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역난방인데요, 낮에 부글부글 끓는 보일러 소리 같은데 뭘까요?

아파트 조회수 : 4,676
작성일 : 2013-12-31 13:01:16

보일러를 틀었다 껐다 하면 오히려 요금이 많이 나온다 해서

22도 정도로 맞춰놓고 있는데요

 

낮에  한 번씩 보글보글 보일러 돌아가는 소리 같은 게 나거든요.

그래서 난방조절기를 보면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거나 같아요.

그럼 온도 높이려고 보일러가 더 돌아갈 이유가 없는 거 아닌가요?

이 소리의 정체는 뭔지?

 

그리고 다른 집은 보통 온도를 어느 정도로 맞춰놓고 지내시나요?

사실 저는 지난주까지 낮에는 외출모드로 하고, 밤에는 23~4도로 맞췄거든요.

그러다 난방요금 폭탄을 맞았어요.

다른집들은 도대체 어떻게 설정해놓고 사는 건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타이머 기능도 있는데 어떻게 사용하는 건지도 잘 모르겠고요.

 

난방비 적게 나오려면 어떻게 설정해 놓고 살아야 하나요?

IP : 221.151.xxx.23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럼윗님은
    '13.12.31 1:07 PM (221.151.xxx.233)

    하루종일 난방조절기 안 건드리고
    그냥 23~4도에 맞춰놓는다는 거죠?
    저희도 34평인데 낮엔 외출모드, 밤엔 23~4도로 했더니 13만원이 나온 거예요!!!
    온도 올릴 때 온수가 들어올 때 요금이 확 오른다고 하더니 진짜 그런가봐요.

  • 2. 저흰
    '13.12.31 1:08 PM (211.253.xxx.34)

    쉭~~~하고 한~참 소리가 났었거든요
    그게 보일러 가동 되면 소리가 나고
    적정온도가 되서 가동이 중단되면 소리도 꺼지고..
    몇년간 그러려니~하고 살다
    못살겠더라구요. 이게 돈 나가는 소리잖아요.
    집이 난방이 안돼서 엄청난 난방비로 스트레스인데 ㅠㅠ

    암튼...관리실에서 나와서 보더니
    난방수가 돌아가는게 너무 쎄게 돼있는거라고.
    밸브 같은걸 살짝 돌려주니까 소리가 확 꺼졌어요.

  • 3. 윗사람
    '13.12.31 1:11 PM (182.226.xxx.58)

    네 난방조절기 안 건드리는데.. 환기할때.. 다 외출로 하고 창문 다 열어놓구여.
    문 닫으면 서서히 온도가 외출로 해도 올라가잖아요.
    그리고 자체 온도가 22-23도 되면 다시 난방모드로 가동해요.
    그럼 그방에 맞춰 어느정도 올라가고 말더라구요.
    계랑기 돌아가는 부분에 바람개비 조금한거 있는데요. 그거 심하게 돌아가는지 보세요.
    유량계라면 그거 돌아가는거에 따라 과금이 많이 되요. 그럴땐 전체 벨브를 조금 내리시구요.
    열량계라면 보일러 쓰는 집처럼 방마다 껐다 켰다 온도 조절하셔야해요.

  • 4. 오잉?
    '13.12.31 2:03 PM (218.146.xxx.11)

    저도 새로 지역난방으로 이사해서 그 소리 모르고 있다가 소리가 너무 나길래 설비 아저씨 불러다 여쭤봤더니, 쎄게 조여져 있어서 소리가 나는 거라며, 그걸 헐겁게 하니까 소리가 덜 나더라구요 그런데 아저씨 말로는 그걸 헐겁게 하면 더 순환?이 잘 되는거라 보일러가 더 잘돌아가니 난방비가 좀더 나올 수 있는걸 감안하라는 식으로 말씀 하시길래 그냥 조여놨거든여.
    결론적으로 헐겁게 하면 난방비가 더 나온다는 얘기인데, 윗분들 얘기 들으니 아닌거 같기도 하고?

    그나저나 저도 이달에 처음 이사해서 아직 비용이 얼마나 나왔는지 모르겠는데, 저도 맨날 나갈때는 외출 (로 하면 10도에 맞춰지드라구여?) 집에 들어오면 25도 일케 해놓고 살았는데 이거 폭탄 맞는거련지ㅠㅠ
    아 심란하네여 일케해도 그리 덥진 않은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0708 살이 좀 빠졌는데...정말 종아리는 안빠지네요 2 ... 2014/01/10 1,885
340707 남편의 전부인 이름? 97 궁금 2014/01/10 16,153
340706 중3 아들이 턱이 아프대요 !! 5 급질문 2014/01/10 710
340705 급)건토란대요.. 요리는 어려.. 2014/01/10 3,620
340704 전세 구할 때 위치 문제 3 이사고민 2014/01/10 763
340703 코수술 후에 이물감 ㅠㅠ ㅈㅈㅈㅈ 2014/01/10 3,665
340702 안철수신당 지지도 ( 갤럽: 2014년 1월 2주) 7 탱자 2014/01/10 938
340701 프랑스 외무장관, 야스쿠니 신사참배 관련 日입장 두둔 1 샬랄라 2014/01/10 757
340700 스키장 처음 가요 (초등아이) 8 준비물 2014/01/10 1,235
340699 일드 추천해주세요 6 이번분기 2014/01/10 1,399
340698 급하게 여쭤요..ㅜ(신용정보기관) 4 ㅜㅜ 2014/01/10 696
340697 검버섯 등 색소침착 레이저 치료하신 분 계신가요? 3 ... 2014/01/10 3,790
340696 친했지만 자연스럽게 멀어졌다가 우연히 만났는데 다시 재결합하기 .. 9 ... 2014/01/10 2,091
340695 성추행 쇼트트랙 코치 국가대표팀 발탁 2 ..... 2014/01/10 1,485
340694 강아지 장탈출 수술간단한 수술인가요?ㅜ efugv 2014/01/10 791
340693 오늘 미샤 데이 인가요?? 제품 추천 부탁드려요 11 minami.. 2014/01/10 3,827
340692 수족냉증 개선할 획기적인 방법..은 없겠죠? 11 ddd 2014/01/10 3,469
340691 대게 구입을 하고 싶은데요... 대게 사랑 2014/01/10 631
340690 조심스럽게...피부가 거듭난 후기 올립니다. 190 피부 2014/01/10 25,478
340689 프라하 숙소, 어디에 잡는게 좋을까요 2 초보 문의 2014/01/10 3,854
340688 교육부, 편수조직 구성해 교과서 검정에 직접 개입 5 세우실 2014/01/10 624
340687 식샤를 합시다 뭐 이런 드라마가 12 악! 2014/01/10 5,883
340686 이렇게 살아도 살아질까요?? 14 ... 2014/01/10 4,144
340685 콩나물 여러가지 활용해봐요 12 응용 2014/01/10 2,149
340684 목이 부었을때 4 가정의학과 2014/01/10 1,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