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희 아파트 이번 주에 7천 회복했습니다.

참고하세요. 조회수 : 3,557
작성일 : 2013-10-02 15:38:44

재건축 아파트고 실거래가 기준입니다.

바닥이다 아니다 말들도 많고...실제 경기가 어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저희 집은 그렇습니다.

하지만 떨어진 가격이 최고가 대비 1억5천이나 됐었기 때문에 회복하려면 아직 좀 걸릴거라고 생각됩니다.

 

정말 바닥일때 옆동에 큰 평수가 시세보다 정말 싸게 나왔는데 남편이 극구 말려서 못샀습니다.

잡지에 나오는 유명 스타일리스트 불러서 싹 공사까지 한 정말 좋은 집이였고

그 집도 다른 집을 사고 안 팔려서 거의 던지는 거였는데...지금 생각해도 너무 속상합니다.

 

빚지는거 싫어하는 사람이라 경기도 없는데 막상 사고 나서 우리 집 안팔리면 어쩔거냐고.

일년 정도는 버틸거 각오하고 사야한다고 우겼지만...난리가 났었네요.

남편이 재테크의 걸림돌입니다.

 

집 안 사실분들은 이런글 올라온다고 꿋꿋하게 안 사시겠지만, 사시려는 분들은 혜택을 확인하셔서 투기가 아닌 가족이 살 집이면 세금이나 금리우대 반영해서 최소한의 가격으로 매입하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금리는 지금이 다시 안 올 초저금리라 앞으로는 오를 일 밖에는 없으니 고정금리로 받으시기 바랍니다.

은행에서는 무조건 코픽스 같은걸 미는데 꼭 고정으로 하세요.

 

저도 미국 생활 해봤지만, 미국사람들도 월세로 렌트비 내느라 저금을 못합니다. 점점 올라서 나중엔 소득의 절반까지 육박하게 되거든요. 거기에 유틸리티랑 보험료 차량유지비만 해도 혼자 벌어서는 못삽니다. 소득수준에 맞는 작은 집 하나는 있으면 마음이 편한건 사실입니다.

IP : 221.146.xxx.21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큰언니야
    '13.10.2 3:40 PM (58.6.xxx.60)

    맞아요... 월세로 살아서 저금을 못 하죠...

    그렇지만.... 집 값과 세금 내느냐 저금을 못 하는 것도 아시죠 ^^

  • 2. ...
    '13.10.2 3:51 PM (1.238.xxx.75)

    근데 전세살이도 나름 장단점은 있겠지만..내집이 주는 안정감 이외에..층간소음이나 오래 오래
    내집이거니 하고 살고 싶을만한 잘 지어진 집 자체가 별로 없다는 것 도 감안 해야 될 듯.
    내집이라고 들어갔는데 이웃 잘못 걸린다거나 부실공사 하자 투성이 걸리면 안정감이고 뭐고
    골치 아프기도 하니까요.선시공후분양은 왜 안하는지;;감가상각도 현실이구요.

  • 3. ㅇㄹ
    '13.10.2 3:51 PM (112.161.xxx.208)

    저는 눈여겨본곳있었는데 작년 겨울보다 올해 전체적으로 몇천 올랐더라구요. 지금 거래도 되고요.
    배는 아프지만 그때 집도 안팔린 상태라 꾸준히 지켜보기만 했지요.

  • 4. 그런 취지가 아니라
    '13.10.2 3:54 PM (221.146.xxx.211)

    의외로 부동산에 대한 정보는 집을 살 예정인 분들보다 현재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더 민감하고 더 열심히 알아봅니다. 사고 파는 과정에서 손해도 보고 이익도 봤었기 때문에 늘 안테나를 세우고 있어요. 특히 사업을 하는게 아니라서 큰 돈이 들어오고 나갈 일 없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가장 큰 투자 수단이기 때문이예요.

    제 주위에서도 충분한 자금을 들고도 사면 떨어질지 모른다고 불안해 하다가 오르기 시작하면 내가 얼마까지 봤었는데 그 가격에는 억울해서 못산다...하다가 나중엔 너무 올라버려서 사지 못하는 분들이 많아요. 하지만 지금 금리가 바닥인데 곧 오를거라고 하고 집 값도 많이 떨어져서 기다려온 분들에게는 좋은 시기가 아닌가 싶어서 욕 먹을 줄 알면서도 써봤습니다. 이사할때마다 발생하는 기회비용도 적은 건 아니잖아요.

  • 5. 거시경제
    '13.10.2 4:00 PM (1.229.xxx.168)

    제가 살던 아파트 27평 최고가 5억6천이었습니다.
    팔때 3억 9천이었습니다.(2009년 2월)
    3개월후 4억8천까지 올랐습니다.
    현재 3억3천합니다.

    최고가에 구매한 사람들 과연 실소유자였을까?
    언제나 그 가격 회복될까?
    제 생각에 그 가격에 구입할 젊은 세대 인구는 점점 줄고
    소득도 불안정하고 소비할곳은 많고...
    엄청난 경제성장으로 소득이 왕창 오르지 않는한
    주택 구매력이 약해서 오랫동안 상승하기 힘들것 같습니다.
    물론 지역적으로 상승 요소가 있긴 하겠지만
    큰그림을 보면 앞으로 상승은 거의 없을듯 생각합니다.

  • 6. .........
    '13.10.2 4:02 PM (112.150.xxx.207)

    맞습니다.
    지금이 완전 바닥은 아니지만 발목이상은 되는듯 합니다.
    바닥은 작년 12에서 올해 초였던것 같습니다.
    혹자는 더 떨어질것이란 이야기도 합니다만 월천이상의 소득이 있는 사람이 10%를 넘겼다는 기사가 있더군요.
    전월세가 상승하면서 실수요가 밀어 올리고 있지요. 혹시나 경기가 조금이라도 좋아지거나 혹은 외부경기가 안좋아서 정부에서 내수진작에 힘을 쓴다면 유동성 장세로 밀어올리기가 되겠지요.
    하지만 전국의 모든 아파트가 그럴것 같진 않구요. 2000년대 초반처럼 급등장세가 되진 않을꺼구요.그냥 안정적 아주 완만한 우상향 그래프가 되겠지요... > 경제논리상 이게 가장 이상적이니 현정부나 차기정부도 이런걸 바라겠지요.
    실수요자들은 매의 눈으로 잘 고르셔야 겠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1823 강북쪽 디스크 진료 잘 보는 병원... ... 17:36:48 1
1741822 옹녀 지인에 관한 이야기 덥네요 17:36:33 14
1741821 지금 대천해수욕장 2 .. 17:31:39 257
1741820 혹시 이거 써보신분 계신가요? 걸레세탁기 17:31:00 84
1741819 BBC에서 평가하는 한미협상.jpg 9 와우 17:24:01 867
1741818 이사람이 일본총리에요?? 6 ㄱㄴ 17:17:19 644
1741817 걸을때 발에 힘을 엄청 주네요. 3 ㅇㅇㅇ 17:14:44 418
1741816 당근 채썰어 놓으니 좋네요 2 요리 17:09:58 860
1741815 컴활 어떤 유투브로 공부하시나요? 감사합니다 17:08:41 117
1741814 尹 측 "실명 위험·경동맥 협착·체온조절 장애 우려…수.. 34 질질 끌고 .. 17:07:26 1,555
1741813 더워서 새벽에 잠이 깨요 1 17:07:16 349
1741812 약관대출을 못갚으면 어떻게 되나요? 3 ㅇㅇ 17:05:56 394
1741811 박사는 5년 이상 걸리던데 6 543 17:05:39 750
1741810 대장내시경후 변비.. 1 17:04:13 244
1741809 알리에서 옷을 하나 사봤음 17 16:59:39 1,498
1741808 부추 얼려도 되나요? 5 ㅇㅇ 16:58:43 554
1741807 곧 20살되는 고3 6 ... 16:57:16 600
1741806 119도 경중에 따라 비용청구 했으면 좋겠어요. 5 어우… 16:55:07 464
1741805 좋아하는 음악영화 있으세요? 15 ... 16:53:55 370
1741804 제가 2015년에 이재명 성남시장 글을 올렸더군요, 2 효능감 16:52:27 460
1741803 전에 82에서 조개젓글보고 무쳤는데 7 ㅁㅁ 16:46:27 779
1741802 입술 필러 하신 분? 3 궁금 16:43:00 315
1741801 오로라 및 북유럽 여행, 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 어디 가요? 8 오로라 16:42:38 495
1741800 민주당)당대표 투표날짜에 못했는데 또 기회있나요? 1 투표 16:42:25 241
1741799 선진국은 이래서 선진국이군요. 3 원글이 16:39:04 1,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