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 5년 후

로맨스™ 조회수 : 2,054
작성일 : 2013-11-06 21:56:24

읽을만한 글인것 같아 퍼왔어요~ 

앞으로 이 나라는 어떻게 될지, 평범한 사람들의 삶은 어떻게 될지 저도 궁금하네요. 


-----------------------------------------------------------------------------



 배 타는 선원입니다만, 9개월 무사히 타고 한국에 들어왔더니 경기가 죽은 게 눈에 보입니다.

 배에서도 뉴스를 계속 봤기 때문에 예측은 했지만, 실제로 보니 체감이 오네요.

 금요일 토요일 저녁 번화가의 거리는 무척이나 한산하더군요.  


 아는 분이랑 닭갈비 집에서 밥을 먹는데, 주인 아주머니가 살기 힘들다고 한숨이 깊으시네요.

 토요일 저녁 번화가에 위치한 그 가게에 손님이라곤 저희 포함 2 테이블 이었으니까요.

 밥 먹고 운동삼아 걷는데 고급차 다니는 불륜 모텔들은 항상 가득 차 있고요. 역시 불륜 공화국.

 대기업 다니다가 승진 때문에 속이 상해 때려치고 주식-선물 시장에 뛰어든 형이 있는데요,

 선물 시장에서 그 동안 번 돈, 퇴직금 다 꼴아박고, 모텔에서 관리인 한다는데, 모텔 주요 손님이

 유부남 유부녀라고 하더네요.


 실업 급여 신청해 놓고, 일주일 잘 먹고 푹 쉬었지요.

 시세가 뚝뚝 떨어진 저의 똥값 아파트 전세자들 내 보내고, 인테리어 새로 하는 사이에 부모님 집에

 머물고 있네요. 아파트는 월세 내서 부모님 용돈이나 하시라고 할 계획이라 

 어디 공기 좋은 데다 주택이나 하나 마련하려고 시골 촌구석 땅값을 보고 있는데, 

 인터넷 시세는 아직 죽지 않았더군요.


 300평 규모의 땅에 대지로 30평 정도, 심야 전기 보일러 달고, 태양열(광) 전지 지붕 위에 올려 놓고,

 방 3개 정도 크게 만들어서 노래방 영화방 겸용 만들고 두 방은 사람들이 잘 수 있게 만들려고 보니

 1억 3천 정도가 들어가더군요.


 마트에서 1L짜리 제일 싼 우유가 2350원이던데, 9개월 만에 500원 정도가 오른 것 같기도 하고,

 좋아하는 과자들은 죄다 가격이 올라서 계란이랑 버터 사다가 집에서 쿠키랑 카스테라 만들어 먹었네요.

 마트쪽 농수산물은 가격이 왜 그리 비싼지 가까운 가까운 시장에 가서 사옵니다.


 저번에는 서울 신사동 쪽으로 동생 내외와 놀러갔는데, 작은 컵에 담긴 아이스크림이 5천원이나 하는 것 같네요.

 (계산을 안 해서 정확하게 모름)

 흰 아이스크림에 네모난 꿀같은 거 올려놓은 건데, 돈이 아깝낀 하더군요. 

 3명이서 1만5천원이면 나뚜르같은데 가서 꽤 먹을 수 있고 반값 콘을 사면 10개는 먹을 수 있는데 말이지요. 

 근데 그 가게는 줄이 어마어마해서 거의 20분을 줄 서서 먹었네요. 

 맛은 그저 그러던데, 동생이 하는 말이 압권이었지요.

 "이 동네에선 싸면 오히려 망한다." 라고 하더군요.

 

 한쪽에서는 죽겠다고 아우성인데, 한 쪽에서는 매우 여유로운 생활을 누리고 있으니, 요상한 기분이 드네요.

 정치판에서는 선거개입 사건 때문에 시끄러운데, 정작 만나는 놈들은 죄다 아는 게 없으니,

 정말 그 사건이 이 사회의 주요 이슈인지 의문이 들 정도네요. 

 관심사라곤 그저 연봉 이야기랑 미국, 한국 야구 이야기 뿐이라서요.


 실업급여 받으려면 워크넷에 등록을 해서 구인활동을 해야하는데, 들어가서 주욱 보니

 대부분의 직업들이 연봉 2천 이하더군요. 

 5천 이상 넘어가는 것들은 주로 경력을 갖춘 숙련 기술자들 찾는 구직이고요.

 요즘 세상에 연봉 2천가지고 어떻게 살까라는 생각이 살짝 들었습니다.

 일만 하고 숨만 쉬라는 의미겠지요..


 2005년도에 대기업 입사했을 때 첫 연봉이 3천이었는데,

 요새 대기업 신입 사원 연봉도 큰 차이가 없을 것 같던데요,

 지금 물가는 그 당시에 비해 두 배나 올랐으니,

 2005년도와 비교해서 사실상 연봉이 1500정도 겠지요.

 그런 돈으로 젊은 사람들 어떻게 결혼하고 애를 키우라는지.

 2005년도에도 결혼하고 살기에는 부족한 돈이었는데...

 그래서 맞벌이를 해야만 하는데, 맞벌이 하자니 애들이 제대로 보살핌을 못받고 자라고,

 집안 교육도 안되니, 아이들의 도덕적 문제로 사회가 시끄럽겠지요.

 그런 아이들이 성인이 되면.....뭐...예상은 대충 하시겠죠.

 저야...선원이라 결혼도 연애도 포기한 삼포 세대라 할 말이 없지만...

 


 5년 후에는 어떻게 될까요? 이 나라...


 한 쪽에서는 집 사라고 취득세 내리는데, 대기업들은 현물 팔아서 현금 마련한 한다는 기사가 있네요.

 이런 상반된 이야기들을 보면서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는 지 궁금해지네요.

 건설사들 90%가 부도 위기라는 기사도 있고, 건설사들 부도나면 투자한 은행 역시 무사하지 않겠지요.


 그건 그렇고, 양질의 일자리라고 나온게 월급 150만원짜리.

 무역은 사상 최대 흑자라고 하면서, 정작 주변 사람들의 삶은 얼마나 팍팍한지 모르겠네요.

 그 엄청난 경상수지는 다 누구에게 가는 지 궁금해지네요.


 출산율은 1.23명으로 나아질 기미도 없고, 잠재 성장력까지 떨어지는데,

 출산율 관련 정책은 너무나 미비하지요. 월급 150 가지고 애 낳고 사는 것은 불가능하니,

 다들 솔로 인생이고. 전 선원이라 만나주는 여자가 없고.


 한국 버블 경제의 기둥인 부동산은 이제 초장기 침체가 시작된 것 같은데, 

 버블 경제 끝나면 정말 한국의 경제의 참상이 나오겠지요.

 거기에 돈으로 산업 스파이로 기술을 사들인 중국은 이미 국내 대기업들 엉덩이까지 쫓아오고 있는데,

 대기업들은 투자로 신규 사업을 늘리기보다는 소상공인 사업에 끼어들어서 애들 코묻은 돈까지 뺏다가

 이제는 투자보다는 현금 확보로 돌아섰으니, 국내에서는 어떨 지 모르겠지만,

 수출에 타격을 받지 않을까 싶네요.


 수출의 주력인 스마트 폰은 중국 화웨이라는 기업이 LG를 누르고 세계 판매량 3위에 올라섰고,

 1~3개월에 한 번씩 출시되는 삼성의 신상품들은 아이폰에 밀려나가는 추세고......굉장히 어려워 보이네요.

 판매량은 삼성이 많아도, 돈이 안되지요. 배 타다보면 외국의 도시에도 자주 다니는데.

 국내폰은 외국에서는 엄청 싸고, 국내에서는 엄청 비싸고. 저는....국내폰 그래서 쓰지 않아요.

 외국이나 우리나라나 그나마 가격 차이 거의 없는 외국폰 쓰지요.

 

 현대-기아차 가격은 꾸준히 오르고(경차 모닝 사는데 1천만원 들데요. 2005년도에 마티즈가 500만원정도)

 외국 차들과 가격 차이가 거진 나지 않는데다가 국내 소비력 부진으로 과거만큼의 매출이 나오지 않고 있죠.

 한국 경제 규모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이들 기업이 무너지고,

 잠재 성장력 세계 꼴찌에 새로운 사업 분야도 없고,

 버블 경제의 주범인 부동산이 무너지면, 한국이라는 나라 과연 어떻게 될까요?

 충분히 상상되시겠죠... 나라의 운명의 칼을  단 2개 기업이 쥐고 있다는 게 많이 불안해 지네요.

 돈을 위해서는 나라조차 팔아먹는 자본가들이니까요.

 

 필리핀 애들이랑 이런 저런 이야기하다보면, 예쁜 여자애 있으니 소개 시켜 주겠다는 말을 곧장 합니다.

 그러면 웃으면서 오케이 라고 이야기는 하지만, 아직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지요. 

 진지하게 고민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끝장 나는 나라에서 함께 고통의 만찬을 드는 것보다는 희망의 불을 찾아 떠나는 것이 더 낫겠지요.


 5년 후. 과연 대한민국은 어떤 길을 가고 있을까요?

 쇠락 일까요? 대격변이 될까요?

 보수 일색의 언론을 통해 과연 사람들이 깨어서 대한민국을 문제점을 고쳐 나갈 수 있을까하는 우려가 됩니다. 

 이런 저런 게시판에도 온통 비판 일색일 뿐 대안을 제시하는 사람이 없네요.


 지금의 한국은 비판과 함께 대안이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 싶네요.

 대안이 없다면 무의미한 비판이 되어버리니까요.

 무의미하게 보내는 시간에 불과하니까요.


 미디어법 때문에 대부분의 언론사들이 돈의 노예로 전락한 지금,

 국민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건네는 언론사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네요.

 전두환 시절의 국민방송국 mbc 처럼요. 지금은 정권의 노예가 되어버렸지만...

 일제 시절에도 깨어 있는 사람들이 시로, 글로, 소설로, 불법 신문으로 국민의 의식을 개혁했던 것 처럼 말이지요.


 중소 기업을 살리고 내수 시장을 살리기 위해서 도시 규모의 협동 조합을 만들어

 북유럽같은 새로운 경제 체계를 만들어 부패한 자본권력과 싸우는 것도 괜찮을 듯 싶네요.


 무언가 일을 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의식이 깨어야 하니, 

 사람들의 정신을 맑고 날카롭게 해 줄 좋은 언론사가 얼른 생겼으면 좋겠네요.


IP : 14.52.xxx.11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동감
    '13.11.6 10:11 PM (124.53.xxx.56)

    희망을 어디서 찾아야 할까요

  • 2. 글쎄
    '13.11.6 10:21 PM (138.217.xxx.125)

    82분들이 관심 있으실 주제는 아닌듯.

    이런 주제보단 오늘 드라마글이 더 인기일거예요.

  • 3. ..
    '13.11.6 10:49 PM (122.25.xxx.140)

    지금까지 살면서 한국 사람들이 살기 좋다고 말하는 거 단 한번도 못 봤네요.
    늘 살기 힘들다 죽겠다 하죠.

  • 4. 마티즈
    '13.11.7 12:59 AM (76.97.xxx.200)

    요점은 아니지만 마티즈가 500만원잉었나요? 제가 2005년 마티즈2 중고 6000km 뛴거 650만원에 샀는데

  • 5. ..
    '13.11.7 1:07 AM (110.70.xxx.18)

    이나라가 어디 희망이 있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7230 만성탈수 자가진단법이에요 ^^ 한적한시골에.. 2013/11/08 1,419
317229 공부잘하는거 다 상대적인거 아닌가요? + 요새 인문계고 상황 ㅇㅇ 2013/11/08 1,041
317228 저는 나이 대비 이 분이 제일 예뻐요 12 ㅎㅎ 2013/11/08 8,491
317227 하루하루 발버둥쳐봐도 인생은 그대로입니다. 3 단팥죽 2013/11/08 1,472
317226 '일본 자위권 허용' 이게 씨발 어느나라 정부냐 8 참맛 2013/11/08 1,171
317225 수능에서 사탐 과탐 진로요...질문이 있어서 도움 요청드립니다 5 수능 2013/11/08 940
317224 교대는 내신반영이 크던데 앞으로도 계속 그럴까요. 2 교대 내신 2013/11/08 1,364
317223 인스턴트 마트용블랙커피 뭐가 맛있나요?(졸음쫒기용) 6 블랙커피 2013/11/08 2,038
317222 이거 어때요? 1 . 2013/11/08 543
317221 피검사 했는데 1 ㅎㅎ 2013/11/08 1,160
317220 전기압력 밥솥 문의합니다 2 밥순이 2013/11/08 1,160
317219 뜨게질 배워보고 싶은데요... 부자재 사이트도 추천해주세요. 4 소쿠리 2013/11/08 1,008
317218 임신중 회사에서 배고픔을 어떻게 견디셨나요? 16 꼬르륵 2013/11/08 6,587
317217 전에 인천 현금수송차량 직원 치어서 다리 잘리고 그자리에서 사망.. ........ 2013/11/08 1,028
317216 광나루역주변이요.. 1 .. 2013/11/08 923
317215 고양이 지금 꿈꾸나봐요 5 ㅋㅋ 2013/11/08 1,189
317214 지금 인문계는 예전 인문계와 달라요. 2 .... 2013/11/08 2,522
317213 더플코트 다시 유행인가요? 12 코트 2013/11/08 4,308
317212 엠씨 스퀘어 써보신분들께 여쭤요 5 팩토리 2013/11/08 629
317211 맛간장에 양조간장 2 // 2013/11/08 1,067
317210 주말에 봉사활동 가능한곳 있을까요 5 ㅜㅜ 2013/11/08 2,497
317209 실업계냐 인문계냐 6 ........ 2013/11/08 2,480
317208 외고에서 수능만점 더 나올꺼에요 18 ........ 2013/11/08 4,606
317207 대학 입시 복잡하네요 1 2013/11/08 883
317206 내년 10월전세 만기인데 주인이 집을 내놨어요. 집 2 언제까지 보.. 2013/11/08 1,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