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계부가 진짜 도움이 되나요?

궁금 조회수 : 3,265
작성일 : 2012-06-27 17:02:53

예전에 인터넷 가계부도 써보고 종이 가계부도 써보고 했는데..

저한테는 그닥 도움이 안되더라구요.

규칙적으로 나가야되는 공과금, 교육비, 주유비, 보험, 적금은 한눈에 볼수 있도록 핸드폰에 메모저장해뒀고,,,

생활비도 한달에 얼마씩 쓴다는 계획하에  미리 생활비금액만큼 떼놓고.. 거의 실천하고 살아요.

그러니까 대충 한달에 얼마씩 쓰고, 카드값이 어느정도 나가는지 눈에 보이는데...

가계부를 쓰면  한달생활이 한눈에 파악이 되면서, 좀더 절약이 된다는게 어떤의미 인가요?

IP : 58.122.xxx.70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게..
    '12.6.27 5:06 PM (220.76.xxx.132)

    나도 모르게, 어디에 이렇게 썼을까?... 할때는 당연히 큰 도움되지만
    제 경우
    늘 똑같이 나가는 지출있고 그거외의 식비라든가.. 카드청구서로 받아서 확인하니
    굳이 필요한지 모르겠더군요..

  • 2.
    '12.6.27 5:07 PM (112.168.xxx.63)

    글쎄요
    원글님처럼 수입,지출에 대한 것이 한눈에 파악이 되고
    소비패턴이 늘 비슷하시다면 가계부 쓴다고 확 달라지거나 하는 거 없을 거에요.

    전 그럼에도 그냥 습관이라서 쓰지만요.^^

  • 3. 경제전문가
    '12.6.27 5:12 PM (202.30.xxx.237)

    원래는 지출파악,예산설정,소비감소, 이 세가지 싸이클을 위한거지만 사실 남편이 '돈 어따 다 쓰고 생활비 타령이야?' 라고 물을때 던져주는 용도죠.

  • 4. 그게
    '12.6.27 5:13 PM (211.196.xxx.174)

    반성을 해야 하는 것 같아요
    매달 들여다보고 다음달엔 이걸 줄여야지...
    근데 저도 매달 거의 비슷한데다 충동구매 이런것도 잘 안해요
    어쩌다 간혹 산다고 해야 몇천원짜리거든요
    딱히 뭐 아끼려고 하는 게 아니라 그냥 돈 쓰는 게 별 재미가 없어서요
    가계부 열심히 쓰다가... 이게 뭐 필요가 있나 싶어 요즘 또 안쓰는데
    다음달부터 또 쓰려구요 자기위안이 아닌가 싶어요...
    매달 보고 음 앞으로 이걸 줄여야겠어 이걸 해야 되는 건데 말이죠^^;

  • 5. 음..
    '12.6.27 5:15 PM (115.126.xxx.16)

    알뜰하게 생활하신다면 그럴수도 있겠네요.
    저같은 경우는 생활비를 좀 넉넉하게 잡아놓고
    아껴쓴 달은 이월안하고 비자금 통장으로 보내거든요.
    그래서 저녁에 자기전에 가계부 쓰면서
    아. 오늘은 좀 많이 썼네. 내일은 쓰지 말자. 이런식으로 씀씀이를 조절하는데 큰 도움이 돼요.

    솔직히 지난달에 가계부를 안썼더니 아이 축구화, 축구공, 여름옷, 샌들..등등
    꼭 필요하지도 않은 것들을 막 질렀더라구요;;; 그래서 비자금도 거의 못넘기고..ㅠㅠ
    이번달부터는 다시 꼼꼼하게 쓰고 있습니다!
    (아. 저희는 25일부터 쓰는거라..)
    일단 25일부터 오늘까지 쓸데없는 지출은 덕분에 없었네요.
    이번달엔 비자금을 좀 두둑히 모아보려구요~

  • 6. 저는
    '12.6.27 5:20 PM (211.176.xxx.244)

    숫자나 계산에 너무 약하고
    손에 돈 들고 있으면 훌훌 써버리는 타입이라 확인차 가계부 쓰고 있는데
    원글님은 아예 지출 목록이나 규모를 머리 속에 꿰고 계신 분이니
    굳이 안쓰셔도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저는 님처럼 규모있게 계획하거나 쓰는게 참 안됩니다.
    제 통장에 얼마 있는지 그런 것도 잘 모르고 얼마 있겠지 했는데 막상 보면 금액이 현저하게 다른
    그런 사람입니다. 그래서 필요한 거지요.

  • 7. 한번씩
    '12.6.27 5:21 PM (121.136.xxx.201)

    주출항목을 적다보면
    자연스레 반성? 되새김?을 하면서
    필요없는 지출은 줄어드는 듯..

  • 8. 도움되요.
    '12.6.27 5:35 PM (221.140.xxx.33)

    집요하게 저축할려고 맘먹을때에 계획을 잡고 그에 맞는 소비생활하고
    한달 결산할때에 약간 남아도는 여유 돈 보면서 희열을 느낍니다.
    외벌이에 대기업이지만 결혼생활 20년 가까이 되면서 저축 안했었던 달이 없습니다.
    집값 대출이 8천만원 있을때에도 저축은 했었어요.
    500 만원 이상이면 은행가서 대출금 갚고...요.2년만에 갚았어요. 알뜰하게 해서..

    물론 그에 맞게 남편도 승진하고 월급도 승승장구하고 늘었지만,
    소비패턴을 일정하게 했습니다.일년 지나 연말에 남편앞에 불러다 놓고
    실제로 월급통장에 얼마 들어왔고 (세후수입)각항목 별로 지출 내역서 쫘 악 뽑아주니 돈 쓴거
    전혀 터치 안하고 남편도 알뜰족이 되더군요.
    이래저래 50을 목전에 두고 노후자금으로 뭘할까 공부중입니다. 전,대학가 근처에 원룸건물
    (20실 정도 되는)구입하고 싶은게 소망이랍니다.
    목표를 갖고 소비하고 저축하는 생활이 몸에 밴게 가게부가 그중심에 있습니다.

  • 9. ...
    '12.6.27 5:42 PM (61.252.xxx.61)

    저 가계부 쓴지 17년 되어갑니다. 다들 말씀하신대로 그닥 획기적인 소비감축으로까지 이어지진 못하지만 적어도 이젠 1년,1달 예산설정이 가능한 경지에 이르렀어요. 예를 들어 추석명절비용을 어느항목에 어떻게 썼는지 전년대비 얼마나 늘었는지 데이타가 쫙 나옵니다. 저기 윗님 말씀마따나 남편이 돈 다 어따 썼어 하고 나온다면 꾸물거리지 않고 여기봐라 하고 던져줄 정도는 되는 거지요. 말그대로 투명경영 했으니 꿀릴거 없죠.ㅋ

  • 10. 31년 차
    '12.6.27 6:03 PM (112.154.xxx.70)

    도움이 됩니다.

    윗분 말대로 소비패턴 및 데이터가 쫘악 나와 다음 해 예산 짤 때도 도움이 됩니다.

    뭣보다 가격 동향이 파악되어 비싼지 싼지 가늠이 되고 같은 물건을 반복 구매할 때 가격 비교로 알뜰 구매가 되고 충동구매를 하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주부의 이런 노력이 알게 모르게 가족들에게도 영향을 끼치는지 아이들도 습관이 되어 용돈을 쪼개 쓰거나 기입하는 숩관이 생기더군요.

    가계부를 쓰면서 간단한 일기를 쓰는 것 역시 우리집 역사를 끄집어 낼 때 도움이 되어 한바탕 웃고 가기도 합니다.

  • 11. 가계부 10년차
    '12.6.27 8:03 PM (112.150.xxx.40)

    가계부를 쓴다고 해서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돈이 안 써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계획적인 소비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에요.
    저는 손으로 기록해 나가는 것 자체에 즐거움을 느끼는 편이라 굳이 종이 가계부를 쓰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4230 약재 다려먹을건데 유리전기포트 어떤가요 1 ㅏㅏ 2012/07/04 677
124229 초 4 수학 112쪽이랑 113쪽 1번문제 답 좀 알려주세요 1 급해요 2012/07/04 614
124228 일본 가정요리 책 추천해주세요^^ 6 일본가정요리.. 2012/07/04 1,164
124227 양창순 신경정신과 한 시간 진비료가 헉..... 15 .... 2012/07/04 16,665
124226 숙모한테 꽃이나 화분을 선물하고 싶은데 추천좀.. 2 꽃-화분배달.. 2012/07/04 606
124225 (급) 통돌이 세탁기 추천좀 해 주세요. 7 대전댁 2012/07/04 3,703
124224 김연자母, 내 딸 데려가 부려먹고…; 前사위에 격분 7 호박덩쿨 2012/07/04 3,717
124223 10년만에 한국와서 속초가는데 맛집 추천해주세요 33 한국좋아 2012/07/04 3,443
124222 이영애..미모가 절정으로 돌아가네요 69 ... 2012/07/04 23,012
124221 반포자이 아파트 안 초등학교 아이 다니기 어떤가요? 2 서울입성 2012/07/04 3,360
124220 예전에 유행했던 토마토쥬스 만드는 방법 1 토마토 2012/07/04 2,826
124219 돈이 없으면 무시당하는게 당연한가요.. 14 규엄마 2012/07/04 5,766
124218 버스정류장에서 조심하세요. 1 모냐 너!!.. 2012/07/04 1,858
124217 MBC 노조 "김재철 '방문진 이사 내정' 말해&quo.. 1 무도 돌려줘.. 2012/07/04 787
124216 워킹맘들 어린이집 방학에는 애들 어떻게 하세요? 6 ... 2012/07/04 1,992
124215 도와주세요. 올초에 담근 간장 냄새 맛이 이상해요 ㅠㅠ 6 집간장 2012/07/04 1,049
124214 박솔미 나오는드라마에 나온 노래 아시는 분? 1 토모야 2012/07/04 1,776
124213 일반 패트병 연결가능한 물총 마트에서 파나요? 2 퐈이팅 2012/07/04 691
124212 게시판 분란글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7 참고하세요 2012/07/04 1,259
124211 공짜 "녹조라테" 하고 하네요.. 1 .. 2012/07/04 823
124210 요즘 땀나나요? 3 2012/07/04 779
124209 원글 펑 15 속상 2012/07/04 2,518
124208 아들의 핸드폰으로 아들 친구가 욕문자를 보냈어요...(급). 9 2012/07/04 2,243
124207 수삼을 구입하고싶어요. 1 아이짜 2012/07/04 623
124206 불쌍한 우리집개..,. 5 별달별 2012/07/04 1,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