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과 과탐과목 선택시 참고해야할것들좀

과탐선택시 조회수 : 14,839
작성일 : 2013-11-12 00:58:14

아이가 이과진학예정인데

아직 본인이 하고싶어하는 전공이나 진로를 정하지 못했습니다

아이도 답답해 하구요

그런데 이번 겨울방학때는 과탐을 한과목이라도 시작하려는데

진학하고자 하는 방향을 정하지 못해서 과목선택이 막막합니다

보통 화학과 생물선택이 많다던데

물리와 화학을 선택하면  많이 어려울까요 (주변에서 말려서요)

또 이럴때 진학할수있는 학과가 뭐가될지도 궁금하구요

물리와 생물선택이 거의 없다던데  그 이유도 궁금합니다

주위에 이과쪽 나온 사람이 거의 없네요  ㅠㅠ

IP : 220.120.xxx.223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12 1:26 AM (58.225.xxx.25)

    저는 지구과학2 선택했다가 나중에 화학2로 바꿔서 자연계 수능봤던 사람인데요.
    이과 계열로 대학 진학하면 더 많이 쓰이는게 화학과 생물인건 맞아요. 많은 전공에서 생물, 화학 원리는 꽤 많이 연결됩니다. 의대 진학 고려하시면 더욱 필요하구요.
    그 다음이 물리학이고 그 다음이 지구과학으로 알고 있어요. 특히 지구과학은 대학에서 그쪽 전공자 아니면 거의 안쓰인다고 하더라구요.
    물리 선택이 적은 이유는 (저희때 친구들 선택 기준으로) 일단 어려워요. 표준점수였나?로 환산하면 과목 난이도가 있으니 상대적으로 유리하지만 일단 이해하는게 어려워서 저희 반에서도 물리2 선택한 애들은 많지 않았어요. 하지만 물리를 선택하는 친구들은 표준점수에서의 유리함과 공식과 원리만 이해하면 다른 과목에 비해 외울게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니 공부하기 어렵지 않다--;;였어요.
    하지만 물리학을 많이 쓰는 쪽으로 전공을 정할 생각이면 신중하게 선택하셔야 하구요.
    저희 반에서는 절반 가량이 화학2로 시험봤고 그 다음이 생물2였고 물리2랑 지구과학2는 비슷했던거 같아요.
    요즘은 한 과목만 선택하는지 두 과목을 선택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화학, 생물을 선택하시는 편이 낫지 않을까요?
    이런건 그 과목 학교 선생님이나 학원 선생님에게만 물어봐도(대학에서의 쓰임새 빈도같은거) 금방 답 나옵니다.

  • 2. ..
    '13.11.12 2:01 AM (58.225.xxx.25)

    요즘 수능시험방식은 모르겠지만 저 수능볼때는
    언어, 수리1(수학), 수리2(사탐-공통사회, 과탐-공통과학), 외국어(영어)가 계열 불문 기본 공통 응시과목이었구요.
    여기에 인문계는 수리2에 심화 사회과목 중 하나 선택, 자연계는 수리2에 심화 과학과목 중 하나 선택
    이렇게였어요. 저는 그래서 화학2를 선택해서 응시했었구요.
    아마 지금과는 응시과목이 많이 다르지 않을까 싶네요.

  • 3. 과탐 선택
    '13.11.12 4:06 AM (175.223.xxx.142)

    동생이 과탐 강사입니다. 그덕인지 이번에 제 아들도 수능보고 이과 과탐 두과목 모두 만점 받았습니다.
    과탐 선택을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올해부터 물화생지 1과 2과목 총 8개중 두과목을 선택해서 수능을 봅니다 2017학년도까지.
    여기서 중요한점은 아이가 몇학년이냐와 의대 약대 서울대 연대를 보느냐가 선택 집중공부의 기준이 됩니다.
    고1에 올라가는 거면 무조건 물리1 화학1 합니다. 현 개정 과학에서 물리를 빼면 고등 과학의 의미가 없어집니다. 고전 역학에서 현대 과학까지 개념을 다루고, 입자학 열역학도 살짝 훌기때문입니다. 물리 화학 개념이 넓어져 생물 지구과학부분도 다룰수 있습니다. 논술이 폐지 안되면 논술 대비도 해야 하니까요.
    고2에 올라가는 학생이면 특정과목 모의고사 50점(과탐은 한과목이 50점만점)나오는 것이 아니면 학교에서 중점수업하는 것을 선택하시는 것이 답입니다. 내신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물론 의대나 약대를 생각하시면 화학 생물 이고요.
    고3 무조건 점수잘나오는 두과목 선택입니다. 화학과를 가더래도 화학 선택 안하고 지구과학 선택 해서 수능 점수만 잘나오면 됩니다. 제 아이의 경우 기계공 전공예정인데 지1, 지2선택 만점 맞았습니다. 이번에 지1의 난이도가 높아 표점이 좋아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됬습니다.
    의대 약대만 제외하고 과탐 선택은 고삼에 한해서 무조건 점수잘나오는 과목 선택입니다.
    혹시 서울대나 연대를 생각하시면 2과목을 꼭선택하셔야 합니다. 이학교는 지정이라.. 예를 들면 물리1 생물2식으로 ...
    고삼은 무조건 점수 잘나와 만점 맞을 수있는 과목 선택입니다.
    전공 준비공부는 수능 끝나고 3개월 충분히 가능 하니까요.

  • 4. ...
    '13.11.12 8:04 AM (119.207.xxx.199) - 삭제된댓글

    우리아이 물2수능 봤다 피봤습니다. 지원자가 적으니 상대적으로 깔아 주는 사람 없어서 등급 잘받기 힘듭니다. 과고출신 반수생도 들어 오고하니 선택신중해야합니다. 우리아이는 물2가 재미있대요.ㅠ.ㅠ

  • 5. 금님이
    '13.11.12 8:31 AM (116.39.xxx.141) - 삭제된댓글

    좋은 답변 감사해요

  • 6. 감사
    '13.11.12 11:45 AM (220.120.xxx.223)

    진로결정이 안되니까
    생물을 해야하나 더 고민됩니다
    사실 저는 의대는 내신이 안좋아 고민스럽지만 약대쪽도 생각해보고 싶은데
    아직 정해져있는 상태가 아니라
    물리와 생물 둘중하나가 고민이네요

    아이는 물리와 화학을 더 고려하는거 같아요
    아이도 현실적인 고려보다는 좋아하는걸 밀고나가는 성격이라서 ㅠㅠ

    좋은 댓글들 감사합니다

  • 7. 감사
    '13.11.12 11:47 AM (220.120.xxx.223)

    그런데 서울대아닌 연대를 고려할 경우도 2과목도 선택해야하나요
    저는 서울대의 경우만 2과목을 해야한다고 알고있어서요

  • 8. 감사
    '13.11.12 11:56 AM (220.120.xxx.223)

    계속 질문을 올리게 되네요
    물리가 필요한 학과가 어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의 약대가 화 생이라면
    물리선택시 두 학과는 어렵겠지요 ㅠㅠ
    그럼 물리선택시 선택가능한 과가 어디가 있을까요

    아이가 2학년 올라가는데 일단은 최상위권대학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그래서 물리와 화학중 하나는 선택할건데 화학을 선택하고 나머지 물리 생물중 고민입니다

  • 9. 과탐선택
    '13.11.13 2:55 AM (1.245.xxx.41)

    물리를 선택하셔도 의대 약대를 진학하시는데 문제는 없습니다. 수능과 내신 점수를 잘 따는데 이용하는 거니까요.
    그런데 의대는 대학별 고사가 있어서 화 생을 해놓아야 치를 수 있으니 이왕이면 화 생을 하는 것이고
    올해는 서울대와 연대 일부과가 2과목을 필수로 지정했습니다. 내년이후는 그때그때 조금씩 변동이 있으므로. . .
    현재는 서울대만 2과목이 지정일 확률이 높습니다.
    물리 화학은 대학 진학시 필요한 과목이라기 보다는 최상위대 이과가 거의 공대이고 베스트글에서도 보다시피 공대가 취업이 유리하므로 공대나 자연계열 전공 필수 과목이라 필요한 것이지요.
    그래서 고1일경우 추천을 해드렸던 것이고 고2는 무조건 점수 잘 나오는 과목으로 선택하신게 답입니다. 참 물리2는 거의 과고 영재고 아이들이 1등급응 맞으므로 피하시고
    보통 남학생은 서울대를 생각하시면 화2 지1,아니면 화1 지1많이 선택하고 여학생은 생2와 지1, 생1와 지1선택 합니다.
    고 2 이면 내신과 모의고사에서 물리가 만점이 나오는 것이 아니면 화 생 추천 합니다.

  • 10. ..
    '14.1.15 4:54 PM (147.6.xxx.81)

    과탐선택 조언
    감사드립니다..

  • 11. 저장..
    '14.2.9 11:46 PM (218.38.xxx.167)

    합니다^^

  • 12. gks
    '14.2.28 8:36 PM (218.39.xxx.127)

    귀중한 조언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0830 김치가 요리의 끝판왕일까요? 3 책을 봐도 .. 2013/11/18 892
320829 코스트코에 오리털 패딩파나요? 3 양재 코스트.. 2013/11/18 1,655
320828 아까 시댁얘기... 23 ,, 2013/11/18 11,948
320827 초2 아이의 거짓말... 성장과정의 하나일까요? 7 ... 2013/11/18 1,691
320826 박근혜 정부의 위엄 11 /// 2013/11/18 1,220
320825 냉동 돼지고기수육..정녕 방법이 없나요? 4 loveah.. 2013/11/18 13,860
320824 수학공부 관련 다시 올려요. 도움 좀 주세요 ㅜㅜ 10 늘맑게 2013/11/18 1,246
320823 지금 집사면 바보같은 짓인가요? 27 ,,, 2013/11/18 4,087
320822 패딩 사고 싶어요~ 5 추워요 2013/11/18 1,687
320821 충주 탄산온천 어떤가요 1 온천 2013/11/18 1,998
320820 (급질)너무 짜게 절여진 무우 어떻게 하면 되나요? 5 무우 2013/11/18 1,600
320819 인공수정 3일차에요 2 궁금이 2013/11/18 3,389
320818 ”OECD 교직정상회의에 한국정부 못 오게 할 예정” 2 세우실 2013/11/18 627
320817 이자벨마랑 코트 12 살아. 2013/11/18 4,617
320816 안드로이드 폰 녹음 어플, 어떤 게 좋은가요? 1 알려주세요 2013/11/18 637
320815 토플 책 추천 부탁드려요 3 토플 2013/11/18 699
320814 응사..김재준이 쓰레기네요.. 32 칠봉이 2013/11/18 14,989
320813 설렁탕집 깍두기처럼 하려면 사이다를 언제 넣나요? 6 ,,, 2013/11/18 2,640
320812 공중목욕탕 니자리 내자리..? 7 원래 그런가.. 2013/11/18 1,824
320811 간병인에 대해서 물어봅니다 4 ,,,, 2013/11/18 1,329
320810 이케아 스타일의 식탁인데.. 두 제품 비슷해보이지 않나요? 1 ... 2013/11/18 1,401
320809 김장하고 남은 김치속과 보쌈고기...어찌 처리 하시나요? 3 ㅇㅇ 2013/11/18 3,085
320808 나를 가슴 떨리게 하는 일이 있으신가요? 5 두근두근 2013/11/18 1,607
320807 밴드 따당하는 느낌 5 ᆞᆞ 2013/11/18 2,351
320806 wmf구르메플러스세트랑 쉐프윈 고민되요. 도와주세요. 4 0000 2013/11/18 3,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