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보름 나물.

보름이야. 조회수 : 1,654
작성일 : 2013-02-22 12:05:42

 이번 정월 대보름 챙겨 볼려고 합니다.

그런데.. 보름 나물은 꼭 말린 거 써야 하나요?

 

인터넷으로 장보려 하니까.. 말린 취나물, 말린 가지, 말린 호박고지... 말린 무청.

죄다 말린 나물이네요. ^^;;

 

말린 건 물에 불리고.. 끓이고... 좀 번거로워서...

특히 시래기는 껍질 벗기는 거 좀 힘들더라구요. ㅠㅠ.

 

 

그리고 대보름에 꼭 해야 하는 나물이 정해진 건가요?

 

저는 그냥 제가 하기 편한... 무나물, 시금치나물, 콩나물 같은 것도 가짓수에

넣을까... 하는데... 이렇게 하면 너무 엉터리인지....

 

82분들은 대보름 나물 뭐... 하시나요?

 

손쉽고.. 맛있게 하는 방법 좀 들려주세요~~

 

 

IP : 121.168.xxx.43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스
    '13.2.22 12:07 PM (221.146.xxx.243)

    절대 엉터리 아닙니다.
    맛나게 해서 드세요

  • 2. ㅇㅇ
    '13.2.22 12:07 PM (125.132.xxx.67)

    고사리 쉬워여

  • 3. 어제
    '13.2.22 12:10 PM (49.143.xxx.252)

    재래시장 가서 천원어치씩 달라니까 안된며 신경질을 내시길래.. 2천원 어치씩 샀더니 너무 많아요. 어른 둘에 5살 아이 하나인데..
    오늘은 마트 갔더니 그 절반 되는 양이 전부 2천 몇백원..ㅜㅠ
    불친절해도 재래시장이 낫긴하네..하고 왔어요.
    마트에 보니 콩나물. 무나물 .시금치..고사리.도라지..이렇게 나물 세트로 만들어 놓고 만천원인가 하더군요.
    콩나물 무나물 하셔도 될 듯해요.

  • 4. ㅇㅇㅇ
    '13.2.22 12:12 PM (182.215.xxx.204)

    윗님 좋은정보 감사해요 재래시장 가야겠네요 ㅎ

  • 5. 스뎅
    '13.2.22 12:12 PM (124.216.xxx.225)

    묵은 나물을 먹어야 그 해 여름에 더위를 안탄대요^^

  • 6. 보름
    '13.2.22 12:15 PM (211.255.xxx.22)

    대보름나물 준비하는 중에 글 보고 반가워서 로그인 했어요 ^^
    대보름나물은 정해진 것 없구요 님께서 말씀하신 무나물, 시금치나물, 콩나물은 제가 꼭 빼놓지 않고 넣는 거네요.
    특히나 한참 무와 섬초가 달고 맛일 때라 빼놓기 섭섭해요.

    그리고, 말린 나물은 나물을 말리면 영양소가 훨씬 풍부해진다고 해요.
    옛 어른들께선 겨울에 나물 보관하기 힘드니 미리 잔뜩 말려두고 겨우내 먹다가 막 봄나물이 나올 무렵인
    대보름에 묵은 나물 처지겸 9가지 나물을 먹었다고 하죠.
    조상의 지혜와 건강이 담긴 대보름 나물, 이왕 하는 거 제대로 건나물 불려서 해보세요.

    저도 결혼 초에는 호박고지, 취나물 등등은 생나물 사다가 해먹었는데, 말린 거 불려서 해보니 그
    첫 맛은 꼬들하니 부들 부들 퍼지는 맛을 포기할 수가 없어요.
    이때 아니면 건나물 불려서 이것저것 할 일이 또 없고. ^^;

    함 해보세요. 제가 한번 하면 뭐든 좀 후덜덜 하게 하는 편인데, 후덜덜 하게 하고 가장 보람 찬게
    보름 나물이예요. 1주일 내내 찰밥과 먹다 보면 똥배가 쏙 들어가는 효과까지 덤으로. ^^

  • 7. 보름이야...
    '13.2.22 12:21 PM (121.168.xxx.43)

    역시.. 댓글들이 너무 도움이 되네요. 댓글 달아주신 분들 너무 감사해요. ^^

    말린 묵은 나물을 먹어야 하는 이유...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거 군요. 스뎅님 댓글 감사 ^^

    보름님의 친절한 설명도 너무 감사해요. 말린 나물... 번거로워도 한번 시도해 보렵니다. ^^

    나물에 대해서 이렇게 공부하고...

    이젠 오곡밥이랑 복쌈... 알아볼려구요. ^^

    오곡밥 맛있게 짓는 법 아시는 분~~비법 부탁드립니다. ^^

  • 8. 오곡밥
    '13.2.22 12:27 PM (221.146.xxx.243)

    찜솥이 있으면 찌세요. 팥은 삶아서 쓰셔야 됩니다. 팥삶은물은 버리지 마시고~
    나머지 잡곡은 충분히 불려서 썩어서 찌세요.
    충분히 쪄졌을때 꺼내여 팥삶은 물에 소금간을 하여 넣어서 버무려 주신다음 한번 더 찌시고 뜸을 들이면
    몇일 놔두어도 상하지 않고 맛잊게 드실수 있습니다. (약식과 같은 방법입니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9471 이 노래가 뭘까요? 3 파란하늘보기.. 2013/03/16 512
229470 담임선생에게 뭐라고 얘기해야할지 조언좀 해주세요 2 언니딸 2013/03/16 1,153
229469 피부검은사람은 아무리 노력해도 3 ... 2013/03/16 1,621
229468 연아 프리 언제 하나요? 2 .... 2013/03/16 2,169
229467 부피가 큰 물품 (유모차)은 어느 택배로 보낼수 있나요? 4 궁금해요 2013/03/16 4,118
229466 흰머리... 임신했을때 어떻게 하셨어요? 10 .... 2013/03/16 4,949
229465 비즈바늘에 실꿰기 쉽게하는 방법 없을까요? 2 웃어봐요 2013/03/16 1,053
229464 여성이 의무의 평등한 이행도 주장할 때가 됐다 3 역지사지 2013/03/16 568
229463 9년 된 집, 몰딩과 씽크대 페인트칠로 리폼 조언 좀 주세요 5 은이맘 2013/03/16 3,575
229462 EMS 가 반송 되었어요. 9 황당...... 2013/03/16 4,474
229461 요즘 속상한 일 - 2 3 건강하자 2013/03/16 1,081
229460 방과후수업을 처음 하게 된 선생님입니다. 5 방과 2013/03/16 1,915
229459 영어번역 좀 부탁드려요 ㅠㅠ 1 ... 2013/03/16 464
229458 업소용 점보롤 어떤게 좋은가요?? 땡깡쟁이81.. 2013/03/16 1,186
229457 어젯밤..., 죽음과 자살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다가 잠들었거든요.. 2 해몽 2013/03/16 1,664
229456 중1 딸내미 다이어트 5 ........ 2013/03/16 1,429
229455 앞뒤로 마른 몸매 와 동글동글한 몸매 어떤게 더 좋으세요? 19 그냥 2013/03/16 3,576
229454 아래 아빠와의 긴 설전 글 읽고 저도 용기내어 고민 글 올려봅니.. 1 나도 중1맘.. 2013/03/16 611
229453 직물로 짠 느낌의 러그..는 어디서 사나요? 면러그 2013/03/16 408
229452 맛나게 고등어통조림 김치찜 하는법 알려주세요^^ 2 저녁 2013/03/16 1,712
229451 26년 전 김완선씨예요.... 감동 T.T 26 토요일밤의열.. 2013/03/16 11,589
229450 요즘 속상한 일 - 1 1 건강하자 2013/03/16 646
229449 아파트인데 에어컨 없는 집 어떤가요 12 댜우니 2013/03/16 2,839
229448 김치 많이 담갔는데 언제 김냉에 넣어야 할까요 1 어렵다 2013/03/16 895
229447 생각할수록 기분이 나쁜고 섭섭한데... 8 ... 2013/03/16 2,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