.133)

    다자녀라면 집을 갖지 않는 것이 좋을 듯...

  • 13. ...
    '14.5.24 10:23 PM (203.229.xxx.62)

    무상으로 거주할곳이 있으시면 그곳에 사시면서 저축해서 열심히 돈 모으세요.
    .
    어차피 집을 사서 입주하지 못하고 세를 준다면 나중에 사세요.
    예전처럼 집값이 오를 가능성이 있으면 대출이자 내면서 집장만 하지만 지금 상태론
    그렇게 많이 오르지 않아요.
    거주할곳이 없고 이사를 이년에 한번씩 다녀야 하거나 전세금 인상할때마다 올려 줘야 한다면
    집 사시라고 하지만 사실곳이 있으면 사지 마세요.

  • 14. 라라
    '14.5.24 10:47 PM (223.62.xxx.43)

    저라면 살 거 같아요. 이래저래 힘들겠지만 역으로 아이가 넷이기 때문에라도 구입 할거예요. 자녀분들이 한창 돈이 들어 가지만, 이사 안다니며 정서적인 안정감도 줄 수 있겠고 8천 정도면 영 무리한 대출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가족 회의 열어서 함 고민 더 해보세요.

  • 15. 자갈치
    '14.5.24 10:54 PM (117.111.xxx.223)

    우와..자녀가 넷~
    존경합니다.. 전 지금 백일아기 하나 키우는데도 힘든티 팍팍
    내고 사는데ㅠ 거기다 맞벌이까지..

  • 16. 사막의문
    '14.5.25 12:12 AM (182.228.xxx.94)

    지역이 어디세요? 혹 서울이시면 아이가 넷이면 시프트는 싫으신가요?
    20년 장기 임대이니 안정적이고 집 주인이 나라이니 전세금 걱정도 없구요
    아이 넷이면 가능 하실꺼 같은데 아마 30 평대 새 아파트가 2억 미안일꺼예요

  • 17. 저는
    '14.5.25 2:54 AM (221.143.xxx.203) - 삭제된댓글

    사는거에 한표.
    앞으로 돈들어갈일.천지지만 이런거 저런거 다 따지면 못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2846 잊지말자)다들 집에서 대학졸업후 14 다들 2014/05/27 2,176
382845 여자형제 많은 사람의 특징이 뭔가요? 30 .. 2014/05/27 9,497
382844 박지원, '안대희 는 슈퍼 관피아…자진 사퇴 마땅' 10 관피아총리후.. 2014/05/27 1,309
382843 아동복 도매는 어디서 옷을 사오는건가요 7 지푸라기 2014/05/27 2,456
382842 ‘아픔 치유’ 안산시민이 되는 사람들 4 샬랄라 2014/05/27 1,058
382841 (기사펌)단원고 희생자 아버지 힘겨운 일상 14 세월호. 2014/05/27 3,383
382840 대통령 풍자 스티커 붙였다고 경찰 ‘잠복 수사’까지 세우실 2014/05/27 549
382839 모으려니 더 안모아지는 돈... 8 너무답답해 2014/05/27 2,946
382838 4세 여아, 6세 남아, 7세 남아 선물 추천부탁드려요~~ 3 ..... 2014/05/27 1,303
382837 분명 주황불에 진입했는데 어제 벌금내라고 왔네요 24 --- 2014/05/27 35,067
382836 박원순 후보에게 정치자금 기부하고 싶으신 분(10만원까지 세액공.. 8 .... 2014/05/27 822
382835 박근혜퇴진-요즘 걷기운동하는분들은 어떻게 하세요 미세먼지 2014/05/27 850
382834 새누리당의 저열한 네가티브,악마들같네요 6 피곤하다 2014/05/27 738
382833 (가만히있으라) 나부터 뭐라도 해야하기에... 1 busybe.. 2014/05/27 637
382832 리코리스 맛이 원래 이런가요 1 ///// 2014/05/27 522
382831 요리연구가들이 들기름 사용해서 볶으라는거 안했으면 좋겠어요 15 들기름 2014/05/27 5,477
382830 동아시아 30년 전쟁 꼭 보셨으면 좋겠어요 4 여니맘 2014/05/27 820
382829 한효주가 그렇게 대단한 권력이 있어요?? 13 .. 2014/05/27 12,616
382828 정몽준 아버지 정주영은.... 5 조국교수트윗.. 2014/05/27 1,739
382827 김용민의 조간브리핑[05.27] '3억원 월급, 천만원 일당' .. 1 lowsim.. 2014/05/27 595
382826 낼 국회에 신상철 이종인 이상호님 총출동이에요(일반인참관가능) 7 컴맹아짐 2014/05/27 1,057
382825 어제 오늘 미세먼지 높던데 하늘은 맑네요 닭싫어 2014/05/27 435
382824 심리상담 어디로 가야할까요?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5 봄날햇살 2014/05/27 1,384
382823 [아이엠피터] 정몽준의 '농약급식' 알고 보니 '문용린 디스' 11 우리는 2014/05/27 1,556
382822 ㅋㅋㅋ 김부겸후보 2 선거홍보물 2014/05/27 1,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