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돈 욕심은 많은데 돈 모으는게 힘들어요.

조회수 : 2,545
작성일 : 2014-03-24 07:24:02

20살때는 항상 돈 욕심은 많았던거 같은데  돈 쓰는걸  좋아해 사치가 심했어요.

항상 후회는 했지만 그게 쉽게 고쳐지지 않았는데요.

이제 35살에는 돈 좀 모으고 싶은데 나가는 돈이 많은거 같아요.

이제 돈 좀 아껴쓰고 하는 방법을 깨우치긴 했는데 이제는 나갈돈이 너무 많은거 같아요.

경조사 그런거요...

이제야 사치에서 정신 차리긴 했는데 돈 좀 많이 모으고 싶어요.

돈 모으는 방법은 뭘까요?

나이에 비해 돈이 없어요..너무 늦게 사치에서 벗어났구요.

미혼이구요..돈 모으는 방법은 뭘까요? 

 

IP : 122.40.xxx.11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3.24 7:40 AM (118.221.xxx.32)

    안쓰거나 더 벌거나 ..둘중하난데
    후자가 더 어려우니 다들 아끼란거죠
    물론 할거 다하고는 어렵우니
    돈을 딱 떼어서 묶어두고 카드도 없애고 한달정도 생존 관련된거 말고는 다 맘춰보세요. 그럼 감이 올거에요. 짠돌이 카페 같은데도 보시고요
    그리고 40대까지가 ㅜ돈이 모이지 그 이후론 더 어렵다고 하더니 그런거 같아요
    예전엔 아끼는게 미덕이었는데 소비가 미덕인 사회가 되서 더 어려워요

  • 2. 개나리1
    '14.3.24 8:18 AM (211.36.xxx.58)

    소비 습관을 바꾸는게 힘들어요.

    보통 펑펑쓰던 사람도 결혼해서 미래를 위협할 절대적인 목표물. 대출이나 아이들 교육비. 노후자금 등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돈쓰는 체질이 달라지는데

    미혼때는 쉽지 않죠.
    역으로 결혼 날째가 6개월후로 잡힌다고 생각해 브세요.
    6개월간 돈을 많이 모으시게 될꺼에요.

  • 3. 안써야죠
    '14.3.24 8:26 AM (112.173.xxx.72)

    그럴려면 외출을 자제해야죠.
    나가기 시작하면 옷 사야지 신발 사고 싶고 머리 해야 하고 가방도 사야하고..
    나가서 밥 사 먹어야지 커피 마셔야지 영화 봐야지..
    취미생활도 좀 줄이고 딱 필요한 사람만 만나서 간단하게 차 한잔 마시거나
    밥만 먹고 1차에서 끝내고 오고 옷도 지금 있는걸로 대충 버티고..
    사실 남의 차림새 아주 튀는 거 아니면 아무도 별 관심 없는데 자기만족에 철따라 사 입잖아요.
    가방도 마찬가지구요.
    오늘 당장 자유적금 통장 하나 만드세요.
    장기 말고 6개월이나 1년 짜리고..
    월급 타면 무조건 반을 뚝 띠어서 적금부터 하시구요.
    나머지로 최대한 절약하며 살다 다음 월급날때까지 쓰고 남으면 그걸 또 적금통장에 넣으시구요.
    이렇게 몇달 하면 돈 모이는 재미에 열심히 하게 되죠.
    딱 6개월만 해보세요.
    보통 월급쟁이라도 오육백 정도는 금방 모여요.

  • 4. ....
    '14.3.24 4:49 PM (210.115.xxx.220)

    월급 받으면 무조건 40~50% 정도 적금 등으로 떼어놓고 나머지 돈으로 생활하세요. 신용카드 다 없애고 현금이랑 체크카드만 쓰시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3408 소방헬기 해경이 막은거 .. 반응이 왜? 7 세상에 2014/04/25 1,155
373407 이와중에)네이버최대교육까페상위1% ,그렇게살지마 26 나는 엄마다.. 2014/04/25 3,794
373406 월스트리트저널 여론조사 87% 박근혜 반대 4 참맛 2014/04/25 1,423
373405 獨 언론, 얼음공주 박근혜, 도살자 박정희 딸 4 light7.. 2014/04/25 1,541
373404 우리가 앉은 자리에서 할 수 있는 것... 1 .... 2014/04/25 344
373403 시사통 김종배입니다(14.4.25am) - 미디어몽구 ".. 2 lowsim.. 2014/04/25 480
373402 이종인씨는 물속에 안 들어가셨음해요ㅜ 우려 2014/04/25 786
373401 결국 이번 참사의 비극은 민영화 였네요 9 진홍주 2014/04/25 2,365
373400 저기... 이종인씨 지금 투입되셨나요? 7 노란리본 2014/04/25 2,133
373399 배에 타고 있던 다른사람들. 제2의 오대양사건처럼? 3 오대양 2014/04/25 3,614
373398 이번 세월호 사건 뒤에 웃고 있을 것들을 생각해 봅시다 1 아마 2014/04/25 2,045
373397 750명이라던 잠수요원..알고보니 '달랑 13명' 5 세월호참사 2014/04/25 1,387
373396 박근혜가잘하는거? 15 유탱맘 2014/04/25 1,677
373395 언딘과 새누리당의 관계및. 보험금과 계약관계 언딘 2014/04/25 1,269
373394 박근혜지지율 71%에서 5일만에 56%로 대폭락, 세월호 무능대.. 9 집배원 2014/04/25 1,158
373393 도대체 박근혜는 국가재난시 쓸 수 있는 돈을 왜 안 쓴 걸까요?.. 13 ----- 2014/04/25 2,076
373392 L& 헬기사고도.... ... 2014/04/25 780
373391 조심스러운 말인데요. 천안함 15 굉장히 2014/04/25 4,555
373390 아무도 안전하지 않다 5 정말 2014/04/25 1,115
373389 팩트티비 다시 보고 있어요. 볼수록 기가 차요ㅠㅠ 5 어휴답답 2014/04/25 1,641
373388 이상호기자에 관한 데일리안 기사. 헐;; 19 타임워프 2014/04/25 6,273
373387 2014년 4월 25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4/04/25 759
373386 가디언, 다시 북한으로 돌아갈래! 4 light7.. 2014/04/25 1,190
373385 피 같은 첫날 도대체 뭘한 거죠? 42 계약? 2014/04/25 4,642
373384 세월호는 한국 2 헐.. 2014/04/25 1,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