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철길 옆 집 어때요?

고민 조회수 : 6,091
작성일 : 2012-02-12 10:30:22
어제 맘에 드는 집을 봤는데요. 안쪽에 집은 앞 건물만 보이고 트인 남향은 경의선 철길이네요. 문 닫으니 소리는 거의 안들리는 것 같았어요. 고민입니다. 철길 주변에 사셨던 분의 생생한 체험담 좀 들어볼 수 있을까요?
IP : 110.14.xxx.215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소리가 문제가 아니라 미세먼지 장난아님//
    '12.2.12 10:33 AM (180.182.xxx.236)

    전 옛날에 철길하고 이 삼 십 미터 떨어진 곳에 살았었는데,
    (완전 거의 붙은 거죠)
    청소를 해도 해도 검은 먼지가 계속 나와서 엄마가 미칠 것 같다고 하셨구요.
    얼마 전에 영등포역 근처에 살았었는데,
    영등포역과 그래도 나름 떨어진 푸르지오였거든요.
    뒷 베란다 창을 열질 못 했어요.
    소음은 참을 만해도
    그 먼지는 정말 미칠 것 같더라구요.
    청소 해도 해도 끝이 없어요.

  • 2. 철길집
    '12.2.12 10:36 AM (123.212.xxx.106)

    큰길 건너 철길이 있는 아파트 살았는데 살다보니 거의 익숙해져 잘못느끼는데
    한번식 깜짝 놀랄 때가 있었어요.
    게다가 여름에는 새벽에 빠앙하면...........

    그리고 아파트에 불임부부 1쌍, 40대 결혼한 신혼부부, 큰 아이가 초6까지 둘째가 생긱지 않았던 집
    그집들 전부 아기 연년생으로 빵빵 태어났어요 ^^

  • 3. ...
    '12.2.12 10:37 AM (175.126.xxx.85)

    예전 전세집이 철도와 마주보고 있었어요
    겨울에는 문을 닫아서 괜찮았는데 여름에는 철도
    지나가는 시간에서 티비소리도 안들리고 좀
    흔들리는 느낌도 들었어요
    그리고 은근히 먼지가 많았어요
    전 솔직히 좀 둔한 편이라 철길 근처라서 ㅋ게
    스트렜 받고 그런건 없었지만 에민하신 분은 좀
    힘들어 하시더라구요

  • 4. 지금
    '12.2.12 10:37 AM (125.133.xxx.111)

    지금 살고 있어요. 이사갈거에요.ㅠㅠ

  • 5. 나무
    '12.2.12 10:38 AM (220.85.xxx.38)

    외국영화 중에 철길 옆에 살던 사람이 기차소음 때문에 나중에 커서 기차회사에 복수한다는 내용의 영화..
    혹시 아시는 분?

  • 6. 노노노노노.
    '12.2.12 10:40 AM (218.54.xxx.173)

    당연히 no 아닙니까?

  • 7. dma
    '12.2.12 10:42 AM (121.151.xxx.146)

    저는 수도권은 아니고 경부선기찻길 옆에 사네요
    그런데 저희는 7년째 잘살아요
    이번에 이사가는데 같은 아파트 좀넓은 아파트로 이사가네요
    저희는 괜찮아요

  • 8. ...
    '12.2.12 10:44 AM (110.14.xxx.164)

    반대요
    경의선이 양쪽합치면 10분에 한번씩 지나갈걸요
    창문 못열거에요 시끄럽고 먼지나고...
    아주 둔한분 아니면 가지 마세요

  • 9. 잘 알아요
    '12.2.12 11:13 AM (221.165.xxx.228)

    1호선 라인에 사는데 역세권 도보 3분 이내의 아파트예요.
    같은 단지 안에서도 기차 소리가 많이 들리는 집이 있고 거의 들리지 않는 집이 있어요.
    베란다나 창문에서 철길이 보이면, 소리가 장난 아니구요.
    큰 건물이나 앞동옆동뒷동 등에 가려져 있으면 소리가 덜 들리거나 들리지 않아요.
    우리집은 기찻길서부터 아파트 3동이 가려져 있고 저층인데 기찻소리 전혀 안 들리거든요.
    결론은 집에서 기찻길 보이면 이사가지 마세요.
    자기도 모르게 심각한 소음공해 걸려서는, 좀 조용한 곳에 가면 "어? 왜 이렇게 조용하지?" 이런 소리가 절로 나와요. 저도 그랬었구. 지금 철길 바로 보이는 아파트에 사는 지인도 그래요.
    우리집 오면, "어? 왜 이렇게 조용해?" 계속 그런답니다. 그게 엄청 스트레스예요.
    새벽에 화물기차라도 지나가면, 엄청 짜증나서 돈 주고 살래도 못 살겠다 그랬어요.

  • 10. 먼지
    '12.2.12 11:15 AM (180.71.xxx.147)

    씨끄러운건 좀 지나면 익숙 해질지도 모르겠는데
    먼지 때문에 절대 반대 입니다.
    가지 마세요.. 가지 마세요~~~

  • 11.
    '12.2.12 11:46 AM (49.28.xxx.127)

    기차길옆이 임신이 잘되는 이유는
    자다가 기차 지나가는 소리에
    잠이 깨서 달리할건없고
    ᆢ그래서 아기만 줄줄이 생긴다는
    뭐 그런거 아닌가요?;;;

  • 12. 누리네
    '12.2.12 12:00 PM (211.246.xxx.243)

    중앙선 전철역 옆 주상복합 27층에 살았는데요.. 전세 계약 끝나자마자 이사나왔어요.. 한강 전망이라 완전 탁트였구요 멀리로 코엑스옆 무역센터까지 맑은날엔 잘 보이는 집이었는데요.. 여름엔 새벽에 화물열차 지나갈땐 비행기 이륙하는 소리같아요..겨울엔 문 닫아놓으니 그나마 살것같았는데 닦아도 닦아도 계속나오는 검은 먼지.. 제가 이사나오고 이런 이야기 주위에 했더니 그 아파트 사서 들어간 언니가 집값떨어진다고 제발 그런 이야기하고 다니지 말라더니 그 언니도 곧 팔고 나가더라구요 ㅠㅠ

  • 13. ㅜㅜ
    '12.2.12 12:00 PM (123.213.xxx.74)

    100미터 전방에 살고 있는데요.
    기차가 참 많이 다닌다 생각되요...
    빠앙 소리도 잦구요..
    흔들림도 좀 있구요..
    잊고 살다가 가끔 신경이 쓰이면 그때부터 스트레스가 되어요.

  • 14. 경의선이라고 하셔서..
    '12.2.12 12:07 PM (61.253.xxx.17)

    로긴 잘 안하는데 울집 근처 같아서 들어와봤어요. ㅎ 저희 집이 딱 경의선 보이는 남향 집이거든요.

    저랑 남편은 소음에 민감한 편인데 그렇게 신경쓰이지 않네요. 여름 아니고는 거의 닫아놔서 그런가 싶기도 하구요. 이 집 주인이 샷시를 좋은 걸로 해놔서 그런가 소리 별로 크지 않아요. (예전에 살던 집이 고가도로 근처였는데 거기 오토바이 소리가 100만배 더 시끄럽고 괴로웠어요)
    그리고 먼지도 솔직히 자동차 도로 옆이 훨씬 많아요. 여름에 창문 열어놔도 그렇게 시커먼 먼지 아니었어요.
    전 남향집이라는게 이렇게 좋은지 몰랐어요. 겨울에도 따뜻하고 해 계속 잘 들구요.
    암튼 저랑 남편이랑 3살 아기랑 작년에 이사와서 아주 만족하고 살고 있어요. 제가 사는 아파트는 층간소음도 적어서 더 좋네요.

  • 15. 철길옆
    '12.2.12 1:05 PM (121.176.xxx.65)

    에 산지 10년쯤 되는데 크게 못 느껴요 가끔 느껴지는 건 별 스럽지도 않아요.
    그것보다는 도로 옆에 사는 집에 놀러간적 있는데 차소리 오토바이소리가 엄청난 소음이던데요.
    철길옆이란 조건빼고 다른조건따져보고 다 좋으면 결정해도 괜찮을꺼 같은데...
    결정은 님이 하는거니 잘 생각해보고 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9459 입사지원서 작성시 가족관계 1 이력서 2012/02/13 16,246
69458 1.2, 2.4 등등이 구체적으로 어떤 수준인가요?^^;; 7 영어레벨문의.. 2012/02/13 747
69457 어! 문재인이다.(有) slr링크 2012/02/13 1,476
69456 혹시 홈밀이라고 반조리 식품 배달해주는거 드셔보신분계세요 5 요리못하는여.. 2012/02/13 2,762
69455 둘째산후조리문의드려요 2 둘째맘 2012/02/13 721
69454 공지영 아직도 정신 못차렸나 ㅉㅉㅉ 2012/02/13 874
69453 ^^; 5 .... 2012/02/13 1,045
69452 애가 친구를 못사겨요 10 외로운 아이.. 2012/02/13 2,480
69451 아이가 발달장애가 있는데 학교에서 꼬집히고 차였어요. 18 어쩌죠? 2012/02/13 4,392
69450 떡볶이에 뭐뭐넣으세요? 23 떡보끼 2012/02/13 3,466
69449 컴퓨터를 오래 볼 수가 없어요.(눈영양제??) 4 영양제 2012/02/13 1,664
69448 소니 tx55 쓰시는 분들 어떤가요? 2 궁금 2012/02/13 371
69447 시할아버님 돌아가셨을 경우 휴가를 며칠 받을수 있나요? 3 효리 2012/02/13 712
69446 전력거래소나 증권거래소 이사장쯤되면 ... 8 궁금 2012/02/13 957
69445 <<급해서요ㅜㅜ>>광명역(KTX)에서 안양.. 10 광명역 2012/02/13 6,343
69444 아금니 금니이빨이 빠졌어요.물엿먹다가 4 재순맘 2012/02/13 1,321
69443 떡볶이 상차림에 낼건데, 미리해놓고 데워도 될까요 3 떡보끼 2012/02/13 1,043
69442 스마트폰 예금 추천해주세요 3 티끌모아태산.. 2012/02/13 396
69441 어떤 미친놈이.. 5 @@ 2012/02/13 3,451
69440 세무 상담 비용이 어떻게 되나요? 2 세무 2012/02/13 2,535
69439 지금 장터에 20년전에 예단으로 받은 밍크를 100만원에 판다고.. 49 고자질 아닙.. 2012/02/13 17,448
69438 스마트폰 개통후 궁금한거요....카카오톡 3 궁금한거 2012/02/13 1,440
69437 8세 남아 고열도 없이 온몸에 좁쌀만한 열꽃이.. 2 2012/02/13 1,865
69436 급]몸살 오한 두통 삭신쑤심에 지금 사먹을 약국약없을까요ㅠ 4 mm 2012/02/13 2,919
69435 네살 딸아이.. 동네 오빠들이 넘 귀여워해요 4 .. 2012/02/13 2,279